막말교환·항의서한 '핑퐁' … 오늘 오후 노다 기자회견, 또다른 자극제 될 수도
"이건 외교가 아니무니다. 전쟁 이무니다." 갸루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개그맨 박성호 씨가 최근 한일 관계를 보면 이렇게 표현할 수 밖에 없을 듯하다.
독도와 과거사 문제 등을 둘러싼 갈등으로 한일 관계가 연일 요동치고 있다. 양측 모두 감정 섞인 언사를 주고받고, 일본의 항의서한에 대한 우리 측의 반송과 일본 측의 수취거부 등 정상적 외교관계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일들이 이어지고 있다.
더구나 오늘(24일) 오후에는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일본 총리가 독도 문제 등에 대한 기자회견을 예고하고 있어 다시 한 번 갈등이 증폭될 조짐이다.

<일본 외무성에서="" 문전박대당한="" 한국="" 외교관="" 일본="" 정부가="" 한국="" 정부의=""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총리="" 친서="" 반송을="" 거부했다.="" 주일="" 한국대사관의="" 김기홍="" 참사관이="" 23일="" 오후,="" 일본="" 외무성="" 정문에서="" 경비원들에게="" 가로막힌="" 채="" 외교관="" 신분증을="" 보여줬는데도=""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있다.="" 도쿄="연합뉴스" 이충원="" 기자="">
23일 하루 동안 벌어진 양측의 공방은 총만 안 들었을 뿐 그야말로 전쟁을 방불케 한 수준이었다. 도발은 일본이 시작했다. 그것도 총리가 총대를 멨다. 노다 총리는 23일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이명박 대통령을 정면으로 겨냥했다. 이 대통령의 독도 방문과 일왕 사과 요구 발언에 대해 "상당히 상식에서 일탈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이) 사죄와 (발언) 철회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전날 '한국이 독도를 불법 점거하고 있다'는 겐바 고이치로(玄葉光一郞) 일본 외상의 주장보다 한걸음 더 나간 수준이었다.
이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말 같지 않은 주장에 대꾸할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고 격분했다. 이 관계자는 처음에 '과잉대응은 일본측 페이스에 말려드는 것'이라며 자제를 부탁하러 왔지만 일본의 태도를 언급하다 되레 불을 지른 형국이 됐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24일 "그냥 무시하고, 그렇게 까지 세게 (발언)할 사안은 아니었다"며 "일본은 과잉대응을 해서 독도를 분쟁지역화하려는 것이기 때문에 거기에 우리가 말려들 필요가 없다"고 아쉬움을 드러냈다.
그러나 이 관계자 역시 "결국 일본이 어떻게 나오느냐에 따라 달린 것"이라며 "일본의 과잉대응이 일을 키우고 있다"고 말했다.
노다 총리의 항의서한을 둘러싼 공방도 상궤를 벗어난 수준이다. 우리 정부는 항의서한 자체가 팩트가 아닌 주장이 담겨 있어 반송키로 결정했다. 23일 주일 한국대사관 직원이 서한 반송을 위해 일본 외무성을 방문했지만, 차량은 정문에서 가로막혔고 면담요청도 거부당했다. 결국 우리 정부는 노다 총리 서한을 우편으로 일본 외무성에 발송했다.
문제는 이 같은 공방이 쉽게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데 있다.
우리 정부는 차분한 대응을 하겠다는 기조이지만 일본의 반응은 갈수록 격화되고 있다. 자국내 정치적 위기돌파의 카드로 활용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노다 총리가 24일 오후 전격 기자회견을 예고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일단은 휴전이지만 오후에 노다 총리 기자회견을 지켜본 뒤 어떻게 할지 다시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재철 기자 jcju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일본>
"이건 외교가 아니무니다. 전쟁 이무니다." 갸루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개그맨 박성호 씨가 최근 한일 관계를 보면 이렇게 표현할 수 밖에 없을 듯하다.
독도와 과거사 문제 등을 둘러싼 갈등으로 한일 관계가 연일 요동치고 있다. 양측 모두 감정 섞인 언사를 주고받고, 일본의 항의서한에 대한 우리 측의 반송과 일본 측의 수취거부 등 정상적 외교관계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일들이 이어지고 있다.
더구나 오늘(24일) 오후에는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일본 총리가 독도 문제 등에 대한 기자회견을 예고하고 있어 다시 한 번 갈등이 증폭될 조짐이다.

<일본 외무성에서="" 문전박대당한="" 한국="" 외교관="" 일본="" 정부가="" 한국="" 정부의=""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총리="" 친서="" 반송을="" 거부했다.="" 주일="" 한국대사관의="" 김기홍="" 참사관이="" 23일="" 오후,="" 일본="" 외무성="" 정문에서="" 경비원들에게="" 가로막힌="" 채="" 외교관="" 신분증을="" 보여줬는데도=""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있다.="" 도쿄="연합뉴스" 이충원="" 기자="">
23일 하루 동안 벌어진 양측의 공방은 총만 안 들었을 뿐 그야말로 전쟁을 방불케 한 수준이었다. 도발은 일본이 시작했다. 그것도 총리가 총대를 멨다. 노다 총리는 23일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이명박 대통령을 정면으로 겨냥했다. 이 대통령의 독도 방문과 일왕 사과 요구 발언에 대해 "상당히 상식에서 일탈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이) 사죄와 (발언) 철회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전날 '한국이 독도를 불법 점거하고 있다'는 겐바 고이치로(玄葉光一郞) 일본 외상의 주장보다 한걸음 더 나간 수준이었다.
이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말 같지 않은 주장에 대꾸할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고 격분했다. 이 관계자는 처음에 '과잉대응은 일본측 페이스에 말려드는 것'이라며 자제를 부탁하러 왔지만 일본의 태도를 언급하다 되레 불을 지른 형국이 됐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24일 "그냥 무시하고, 그렇게 까지 세게 (발언)할 사안은 아니었다"며 "일본은 과잉대응을 해서 독도를 분쟁지역화하려는 것이기 때문에 거기에 우리가 말려들 필요가 없다"고 아쉬움을 드러냈다.
그러나 이 관계자 역시 "결국 일본이 어떻게 나오느냐에 따라 달린 것"이라며 "일본의 과잉대응이 일을 키우고 있다"고 말했다.
노다 총리의 항의서한을 둘러싼 공방도 상궤를 벗어난 수준이다. 우리 정부는 항의서한 자체가 팩트가 아닌 주장이 담겨 있어 반송키로 결정했다. 23일 주일 한국대사관 직원이 서한 반송을 위해 일본 외무성을 방문했지만, 차량은 정문에서 가로막혔고 면담요청도 거부당했다. 결국 우리 정부는 노다 총리 서한을 우편으로 일본 외무성에 발송했다.
문제는 이 같은 공방이 쉽게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데 있다.
우리 정부는 차분한 대응을 하겠다는 기조이지만 일본의 반응은 갈수록 격화되고 있다. 자국내 정치적 위기돌파의 카드로 활용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노다 총리가 24일 오후 전격 기자회견을 예고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일단은 휴전이지만 오후에 노다 총리 기자회견을 지켜본 뒤 어떻게 할지 다시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재철 기자 jcju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일본>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