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억원 사용처 추적, 여러명에 전달 혐의 … 박지원 원내대표 '공천도움' 문자, 진위 확인 중
검찰이 인터넷 방송 '라디오21'전 대표 양경숙(51·구속)씨에게 전달된 32억8000만원의 구체적인 사용처를 추적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 자금이 민주통합당 관련 인사에게 흘러들어간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29일 알려졌다.
대검찰청 중앙수사부(검사장 최재경)는 서울 강서구청 산하 강서시설관리공단 이사장 이 모(56ㆍ구속)씨와 H세무법인 대표 이 모(57ㆍ구속)씨, 부동산 시행업자 정 모(53ㆍ구속)씨 등이 새마을금고 문화네트워크 명의 계좌로 32억8000만원을 입금한 사실을 확인하고 돈의 흐름을 쫓고 있다.
이씨 등 3명은 지난 1~2월 사이에 여러 차례 나눠서 입금을 했으며 투자 약정서도 이 무렵 작성했다. 검찰은 이들이 투자 약정서를 쓰고 계좌로 돈을 입금한 것 등은 공천헌금 목적을 감추기 위한 이면계약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해당 계좌에서 2~3월 사이에 집중적인 거래가 이뤄졌고 돈을 송금받은 수취인 명단에서 민주당 관련 인사들의 이름을 다수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자금이 흘러들어간 연결계좌에 대해 계좌추적 영장을 발부받아 계좌의 실소유주를 확인하는 한편 돈의 성격도 살펴보고 있다.
양씨가 작성한 수취인 명단과 실소유주가 다를 수 있고 사업 목적으로 지급됐거나 양씨와의 개인적인 돈거래 관계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검찰은 양씨가 최근 투자자들로부터 자금 압박을 받았다는 점에서 32억8000만원 중 일부를 개인채무에 사용했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실제로 17억원을 주기로 약정한 서울 강서구시설관리공단 이사장 이 씨는 양씨에 2억8000만원을 송금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양씨가 이씨에게 빌렸던 8억원을 주지 않는 대신 투자금 17억원에 포함시켰으며 나머지 6억원은 현금 전달 가능성을 의심하고 있다. 검찰은 친노 인사들은 물론 구민주계와 동교동계 등에 폭넓은 인적 관계를 맺고 있는 양씨의 이력 등을 고려할 때 자금이 상당수 인사에게 흘러들어간 것으로 보고 있다.
32억원의 사용처 추적과 함께 박지원 민주통합당 원내대표에 대한 수사도 집중하고 있다. 양씨에게 금품을 건넨 이씨 등은 '공천에 도움을 주겠다'는 취지의 박 원내대표를 발신자로 하는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검찰에서도 이 같은 진술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박 원내대표는 공천과 관련한 문자메시지를 보낸 적이 없다며 강하게 반박하고 있다. 검찰은 문자메시지가 실제로 박 원내대표가 보낸 것인지 아니면 제3자가 명의를 도용한 것인지를 확인 중이다.
박 원내대표는 지난해 말 지인의 소개로 양씨를 처음 만났다고 밝혔다. 서울 강서구시설관리공단 이사장인 이씨는 양씨와 함께 1~2차례 만났고 세무법인 대표 이씨와 부동산 시행업자 정씨와는 3월 중순쯤 한차례 만남을 가졌다.
이들은 박 원내대표를 만난 이후 각각 후원금 500만원을 보냈으며 양씨도 후원금을 냈다.
박 원내대표는 이들과의 만남과 후원금 등은 인정했지만 비례대표나 공천 관련 언급은 전혀 없었다는 입장이다. 박 원내대표는 저축은행 비리와 관련해 대검 중수부 산하 저축은행 합수단에서 수사를 받고 있으며 일각에서는 이번 공천헌금 비리를 중수부에서 직접 수사하는 이유를 박 원내대표와 연결해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이경기 기자 celli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검찰이 인터넷 방송 '라디오21'전 대표 양경숙(51·구속)씨에게 전달된 32억8000만원의 구체적인 사용처를 추적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 자금이 민주통합당 관련 인사에게 흘러들어간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29일 알려졌다.
대검찰청 중앙수사부(검사장 최재경)는 서울 강서구청 산하 강서시설관리공단 이사장 이 모(56ㆍ구속)씨와 H세무법인 대표 이 모(57ㆍ구속)씨, 부동산 시행업자 정 모(53ㆍ구속)씨 등이 새마을금고 문화네트워크 명의 계좌로 32억8000만원을 입금한 사실을 확인하고 돈의 흐름을 쫓고 있다.
이씨 등 3명은 지난 1~2월 사이에 여러 차례 나눠서 입금을 했으며 투자 약정서도 이 무렵 작성했다. 검찰은 이들이 투자 약정서를 쓰고 계좌로 돈을 입금한 것 등은 공천헌금 목적을 감추기 위한 이면계약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해당 계좌에서 2~3월 사이에 집중적인 거래가 이뤄졌고 돈을 송금받은 수취인 명단에서 민주당 관련 인사들의 이름을 다수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자금이 흘러들어간 연결계좌에 대해 계좌추적 영장을 발부받아 계좌의 실소유주를 확인하는 한편 돈의 성격도 살펴보고 있다.
양씨가 작성한 수취인 명단과 실소유주가 다를 수 있고 사업 목적으로 지급됐거나 양씨와의 개인적인 돈거래 관계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검찰은 양씨가 최근 투자자들로부터 자금 압박을 받았다는 점에서 32억8000만원 중 일부를 개인채무에 사용했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실제로 17억원을 주기로 약정한 서울 강서구시설관리공단 이사장 이 씨는 양씨에 2억8000만원을 송금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양씨가 이씨에게 빌렸던 8억원을 주지 않는 대신 투자금 17억원에 포함시켰으며 나머지 6억원은 현금 전달 가능성을 의심하고 있다. 검찰은 친노 인사들은 물론 구민주계와 동교동계 등에 폭넓은 인적 관계를 맺고 있는 양씨의 이력 등을 고려할 때 자금이 상당수 인사에게 흘러들어간 것으로 보고 있다.
32억원의 사용처 추적과 함께 박지원 민주통합당 원내대표에 대한 수사도 집중하고 있다. 양씨에게 금품을 건넨 이씨 등은 '공천에 도움을 주겠다'는 취지의 박 원내대표를 발신자로 하는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검찰에서도 이 같은 진술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박 원내대표는 공천과 관련한 문자메시지를 보낸 적이 없다며 강하게 반박하고 있다. 검찰은 문자메시지가 실제로 박 원내대표가 보낸 것인지 아니면 제3자가 명의를 도용한 것인지를 확인 중이다.
박 원내대표는 지난해 말 지인의 소개로 양씨를 처음 만났다고 밝혔다. 서울 강서구시설관리공단 이사장인 이씨는 양씨와 함께 1~2차례 만났고 세무법인 대표 이씨와 부동산 시행업자 정씨와는 3월 중순쯤 한차례 만남을 가졌다.
이들은 박 원내대표를 만난 이후 각각 후원금 500만원을 보냈으며 양씨도 후원금을 냈다.
박 원내대표는 이들과의 만남과 후원금 등은 인정했지만 비례대표나 공천 관련 언급은 전혀 없었다는 입장이다. 박 원내대표는 저축은행 비리와 관련해 대검 중수부 산하 저축은행 합수단에서 수사를 받고 있으며 일각에서는 이번 공천헌금 비리를 중수부에서 직접 수사하는 이유를 박 원내대표와 연결해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이경기 기자 celli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