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수서역 대신 삼성역" 제안
국토부 "이제는 바꿀 수 없어 " 거부
국토해양부와 서울시가 '수서발 KTX'를 놓고 갈등을 빚고 있다. 서울시가 "시종점역을 수서역에서 삼성역으로 바꿀 것"을 제안했고, 국토부는 "이제는 바꿀 수 없다"는 입장이어서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자칫 2015년 개통에 차질이 우려된다.
수서발 KTX 건설을 맡고 있는 철도시설공단은 5일 보도자료를 통해 "서울시가 수서역 대신 삼성역을 시종착역으로 건설해 줄 것을 최근 요구함에 따라 수도권 고속철도 2014년 완공은 사실상 어렵게 됐다"고 밝혔다. 최근 서울시 관계자가 국토부를 찾아와 "수서역 대신 삼성역을 시종점 역으로 해 줄 것"을 요구했고, 국토부는 "이제 와서 바꿀 수 없고, 대신 수서발 KTX가 삼성역을 운행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공단은 "서울시 요구는 수도권 고속철도를 건설하지 말자는 것과 같다"며 불만을 나타냈다.
공단에 따르면 원래 삼성역 연장을 반대한 것이 서울시다. 당초 삼성역과 수서역을 검토했으나 서울시와 강남구청의 반대로 지난 2009년 수서역을 시종착역으로 낙점했다. 지난해 10월 국토부 장관 주재 회의 때도 서울시와 강남구청은 교통 혼잡 등을 이유로 삼성역을 반대했다. 그동안 삼성역 연장을 반대하던 서울시가 이제 와 태도를 바꾼 것이다.
이번 말고도 서울시는 그동안 수서발 KTX 사업에 비협조적인 모습을 보였다는 게 공단측 주장이다. 수서역 건설을 위한 개발제한구역(GB) 관리계획수립을 위해 지난해 3월 서울시에 심의를 요구했으나 1년 2개월이 지난 올해 5월에서야 심의를 시작했다. 수서역사가 들어설 공간은 개발제한구역 내에 위치해 공사를 하려면 서울시와 국토부 심의를 받아야 한다. 게다가 서울시는 GB관리계획수립과 무관한 사항을 심의시마다 바꿔 요구하며 3차례나 심의를 보류시켰다. 지난 8월 1일 심의에서는 소위원회에 결정권한을 위임하고 이달 5일까지 처리키로 했으나 아직까지 회의계획조차 잡지 않고 있다.
삼성역 연장은 기술적으로도 어려움이 많은데다 막대한 사업비가 추가로 필요하고, 사업기간도 3년 이상 필요하다.

<수서발 ktx사업이="" "수서역을="" 삼성역으로="" 교체하자="" "는="" 서울시="" 제안에="" 의해="" 난항이="" 예상된다.="" 국토부는="" "이럴="" 경우="" 2015년="" 개통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사진은="" 비닐하우스가="" 가득한="" 수서역="" 예정="" 부지.="" 사진="" 철도시설공단="" 제공="">
김광재 공단 이사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서울시가 삼성역을 반대해 수서역으로 결정했는데 시장이 바뀐 후 입장이 달라졌다"며 "삼성역은 지하 50미터 이하로 내려가야 하고, 시종착역에 필요한 주박시설(차량 정비하는 곳)을 지하에 건설할 수도 없다"고 반대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설명자료를 통해 "수서역을 삼성역으로 교체하라고 요구한 적이 없으며, 다만 삼성역까지 연장하는 방안과, 수도권광역도시철도(GTX) 수서~삼성사업 추진시 연계·추진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할 것을 제안했다"고 해명했다. 서울시는 현재 계획대로 사업을 추진할 경우 KTX 노선 연장시 매몰비용 발생, 개발제한구역의 과도한 훼손 및 이용시민 불편 등을 우려했다. 이에 따라 그간의 추진에도 불구하고 계획여건 및 정책환경이 변화돼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 재검토할 필요성이 있다는 게 서울시 생각이다. 서울시는 "KTX와 GTX 연계사업 추진, KTX 삼성역 연장에 따른 기술적, 경제성 검토가 병행돼야 하므로 일정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밝혔다.
임창수 서울시 종합계획팀장은 "서울연구원과 함께 검토 중이며, 다음 주중 내부 논의를 거쳐 국토부 건의 및 소위원회 개최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2015년 개통에 차질을 빚을 정도로 시간이 길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선일 기자
김병국 기자 bg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수서발>
국토부 "이제는 바꿀 수 없어 " 거부
국토해양부와 서울시가 '수서발 KTX'를 놓고 갈등을 빚고 있다. 서울시가 "시종점역을 수서역에서 삼성역으로 바꿀 것"을 제안했고, 국토부는 "이제는 바꿀 수 없다"는 입장이어서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자칫 2015년 개통에 차질이 우려된다.
수서발 KTX 건설을 맡고 있는 철도시설공단은 5일 보도자료를 통해 "서울시가 수서역 대신 삼성역을 시종착역으로 건설해 줄 것을 최근 요구함에 따라 수도권 고속철도 2014년 완공은 사실상 어렵게 됐다"고 밝혔다. 최근 서울시 관계자가 국토부를 찾아와 "수서역 대신 삼성역을 시종점 역으로 해 줄 것"을 요구했고, 국토부는 "이제 와서 바꿀 수 없고, 대신 수서발 KTX가 삼성역을 운행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공단은 "서울시 요구는 수도권 고속철도를 건설하지 말자는 것과 같다"며 불만을 나타냈다.
공단에 따르면 원래 삼성역 연장을 반대한 것이 서울시다. 당초 삼성역과 수서역을 검토했으나 서울시와 강남구청의 반대로 지난 2009년 수서역을 시종착역으로 낙점했다. 지난해 10월 국토부 장관 주재 회의 때도 서울시와 강남구청은 교통 혼잡 등을 이유로 삼성역을 반대했다. 그동안 삼성역 연장을 반대하던 서울시가 이제 와 태도를 바꾼 것이다.
이번 말고도 서울시는 그동안 수서발 KTX 사업에 비협조적인 모습을 보였다는 게 공단측 주장이다. 수서역 건설을 위한 개발제한구역(GB) 관리계획수립을 위해 지난해 3월 서울시에 심의를 요구했으나 1년 2개월이 지난 올해 5월에서야 심의를 시작했다. 수서역사가 들어설 공간은 개발제한구역 내에 위치해 공사를 하려면 서울시와 국토부 심의를 받아야 한다. 게다가 서울시는 GB관리계획수립과 무관한 사항을 심의시마다 바꿔 요구하며 3차례나 심의를 보류시켰다. 지난 8월 1일 심의에서는 소위원회에 결정권한을 위임하고 이달 5일까지 처리키로 했으나 아직까지 회의계획조차 잡지 않고 있다.
삼성역 연장은 기술적으로도 어려움이 많은데다 막대한 사업비가 추가로 필요하고, 사업기간도 3년 이상 필요하다.

<수서발 ktx사업이="" "수서역을="" 삼성역으로="" 교체하자="" "는="" 서울시="" 제안에="" 의해="" 난항이="" 예상된다.="" 국토부는="" "이럴="" 경우="" 2015년="" 개통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사진은="" 비닐하우스가="" 가득한="" 수서역="" 예정="" 부지.="" 사진="" 철도시설공단="" 제공="">
김광재 공단 이사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서울시가 삼성역을 반대해 수서역으로 결정했는데 시장이 바뀐 후 입장이 달라졌다"며 "삼성역은 지하 50미터 이하로 내려가야 하고, 시종착역에 필요한 주박시설(차량 정비하는 곳)을 지하에 건설할 수도 없다"고 반대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설명자료를 통해 "수서역을 삼성역으로 교체하라고 요구한 적이 없으며, 다만 삼성역까지 연장하는 방안과, 수도권광역도시철도(GTX) 수서~삼성사업 추진시 연계·추진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할 것을 제안했다"고 해명했다. 서울시는 현재 계획대로 사업을 추진할 경우 KTX 노선 연장시 매몰비용 발생, 개발제한구역의 과도한 훼손 및 이용시민 불편 등을 우려했다. 이에 따라 그간의 추진에도 불구하고 계획여건 및 정책환경이 변화돼 보다 근본적인 차원에서 재검토할 필요성이 있다는 게 서울시 생각이다. 서울시는 "KTX와 GTX 연계사업 추진, KTX 삼성역 연장에 따른 기술적, 경제성 검토가 병행돼야 하므로 일정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밝혔다.
임창수 서울시 종합계획팀장은 "서울연구원과 함께 검토 중이며, 다음 주중 내부 논의를 거쳐 국토부 건의 및 소위원회 개최 등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2015년 개통에 차질을 빚을 정도로 시간이 길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선일 기자
김병국 기자 bg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수서발>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