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신용평가인프라 모색 … "긍지 잃은 공기업직원들 희망 찾기"
"노조가 정책토론회 준비 자금이 부족하다니까, 조합원들이 후원금을 걷더군요. 일부 회사간부들도 보탰어요. 주제가 업무와 관련 있는데, 속을 들여다보면 일하는 보람과 긍지를 찾으려는 직원들의 노력인 셈입니다."
12일 서울 여의도 노조사무실에서 만난 한국기업데이터 노조(전국금융산업노조 한국기업데이터지부) 윤주필 위원장은 18일 열릴 '중소기업 경제민주화 왜 필요한가' 토론회 준비에 정신이 없었다. '신용정보 인프라 구축과 금융공공성'을 주제로 한 이 토론회는 중소기업 자금난 해소를 위해 국가차원의 신용평가와 정보제공 체계를 어떻게 마련할 것인지 방안을 모색하려는 자리다.

<한국기업데이터 윤주필="" 노조위원장은="" "노조가="" 나서="" 제대로="" 된="" 중소기업="" 신용평가회사를="" 만들어="" 달라"며="" "노조가="" 만든="" 정확한="" 신용정보를="" 활용해="" 중소기업들이="" 당당하게="" 자금을="" 조달받도록="" 하는="" 게="" 조합원들="" 바람"이라고="" 말했다.="" 사진="" 강경흠="" 기자="">
"우리는 자금난을 겪는 중소기업 관계자들을 숱하게 만나요. 지금도 기억나는 한 사장님은 기술우수기업으로 인정받아 40억원 규의 정부 수주도 받았어요. 그런데 담보가 없다고 은행에서 전혀 대출을 못받는 거예요. 한마디로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으로 올라갈 사다리가 없는 겁니다. 그러다가 대기업에 기술 뺏기면 사라지고 마는 게 중소기업 운명이죠."
지난해 3월 노조위원장을 맡은 윤 위원장은 삼성SDS에서 9년간 전산개발업무를 하던 우수간부였다. "동료들은 대부분 회사 출범 당시 특별채용된 인재였어요. 중소기업을 위해 국가 인프라를 만든다는 자부심으로 일했죠. 급여는 공공기관 최하위 수준인데도, 임금 동결·삭감까지 받아들였어요. 하지만 하나 둘 회사를 떠나더군요. 노조가 직장생활을 통해 사회에 기여하고 자신의 보람을 찾고 싶은 동료들의 고민을 해결할 수 있겠다 싶었어요."
한국기업데이터는 2005년 중소기업 경영난의 최대과제인 자금난 해결을 위해 정부가 설립했다. 전문 신용평가기관을 통해 재무정보 부족과 재무제표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면 담보나 보증 없이도 대출을 받을 수 있고, 은행 여신 담상자도 사후책임을 면할 수 있어 중소기업 대출을 활성화할 수 있다는 취지였다. 하지만 실제 운영은 취지와 달랐다. 신용평가회사는 특정주주의 지분을 10% 이내로 제한하고 균등하게 나눠갖도록 해야 하는데, 신용보증기금의 지분이 45%나 됐다. 기업은행 13%, 산업은행 10% 등 국책기관을 제외하면 중소기업들의 실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은행들의 지분은 2% 이하였다. 은행들은 자신들과 이해관계가 없는 공공기관에 중소기업의 핵심정보를 넘겨줄 이유가 없었다.
"정부와 대주주는 대표이사, 임원, 감사 등을 낙하산으로 보내기에만 급급했어요. 직원들은 공공기관 최저연봉을 받는데, 경영진들은 공기업 최대연봉을 받고 성과급 잔치를 벌여 국정감사에서 이미지가 망가지기도 했어요. 2006년 설립 당시 450명이던 직원은 이제 200명 이하로 줄었어요."
금융위원회 김석동 위원장은 지난 2월 '중소기업 신용정보 인프라를 확충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후 금융당국은 지분구조를 조정해 은행의 지분 참여 폭을 확대했으나, 이는 '민영화 실적 채우기용'이라는 게 노조 주장이다.
"정부나 금융당국은 주주와 상의해서 결정하라고만 해요. 그동안 정부나 주주의 요구에 따르다보니, 매출 대비 당기순이익이 32%나 됐어요. 이게 중소기업 부담을 덜고 공정하게 신용평가하는 공공기관의 실적이라고 할 수 있나요?"
윤 위원장은 내달부터 사측과 임금교섭을 앞두고 있지만 아직 요구안조차 제대로 만들지 못하고 있다. "조합원들의 관심이 이번 토론회에 쏠려 있어요. 노조가 나서 제대로 된 중소기업 신용평가회사를 만들어달라는 겁니다. 우리가 만드는 정확한 신용정보를 활용해서 중소기업들이 당당하게 자금을 조달받도록 하는 게 조합원들 바람입니다."
강경흠 기자 khk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한국기업데이터>
"노조가 정책토론회 준비 자금이 부족하다니까, 조합원들이 후원금을 걷더군요. 일부 회사간부들도 보탰어요. 주제가 업무와 관련 있는데, 속을 들여다보면 일하는 보람과 긍지를 찾으려는 직원들의 노력인 셈입니다."
12일 서울 여의도 노조사무실에서 만난 한국기업데이터 노조(전국금융산업노조 한국기업데이터지부) 윤주필 위원장은 18일 열릴 '중소기업 경제민주화 왜 필요한가' 토론회 준비에 정신이 없었다. '신용정보 인프라 구축과 금융공공성'을 주제로 한 이 토론회는 중소기업 자금난 해소를 위해 국가차원의 신용평가와 정보제공 체계를 어떻게 마련할 것인지 방안을 모색하려는 자리다.

<한국기업데이터 윤주필="" 노조위원장은="" "노조가="" 나서="" 제대로="" 된="" 중소기업="" 신용평가회사를="" 만들어="" 달라"며="" "노조가="" 만든="" 정확한="" 신용정보를="" 활용해="" 중소기업들이="" 당당하게="" 자금을="" 조달받도록="" 하는="" 게="" 조합원들="" 바람"이라고="" 말했다.="" 사진="" 강경흠="" 기자="">
"우리는 자금난을 겪는 중소기업 관계자들을 숱하게 만나요. 지금도 기억나는 한 사장님은 기술우수기업으로 인정받아 40억원 규의 정부 수주도 받았어요. 그런데 담보가 없다고 은행에서 전혀 대출을 못받는 거예요. 한마디로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으로 올라갈 사다리가 없는 겁니다. 그러다가 대기업에 기술 뺏기면 사라지고 마는 게 중소기업 운명이죠."
지난해 3월 노조위원장을 맡은 윤 위원장은 삼성SDS에서 9년간 전산개발업무를 하던 우수간부였다. "동료들은 대부분 회사 출범 당시 특별채용된 인재였어요. 중소기업을 위해 국가 인프라를 만든다는 자부심으로 일했죠. 급여는 공공기관 최하위 수준인데도, 임금 동결·삭감까지 받아들였어요. 하지만 하나 둘 회사를 떠나더군요. 노조가 직장생활을 통해 사회에 기여하고 자신의 보람을 찾고 싶은 동료들의 고민을 해결할 수 있겠다 싶었어요."
한국기업데이터는 2005년 중소기업 경영난의 최대과제인 자금난 해결을 위해 정부가 설립했다. 전문 신용평가기관을 통해 재무정보 부족과 재무제표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면 담보나 보증 없이도 대출을 받을 수 있고, 은행 여신 담상자도 사후책임을 면할 수 있어 중소기업 대출을 활성화할 수 있다는 취지였다. 하지만 실제 운영은 취지와 달랐다. 신용평가회사는 특정주주의 지분을 10% 이내로 제한하고 균등하게 나눠갖도록 해야 하는데, 신용보증기금의 지분이 45%나 됐다. 기업은행 13%, 산업은행 10% 등 국책기관을 제외하면 중소기업들의 실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은행들의 지분은 2% 이하였다. 은행들은 자신들과 이해관계가 없는 공공기관에 중소기업의 핵심정보를 넘겨줄 이유가 없었다.
"정부와 대주주는 대표이사, 임원, 감사 등을 낙하산으로 보내기에만 급급했어요. 직원들은 공공기관 최저연봉을 받는데, 경영진들은 공기업 최대연봉을 받고 성과급 잔치를 벌여 국정감사에서 이미지가 망가지기도 했어요. 2006년 설립 당시 450명이던 직원은 이제 200명 이하로 줄었어요."
금융위원회 김석동 위원장은 지난 2월 '중소기업 신용정보 인프라를 확충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후 금융당국은 지분구조를 조정해 은행의 지분 참여 폭을 확대했으나, 이는 '민영화 실적 채우기용'이라는 게 노조 주장이다.
"정부나 금융당국은 주주와 상의해서 결정하라고만 해요. 그동안 정부나 주주의 요구에 따르다보니, 매출 대비 당기순이익이 32%나 됐어요. 이게 중소기업 부담을 덜고 공정하게 신용평가하는 공공기관의 실적이라고 할 수 있나요?"
윤 위원장은 내달부터 사측과 임금교섭을 앞두고 있지만 아직 요구안조차 제대로 만들지 못하고 있다. "조합원들의 관심이 이번 토론회에 쏠려 있어요. 노조가 나서 제대로 된 중소기업 신용평가회사를 만들어달라는 겁니다. 우리가 만드는 정확한 신용정보를 활용해서 중소기업들이 당당하게 자금을 조달받도록 하는 게 조합원들 바람입니다."
강경흠 기자 khk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한국기업데이터>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