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수 싸이(본명 박재상)의 '강남스타일' 전세계 음반 수익이 약 1000억원대로 예상되지만 정작 국내 온라인 음원 판매로 받게 될 저작권료 수입은 3600만원대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남경필(새누리당) 의원은 국정감사를 위해 최근 문화체육관광부로 부터 제공 받은 `디지털 음악시장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보고서(삼일회계법인)'를 인용해 이같이 사실을 공개했다.
싸이의 <강남 스타일="">은 국내 6개 주요 음악서비스 사업자와 이동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음악 서비스에 9주간 1위에 올랐으며 누적 다운로드 286만건, 스트리밍 2732만건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현재 국내 온라인 음원 수입의 곡당 평균 저작권료는 다운로드 10.7원, 스트리밍은 0.2원이다. 이를 근거로 <강남 스타일="">의 저작권료 수입을 환산하면 약 3600만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 뿐만아니라 작곡가 윤건형과 공동 작곡임으로 저작권료 3600만원도 1/2로 나눠 받게 된다면 싸이의 금액은 1800만원로 예산된다고.
남 의원은 9주 동안 1위를 차지하고도 싸이의 수입이 적은 이유는 "현재 국내 온라인 음원 가격이 다른 나라에 비해 매우 낮게 책정돼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미국의 곡당 다운로드 최저 가격은 791원, 캐나다 804원, 영국 1,64원인데 비해 한국 음원시장의 곡당 다운로드 최저 가격은 평균 63원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수익 배분율도 미국은 유통사가 30%, 70%는 제작자, 작곡가 및 가수 등 권리자 등이 배분 받지만 한국의 경우는 유통사가 40-57%대의 수익을 가져가 창작자의 수익이 적어질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국내 음악 관계자들은 "인디 음악은 1년 수입이 겨우 200만대 불과하다면 K-POP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서는 이번 기회에 음원 가격과 유통 구조를 현실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연예부>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연예부>강남>강남>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