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지원협의체 감시강화 … 일부 지자체 쓰레기 야적
인천 수도권매립지 주민지원협의체가 반입 폐기물 '준법감시' 활동을 벌이면서 시흥 안양 평택 등 일부 지자체들이 쓰레기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매립지 주민지원협의체는 지난달 3일부터 음식물쓰레기나 미등록 폐기물이 일부라도 섞이면 반입을 막고 있다.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수익금의 지역 환원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고, 매립지 사후관리 프로그램으로 조성한 골프장 운영권을 민간에 위탁하기로 결정한데 반발, 사실상 쓰레기 반입을 저지하고 나선 것이다.
이에 따라 자체 소각장이 없거나 소각장 규모가 작은 지자체들이 쓰레기 처리에 골치를 앓고 있다. 경기 시흥시는 수도권매립지에서 하루 40~50톤씩 처리하던 쓰레기를 적환장에 쌓고 있지만 곧 포화상태인 3000톤에 이를 전망이다. 안양시는 자체 소각장이 있지만 현재 리모델링공사에 들어가 수도권매립지를 이용하려던 하루 70~80톤의 쓰레기를 적환장에 보관하고 있다. 평택시도 생활쓰레기 1500여톤이 적환장에 쌓여 있다. 이들 지자체는 결국 민간업체에 쓰레기처리를 맡기기로 하고 이에 필요한 예산을 예비비 등에서 마련할 방침이다.
인천의 경우 공영 소각장 2곳 가운데 1곳이 오는 22일부터 정비를 위해 가동을 중단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 금천·관악·은평구도 수도권매립지에서 처리할 때보다 3~5배 많은 비용을 투입해 경기도의 민간소각장 등을 이용하고 있다.
수도권매립지의 생활폐기물 처리비용은 1톤당 1만6320원이지만 민간업체의 처리비용은 1톤당 10만원 이상을 줘야 해 지지체 부담이 크다. 수도권매립지 쓰레기 반입 저지가 장기화될 경우 쓰레기 대란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서울 경기 등 지자체 관계자들은 17일 열릴 수도권매립지 주민 전체회의에서 이견이 해소돼 쓰레기 반입이 이뤄지길 기대하고 있다.
김신일 기자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인천 수도권매립지 주민지원협의체가 반입 폐기물 '준법감시' 활동을 벌이면서 시흥 안양 평택 등 일부 지자체들이 쓰레기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매립지 주민지원협의체는 지난달 3일부터 음식물쓰레기나 미등록 폐기물이 일부라도 섞이면 반입을 막고 있다.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수익금의 지역 환원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고, 매립지 사후관리 프로그램으로 조성한 골프장 운영권을 민간에 위탁하기로 결정한데 반발, 사실상 쓰레기 반입을 저지하고 나선 것이다.
이에 따라 자체 소각장이 없거나 소각장 규모가 작은 지자체들이 쓰레기 처리에 골치를 앓고 있다. 경기 시흥시는 수도권매립지에서 하루 40~50톤씩 처리하던 쓰레기를 적환장에 쌓고 있지만 곧 포화상태인 3000톤에 이를 전망이다. 안양시는 자체 소각장이 있지만 현재 리모델링공사에 들어가 수도권매립지를 이용하려던 하루 70~80톤의 쓰레기를 적환장에 보관하고 있다. 평택시도 생활쓰레기 1500여톤이 적환장에 쌓여 있다. 이들 지자체는 결국 민간업체에 쓰레기처리를 맡기기로 하고 이에 필요한 예산을 예비비 등에서 마련할 방침이다.
인천의 경우 공영 소각장 2곳 가운데 1곳이 오는 22일부터 정비를 위해 가동을 중단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 금천·관악·은평구도 수도권매립지에서 처리할 때보다 3~5배 많은 비용을 투입해 경기도의 민간소각장 등을 이용하고 있다.
수도권매립지의 생활폐기물 처리비용은 1톤당 1만6320원이지만 민간업체의 처리비용은 1톤당 10만원 이상을 줘야 해 지지체 부담이 크다. 수도권매립지 쓰레기 반입 저지가 장기화될 경우 쓰레기 대란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서울 경기 등 지자체 관계자들은 17일 열릴 수도권매립지 주민 전체회의에서 이견이 해소돼 쓰레기 반입이 이뤄지길 기대하고 있다.
김신일 기자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