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학년 49%, 2학년 52% 감소 … 스포츠클럽 활동 의무화 결과
경기도내 중학교 절반 정도가 기존 동아리 활동을 감축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교육청이 2학기 들어 경기도내 중학교 교육과정 편성 현황을 파악한 결과, 전체 490개교 중에서 1학년 244개교(49.8%)와 2학년 257개교(52.4%)가 동아리 활동을 감축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이 같은 결과는 지난 7월 교육과정 개정으로 2학기부터 중학교 모든 학년에서 학교스포츠클럽을 의무적으로 실시했기 때문이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 7월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개정안을 고시하면서 "중학교에서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은 2학기부터 전 학년에서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런 방침에 따라 경기도내 중학교들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시간을 늘리는 대신 교과수업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감축했다. 특히, 창의적 체험활동의 감축폭이 컸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1학년 361개교와 2학년 373개교에서 감소 됐고, 전체 490개교 평균 감축수업시간은 각각 13.9시간과 14시간이다.
한 학기 51시간의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약 1/4이 줄어든 셈이다. 창의적 체험활동 4개 영역(자율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중에서는 동아리 활동시간이 가장 많이 줄었다.
경기도내 대부분의 학교들은 교육과정 개정 이전, 주당 1시간(연간 34시간) 정도를 동아리 활동시간으로 운영했다. 학생들은 자신의 취미, 특기, 적성 등에 따라 다양한 동아리를 선택해 자율적으로 활동하면서 교과 공부나 진로와 연결시켜왔다.
1∼2학년과 달리 2007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받는 3학년은 325개교가 특별활동을 감축했고 중학교 전체적으로 평균 11시간 줄었다.
이에 대해 경기도교육청 학교혁신과 관계자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정규수업으로 편성하기 보다는 학생들의 자발적인 동아리활동으로 편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렇지 못해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인성교육을 위한 교육정책이 또 다른 인성교육의 소홀을 가져왔다"며 "교육과정 편성권이 없는 도교육청으로서 한계가 뚜렷하지만, 학교들과 다양한 방안을 논의해보겠다"고 말했다.
이형재 기자 hjlee@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경기도내 중학교 절반 정도가 기존 동아리 활동을 감축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교육청이 2학기 들어 경기도내 중학교 교육과정 편성 현황을 파악한 결과, 전체 490개교 중에서 1학년 244개교(49.8%)와 2학년 257개교(52.4%)가 동아리 활동을 감축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이 같은 결과는 지난 7월 교육과정 개정으로 2학기부터 중학교 모든 학년에서 학교스포츠클럽을 의무적으로 실시했기 때문이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 7월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개정안을 고시하면서 "중학교에서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은 2학기부터 전 학년에서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런 방침에 따라 경기도내 중학교들은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시간을 늘리는 대신 교과수업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감축했다. 특히, 창의적 체험활동의 감축폭이 컸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1학년 361개교와 2학년 373개교에서 감소 됐고, 전체 490개교 평균 감축수업시간은 각각 13.9시간과 14시간이다.
한 학기 51시간의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약 1/4이 줄어든 셈이다. 창의적 체험활동 4개 영역(자율활동, 동아리 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중에서는 동아리 활동시간이 가장 많이 줄었다.
경기도내 대부분의 학교들은 교육과정 개정 이전, 주당 1시간(연간 34시간) 정도를 동아리 활동시간으로 운영했다. 학생들은 자신의 취미, 특기, 적성 등에 따라 다양한 동아리를 선택해 자율적으로 활동하면서 교과 공부나 진로와 연결시켜왔다.
1∼2학년과 달리 2007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받는 3학년은 325개교가 특별활동을 감축했고 중학교 전체적으로 평균 11시간 줄었다.
이에 대해 경기도교육청 학교혁신과 관계자는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정규수업으로 편성하기 보다는 학생들의 자발적인 동아리활동으로 편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렇지 못해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인성교육을 위한 교육정책이 또 다른 인성교육의 소홀을 가져왔다"며 "교육과정 편성권이 없는 도교육청으로서 한계가 뚜렷하지만, 학교들과 다양한 방안을 논의해보겠다"고 말했다.
이형재 기자 hjlee@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