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전주 우석대 강연 … 2박3일 호남방문 마무리
호남지역 방문 사흘째를 맞은 무소속 안철수 후보가 5일 "호남은 중앙과 지역격차가 심각한 지역 중 하나이며, 미래 위협이 될 지역격차 해소가 다음 정부의 최대 현안이자 가장 중요한 과제"라면서 지역격차 해소를 중요한 시대정신의 하나로 지목했다.
안 후보는 이날 전주 우석대에서 '국민이 선택하는 새로운 변화가 시작됩니다'란 주제의 특별강연에서 "경제민주화도 격차 해소라는 시대정신의 한 부분이며, 지역 인재에게 기회와 시간을 주는 방식의 한국형 사회적 약자 우대 정책이 필요하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안 후보는 하루 전 광주 조선대 강연에서도 지역격차 문제를 거론했다. 그는 "경제민주화는 격차해소라는 시대정신의 한 부분으로 성별·세대·지역간 격차, 중소기업·대기업간 격차 등 한국사회의 다양한 이해당사자간에 수많은 격차들이 있다"면서 "호남이 겪는 (지역간)격차는 소외를 넘어 좌절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안 후보가 이처럼 지역격차 문제를 연이어 강조한 것은 '새로운 정치'와 '중앙-지역 양극화 해소를 통한 경제적 비전 제시'란 두 개 축으로 호남 민심의 지지기반을 다져, 후보단일화의 경쟁상대인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의 추격을 뿌리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안 후보는 5일 오후 전주상공회의소에서 '더불어 함께하는 사회통합적 일자리 만들기' 포럼에 참석해 토론을 벌인 뒤 서울로 올라올 예정이다.
한편, 안 후보는 4일 저녁 전주에 도착한 뒤 기자단과 만나 후보단일화와 정치변화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 안 후보는 는 자신이 범야권 대선 후보로 분류되는 것에 대해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는다"면서 "제일 중요한 것은 정치시스템 자체에 대한 개혁"이라고 답했다. 후보 단일화와 관련해서는 "'새 정치'가 상위개념"이라며 "그 열망만은 확실하다는 믿음이 있었기 때문에 나왔다"고 말했다. 조선대 강연에서는 "역사의 고비마다 정말 중요한 변화들을 선도해온 호남이 새로운 정치를 여는 성지가 돼 달라"고 말했다.
전주=이명환 기자
김상범 기자 clay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호남지역 방문 사흘째를 맞은 무소속 안철수 후보가 5일 "호남은 중앙과 지역격차가 심각한 지역 중 하나이며, 미래 위협이 될 지역격차 해소가 다음 정부의 최대 현안이자 가장 중요한 과제"라면서 지역격차 해소를 중요한 시대정신의 하나로 지목했다.
안 후보는 이날 전주 우석대에서 '국민이 선택하는 새로운 변화가 시작됩니다'란 주제의 특별강연에서 "경제민주화도 격차 해소라는 시대정신의 한 부분이며, 지역 인재에게 기회와 시간을 주는 방식의 한국형 사회적 약자 우대 정책이 필요하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안 후보는 하루 전 광주 조선대 강연에서도 지역격차 문제를 거론했다. 그는 "경제민주화는 격차해소라는 시대정신의 한 부분으로 성별·세대·지역간 격차, 중소기업·대기업간 격차 등 한국사회의 다양한 이해당사자간에 수많은 격차들이 있다"면서 "호남이 겪는 (지역간)격차는 소외를 넘어 좌절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안 후보가 이처럼 지역격차 문제를 연이어 강조한 것은 '새로운 정치'와 '중앙-지역 양극화 해소를 통한 경제적 비전 제시'란 두 개 축으로 호남 민심의 지지기반을 다져, 후보단일화의 경쟁상대인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의 추격을 뿌리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안 후보는 5일 오후 전주상공회의소에서 '더불어 함께하는 사회통합적 일자리 만들기' 포럼에 참석해 토론을 벌인 뒤 서울로 올라올 예정이다.
한편, 안 후보는 4일 저녁 전주에 도착한 뒤 기자단과 만나 후보단일화와 정치변화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 안 후보는 는 자신이 범야권 대선 후보로 분류되는 것에 대해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는다"면서 "제일 중요한 것은 정치시스템 자체에 대한 개혁"이라고 답했다. 후보 단일화와 관련해서는 "'새 정치'가 상위개념"이라며 "그 열망만은 확실하다는 믿음이 있었기 때문에 나왔다"고 말했다. 조선대 강연에서는 "역사의 고비마다 정말 중요한 변화들을 선도해온 호남이 새로운 정치를 여는 성지가 돼 달라"고 말했다.
전주=이명환 기자
김상범 기자 clay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