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방에 대한 불만 쌓여 … 정책 놓고 충돌 우려도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후보와 영입 투톱(김종인 국민행복추진위원장, 안대희 정치쇄신위원장)이 '불안한 동거'를 이어가고 있다. 박 후보가 경제민주화와 정치쇄신을 상징할 인물로 영입한 투톱이 서로 익숙하지 않은 스타일 때문에 불협화음이 끊이지 않더니 영입 결과물인 정책발표를 전후해선 서로를 향한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않고 있다.
박 후보측은 김 위원장에게 잔뜩 화 난 분위기다. 김 위원장이 지난해 말 비대위원으로 당에 들어온 뒤 수차례 사퇴 카드를 앞세워 박 후보를 곤혹스럽게 하더니 이번엔 경제민주화 정책을 놓고 박 후보 심기를 건들었다는 것.
박 후보측 인사는 "김 위원장에겐 경제민주화를 이룰 좋은 정책을 만들어주길 바랐는데, 김 위원장은 정책은 뒷전이고 허구한 날 사퇴 타령만 하면서 내부결속을 흐트렸다"고 비판했다. 그는 "경제민주화 정책이 결정됐으면 보고한 뒤 기다려야 하는데, (보고) 하루만에 (박 후보가) 발표할 것처럼 언론에 흘리더니 발표를 안한다고 결재도 안된 걸 언론에 공개했다"며 "박 후보가 가장 싫어하는 언론플레이를 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이번엔 박 후보의 선택이 쉽지 않은 대기업집단법 등을 미리 흘리는 바람에 한층 곤혹스럽게 됐다는 불만이다. 박 후보 측근은 "이번주에는 (경제민주화 발표가) 어렵지 않겠냐"고 말해 고민이 가볍지 않음을 내비쳤다.
박 후보측은 안 위원장에 대해서도 "후보가 (정책을) 검토하고 있는데 기자간담회까지 열어 발표를 압박하는 모습을 보인 건 경솔했다"는 분위기다. 안 위원장도 6일 "지난달 29일 기자간담회를 해서 야단맞았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물론 영입 인사측도 박 후보에 대한 불만이 적지 않은 눈치다. 박 후보가 보고된 정책을 어떤 경로를 통해 결정하는지 알 수 없고, 결정 자체가 지체되는 바람에 야권에 주도권을 뺏긴다는 고민이다. 안 위원장은 "(정책을 이미 보고했는데) 발표가 빨리 안나 스트레스도 받았다"고 전했다.

<박근혜 바라보는="" 안대희="" 안대희="" 정치쇄신특별위원장이=""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박근혜="" 새누리당="" 대통령후보의="" 정치="" 쇄신안="" 발표를="" 듣고="" 있다.="" 뉴시스="" 홍찬선="" 기자="">
영입 인사들이 만든 정책이 박 후보를 거치면서 손질이 심하게 이뤄진다는 우려도 있다. 6일 발표된 정치쇄신안에는 당초 원안에 들어있던 원내정당화나 권력기관 특권폐지가 빠졌다. 안 위원장은 "당내 이견이 있었다"고만 말했다.
김 위원장이 보고한 정책에서도 대기업집단법과 대기업 순환출자 의결권 제한 등은 최종발표에서 제기될 가능성이 점쳐진다. 영입인사측의 반발이 나올 수 있는 대목이다.
엄경용 기자 rabbit@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박근혜>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후보와 영입 투톱(김종인 국민행복추진위원장, 안대희 정치쇄신위원장)이 '불안한 동거'를 이어가고 있다. 박 후보가 경제민주화와 정치쇄신을 상징할 인물로 영입한 투톱이 서로 익숙하지 않은 스타일 때문에 불협화음이 끊이지 않더니 영입 결과물인 정책발표를 전후해선 서로를 향한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않고 있다.
박 후보측은 김 위원장에게 잔뜩 화 난 분위기다. 김 위원장이 지난해 말 비대위원으로 당에 들어온 뒤 수차례 사퇴 카드를 앞세워 박 후보를 곤혹스럽게 하더니 이번엔 경제민주화 정책을 놓고 박 후보 심기를 건들었다는 것.
박 후보측 인사는 "김 위원장에겐 경제민주화를 이룰 좋은 정책을 만들어주길 바랐는데, 김 위원장은 정책은 뒷전이고 허구한 날 사퇴 타령만 하면서 내부결속을 흐트렸다"고 비판했다. 그는 "경제민주화 정책이 결정됐으면 보고한 뒤 기다려야 하는데, (보고) 하루만에 (박 후보가) 발표할 것처럼 언론에 흘리더니 발표를 안한다고 결재도 안된 걸 언론에 공개했다"며 "박 후보가 가장 싫어하는 언론플레이를 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이번엔 박 후보의 선택이 쉽지 않은 대기업집단법 등을 미리 흘리는 바람에 한층 곤혹스럽게 됐다는 불만이다. 박 후보 측근은 "이번주에는 (경제민주화 발표가) 어렵지 않겠냐"고 말해 고민이 가볍지 않음을 내비쳤다.
박 후보측은 안 위원장에 대해서도 "후보가 (정책을) 검토하고 있는데 기자간담회까지 열어 발표를 압박하는 모습을 보인 건 경솔했다"는 분위기다. 안 위원장도 6일 "지난달 29일 기자간담회를 해서 야단맞았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물론 영입 인사측도 박 후보에 대한 불만이 적지 않은 눈치다. 박 후보가 보고된 정책을 어떤 경로를 통해 결정하는지 알 수 없고, 결정 자체가 지체되는 바람에 야권에 주도권을 뺏긴다는 고민이다. 안 위원장은 "(정책을 이미 보고했는데) 발표가 빨리 안나 스트레스도 받았다"고 전했다.

<박근혜 바라보는="" 안대희="" 안대희="" 정치쇄신특별위원장이="" 6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박근혜="" 새누리당="" 대통령후보의="" 정치="" 쇄신안="" 발표를="" 듣고="" 있다.="" 뉴시스="" 홍찬선="" 기자="">
영입 인사들이 만든 정책이 박 후보를 거치면서 손질이 심하게 이뤄진다는 우려도 있다. 6일 발표된 정치쇄신안에는 당초 원안에 들어있던 원내정당화나 권력기관 특권폐지가 빠졌다. 안 위원장은 "당내 이견이 있었다"고만 말했다.
김 위원장이 보고한 정책에서도 대기업집단법과 대기업 순환출자 의결권 제한 등은 최종발표에서 제기될 가능성이 점쳐진다. 영입인사측의 반발이 나올 수 있는 대목이다.
엄경용 기자 rabbit@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박근혜>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