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팀, 6억원 출처 거짓 정황 포착 … 증여세 포탈 혐의 추가될 듯
내곡동 사저 매입 의혹 사건을 수사중인 특검팀이 이명박 대통령 아들 시형씨의 진술이 거짓이라는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9일 알려졌다.
특검팀(이광범 특별검사)은 시형씨가 지난해 5월 24일 큰아버지인 이상은 다스 회장의 자택을 찾아가 6억원을 직접 현금으로 빌렸다고 한 진술이 당일 행적과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시형씨는 지난해 5월 24일 오전에는 다스 서울사무소, 점심은 청와대 경내, 저녁은 강남에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이 회장의 부인인 박 모씨는 이날 오후에는 모임에 참석하기 위해 광진구 자택을 비워 시형씨와 만날 시간적 여유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검팀은 이 회장의 아파트 출입 차량을 조회한 결과 시형씨가 다녀간 흔적을 찾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눈감은 이대통령="" 아들="" 시형씨="" 지난달="" 25일="" 이명박="" 대통령의="" 아들="" 시형씨가="" 내곡동="" 사저부지="" 의혹과="" 관련해="" 특검에="" 소환됐다.="" 연합뉴스="" 임헌정="" 기자="">
특검팀은 시형씨의 당일 행적을 확인하기 위해 이 회장의 부인 박씨에게 9일 출석할 것을 통보했다. 하지만 이석수 특검보는 8일 "박씨와 수차례 소환일정을 조율했지만, 건강상의 이유 등으로 출석을 거부하고 있다"고 밝혀 소환조사 여부는 불투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6억원의 출처와 시형씨의 행적이 묘연해지자 특검팀은 시형씨가 아닌 제3의 인물이 6억원을 수령했거나, 아예 현금 거래 없이 차명계좌에서 자금이 나왔을 가능성도 들여다 보고 있다. 시형씨로부터 6억원을 받아 보관했던 김세욱 전 청와대 선임행정관이 제3의 인물로 지목되고 있다.
차명계좌 가능성은 다스와 도곡동 땅의 실소유주 논란과 직결된다. 6억원의 출처가 도곡동 땅 매각 대금에서 나온 것으로 알려지면서 지난 2008년 2월 도곡동 땅과 다스 주식 차명 의혹에 대한 특검 수사도 도마에 올랐다. 다스 실소유주는 차명계좌를 통해 비자금을 관리했고, 사저 부지 매입 대금 6억원도 이 자금과 연동됐다는 의혹은 2007년부터 줄곧 제기돼 왔다.
특검팀은 김윤옥 여사의 논현동 땅을 담보로 농협에서 빌린 6억원에 대해서도 시형씨가 주도적으로 일을 처리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대출 과정에서 업무처리는 청와대 총무기획관실에서 맡은 것으로 알려졌다. 시형씨가 이 회장에게 건넸다는 차용증 역시 청와대 측이 작성한 의혹이 드러난 상태다.
시형씨 명의로 내곡동 사저 부지를 계약한 것은 증여세 회피의 목적이 있었다는 의혹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특검팀은 시형씨에 대한 혐의로 부동산실명등기법 위반 이외에 조세포탈 혐의도 추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 부부가 퇴임 후 살 집을 아들에게 증여세나 상속세 없이 물려 줄 목적으로 미리 시형씨 명의로 사저 부지를 계약했다는 해석이다.
한편 시형씨에게 땅을 담보로 제공해 준 김 여사를 조사하는 방식을 놓고 특검팀과 청와대가 여전히 힘겨루기를 하고 있다.
김 여사가 귀국하는 11일 이후 대면조사를 원하는 특검팀과 서면조사 형식을 고수하는 청와대가 이번주 조사 방식을 합의하지 못할 경우 특검팀의 수사 기간 연장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검팀은 9일 오후 수사기간 연장을 요청할 예정이다. 하지만 청와대는 수사 기간연장에 정치적 목적이 있다고 보고, 거부할 것으로 보여 특검 수사가 다음주 종료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눈감은>
내곡동 사저 매입 의혹 사건을 수사중인 특검팀이 이명박 대통령 아들 시형씨의 진술이 거짓이라는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9일 알려졌다.
특검팀(이광범 특별검사)은 시형씨가 지난해 5월 24일 큰아버지인 이상은 다스 회장의 자택을 찾아가 6억원을 직접 현금으로 빌렸다고 한 진술이 당일 행적과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시형씨는 지난해 5월 24일 오전에는 다스 서울사무소, 점심은 청와대 경내, 저녁은 강남에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이 회장의 부인인 박 모씨는 이날 오후에는 모임에 참석하기 위해 광진구 자택을 비워 시형씨와 만날 시간적 여유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검팀은 이 회장의 아파트 출입 차량을 조회한 결과 시형씨가 다녀간 흔적을 찾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눈감은 이대통령="" 아들="" 시형씨="" 지난달="" 25일="" 이명박="" 대통령의="" 아들="" 시형씨가="" 내곡동="" 사저부지="" 의혹과="" 관련해="" 특검에="" 소환됐다.="" 연합뉴스="" 임헌정="" 기자="">
특검팀은 시형씨의 당일 행적을 확인하기 위해 이 회장의 부인 박씨에게 9일 출석할 것을 통보했다. 하지만 이석수 특검보는 8일 "박씨와 수차례 소환일정을 조율했지만, 건강상의 이유 등으로 출석을 거부하고 있다"고 밝혀 소환조사 여부는 불투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6억원의 출처와 시형씨의 행적이 묘연해지자 특검팀은 시형씨가 아닌 제3의 인물이 6억원을 수령했거나, 아예 현금 거래 없이 차명계좌에서 자금이 나왔을 가능성도 들여다 보고 있다. 시형씨로부터 6억원을 받아 보관했던 김세욱 전 청와대 선임행정관이 제3의 인물로 지목되고 있다.
차명계좌 가능성은 다스와 도곡동 땅의 실소유주 논란과 직결된다. 6억원의 출처가 도곡동 땅 매각 대금에서 나온 것으로 알려지면서 지난 2008년 2월 도곡동 땅과 다스 주식 차명 의혹에 대한 특검 수사도 도마에 올랐다. 다스 실소유주는 차명계좌를 통해 비자금을 관리했고, 사저 부지 매입 대금 6억원도 이 자금과 연동됐다는 의혹은 2007년부터 줄곧 제기돼 왔다.
특검팀은 김윤옥 여사의 논현동 땅을 담보로 농협에서 빌린 6억원에 대해서도 시형씨가 주도적으로 일을 처리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대출 과정에서 업무처리는 청와대 총무기획관실에서 맡은 것으로 알려졌다. 시형씨가 이 회장에게 건넸다는 차용증 역시 청와대 측이 작성한 의혹이 드러난 상태다.
시형씨 명의로 내곡동 사저 부지를 계약한 것은 증여세 회피의 목적이 있었다는 의혹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특검팀은 시형씨에 대한 혐의로 부동산실명등기법 위반 이외에 조세포탈 혐의도 추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 부부가 퇴임 후 살 집을 아들에게 증여세나 상속세 없이 물려 줄 목적으로 미리 시형씨 명의로 사저 부지를 계약했다는 해석이다.
한편 시형씨에게 땅을 담보로 제공해 준 김 여사를 조사하는 방식을 놓고 특검팀과 청와대가 여전히 힘겨루기를 하고 있다.
김 여사가 귀국하는 11일 이후 대면조사를 원하는 특검팀과 서면조사 형식을 고수하는 청와대가 이번주 조사 방식을 합의하지 못할 경우 특검팀의 수사 기간 연장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특검팀은 9일 오후 수사기간 연장을 요청할 예정이다. 하지만 청와대는 수사 기간연장에 정치적 목적이 있다고 보고, 거부할 것으로 보여 특검 수사가 다음주 종료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김성배 기자 sb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눈감은>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