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23일 '택시법안' 통과땐 다시 중단" … 불씨 여전
22일 운행중단을 예고했던 서울·인천·경기 지역을 비롯한 전국 버스가 이날 출근시간대에 대부분 운행을 재개했다. 이에 따라 당초 우려됐던 출근길 교통대란은 일단 피했다.
그러나 전국 버스업계는 택시를 대중교통으로 인정하는 법안이 23일로 예정된 국회 본회의에서 처리된다면 무기한 운행중단을 실행한다는 입장이어서 아직 불씨는 남아 있다.

<22일 오전="" 6시="" 20분부터="" 버스운행="" 중단이="" 종료되면서="" 서울="" 강남대로="" 버스="" 전용차선에서="" 버스들이="" 원활히="" 오가고="" 있다.="" 연합뉴스="" 김현태="" 기자="">
서울 시내버스는 이날 차고지 기준 오전 6시 20분부터 정상운행을 재개했다. 이에 따라 시민들의 출퇴근이 집중되는 오전 7시쯤 버스운행이 완전히 정상화됐다.
그러나 서울시내버스운송사업조합은 "23일로 예정된 국회 본회의에서 '택시 대중교통 법안'이 처리된다면 무기한 운행 중단을 실행할 것"이라고 단서를 달았다.
시는 버스가 정상적으로 운행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전세버스, 지하철 증회 운영 등 비상수송대책을 평시로 되돌렸다. 버스전용차로도 정상 운영에 들어갔다.
서울시 관계자는 버스업계가 운행 재개를 결정한 것에 대해 "시민들의 출근 불편을 더이상 초래해서는 안 되고 버스업계가 택시법 법사위 통과에 따른 반대 의지를 충분히 전달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전날 밤부터 시내버스운송사업조합 및 서울버스노동조합 관계자들과 시내버스 정상운행을 지속적으로 설득해왔고, 이날 오전 6시를 전후해 정상운행에 합의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서울시내 버스업계는 택시 대중교통 법안에 반대, 이날 오전 5시 30분부터 현재 운행해야 할 시내버스 332개 노선 중 7개 노선 총 30대만 정상 운행하고 나머지는 운행을 중단했었다.
가장 큰 교통대란이 우려됐던 경기지역 버스는 오전 7시를 기해 운행을 재개하는 등 지방의 버스운행도 정상화됐다.
경기지역 55개 업체 소속 시내버스 1만371대, 시외버스 16개 1684대는 모두 운행을 재개했다. 경기도에서는 하루 506만명이 시내·외 버스를 이용해 이용객이 가장 많다.
인천지역 버스도 오전 6시 30분부터 시내 전체 207개 노선 2338대가 정상 운행했다.
부산지역 132개 노선 2500여대의 버스도 이날 오전 6시 20분부터 운행을 재개해 출근길 교통대란은 피하게 됐으며, 울산지역도 오전 7시를 기해 버스운행이 재개됐다.
이에 앞서 대전과 광주는 전날 운행중단을 철회하고 22일 첫차부터 정상운행했다.
대전시 버스조합은 전날 오전 총회에서 운행중단에 참여하기로 결의했으나 11시간여만인 오후 10시 30분을 기해 이를 철회했고, 광주시 버스조합도 시민의 불편을 예상해 정상운행을 결의했다.
김선일 기자 si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2일>
22일 운행중단을 예고했던 서울·인천·경기 지역을 비롯한 전국 버스가 이날 출근시간대에 대부분 운행을 재개했다. 이에 따라 당초 우려됐던 출근길 교통대란은 일단 피했다.
그러나 전국 버스업계는 택시를 대중교통으로 인정하는 법안이 23일로 예정된 국회 본회의에서 처리된다면 무기한 운행중단을 실행한다는 입장이어서 아직 불씨는 남아 있다.

<22일 오전="" 6시="" 20분부터="" 버스운행="" 중단이="" 종료되면서="" 서울="" 강남대로="" 버스="" 전용차선에서="" 버스들이="" 원활히="" 오가고="" 있다.="" 연합뉴스="" 김현태="" 기자="">
서울 시내버스는 이날 차고지 기준 오전 6시 20분부터 정상운행을 재개했다. 이에 따라 시민들의 출퇴근이 집중되는 오전 7시쯤 버스운행이 완전히 정상화됐다.
그러나 서울시내버스운송사업조합은 "23일로 예정된 국회 본회의에서 '택시 대중교통 법안'이 처리된다면 무기한 운행 중단을 실행할 것"이라고 단서를 달았다.
시는 버스가 정상적으로 운행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전세버스, 지하철 증회 운영 등 비상수송대책을 평시로 되돌렸다. 버스전용차로도 정상 운영에 들어갔다.
서울시 관계자는 버스업계가 운행 재개를 결정한 것에 대해 "시민들의 출근 불편을 더이상 초래해서는 안 되고 버스업계가 택시법 법사위 통과에 따른 반대 의지를 충분히 전달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전날 밤부터 시내버스운송사업조합 및 서울버스노동조합 관계자들과 시내버스 정상운행을 지속적으로 설득해왔고, 이날 오전 6시를 전후해 정상운행에 합의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서울시내 버스업계는 택시 대중교통 법안에 반대, 이날 오전 5시 30분부터 현재 운행해야 할 시내버스 332개 노선 중 7개 노선 총 30대만 정상 운행하고 나머지는 운행을 중단했었다.
가장 큰 교통대란이 우려됐던 경기지역 버스는 오전 7시를 기해 운행을 재개하는 등 지방의 버스운행도 정상화됐다.
경기지역 55개 업체 소속 시내버스 1만371대, 시외버스 16개 1684대는 모두 운행을 재개했다. 경기도에서는 하루 506만명이 시내·외 버스를 이용해 이용객이 가장 많다.
인천지역 버스도 오전 6시 30분부터 시내 전체 207개 노선 2338대가 정상 운행했다.
부산지역 132개 노선 2500여대의 버스도 이날 오전 6시 20분부터 운행을 재개해 출근길 교통대란은 피하게 됐으며, 울산지역도 오전 7시를 기해 버스운행이 재개됐다.
이에 앞서 대전과 광주는 전날 운행중단을 철회하고 22일 첫차부터 정상운행했다.
대전시 버스조합은 전날 오전 총회에서 운행중단에 참여하기로 결의했으나 11시간여만인 오후 10시 30분을 기해 이를 철회했고, 광주시 버스조합도 시민의 불편을 예상해 정상운행을 결의했다.
김선일 기자 si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2일>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