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교육감 후보 5명 공약 평가 결과 … "당선 후도 감시자 역할 할 것"
시민단체들이 평가한 교육정책 평가 결과 문용린 후보는 진로교육 분야에서 이수호 후보는 수업혁신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등 6개 교육ㆍ시민단체로 구성된 '2012 서울교육감 시민선택'이 5일 서울교육감 후보 5명의 공약 평가 결과를 내놨다. 그 결과 문용린 후보는 '책임교육 및 진로교육' '교육부패방지' 등 분야에서 충실한 공약을 세웠다는 평가를 받았다.
시민선택은 문 후보에 대해 "교육학자답게 전체적인 교육에 대한 안목과 일관성 있는 교육철학이 돋보였으며 교육청 차원에서 실현 가능한 대안을 실질적으로 제시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학생과 학부모가 느끼는 교육고통과 학교가 안은 구조적 모순에 대한 체감적 파악 부분에서 약간 미흡했다"고 지적했다.
이수호 후보는 '고교체제 및 고교입시' '수업혁신' '교육행정체제 혁신' 등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시민선택은 이 후보에 대해 "교사, 교육위원, 교원단체 대표 등의 경험을 토대로 학교현장에 바탕을 둔 정책 대안을 제시했고 정치적인 차원에서 풀어야 할 영역까지 비전과 대안을 제시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정책들이 교사 입장에 치우친 면이 아쉽다"고 지적했다.
남승희 후보에 대해서는 "학자, 부모, 교육행정 담당자 경험을 바탕으로 실현 가능한 정책을 많이 제시했으나 현실 장벽을 뛰어넘는 비전 제시가 약간 약했다"고 평가했다.
이상면 후보에 대해서는 "교육적 열정과 참신한 아이디어가 돋보였으나 학교 현장이나 교육행정 경험이 없는 관계로 현실 교육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그에 적합한 구체적인 정책 대안이 부족했다"고 평가했다.
최명복 후보에 대해서는 "현장 교사, 학원강사, 서울시 교육의원 등 다양한 교육현장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통계와 예산을 잘 파악하고 있는 장점을 지녔지만 서울교육에 대한 포괄적인 비전 제시와 대안의 탁월성 면이 부족했다"고 평가했다. 시민선택은 문제의식의 신뢰성, 대안의 타당성, 대안의 실현 가능성 기준에 따라 교육 정책 전반을 10개 항목으로 나눠 평가했다.
이번 평가작업은 각 후보 캠프에서 제출받은 질의 답변서와 개별 후보초청 토론회 결과를 토대로 이루어졌다.
좋은교사운동 문경민 정책위원장은 "교육정책 평가에서 기득권층 입장보다는 비기득권층의 입장을 더 깊이 생각했다"며 "선거가 끝난 이후에도 당선된 교육감이 후보시절 내세웠던 공약을 어떤 식으로 구현해 나가는지 지켜보는 감시자의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민선택에는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교육걱정없는세상, 교육을바꾸는사람들, 아름다운배움, 인간교육실현학부모연대, 좋은교사운동 등 이 참여했다.
이형재 기자 hjlee@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시민단체들이 평가한 교육정책 평가 결과 문용린 후보는 진로교육 분야에서 이수호 후보는 수업혁신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등 6개 교육ㆍ시민단체로 구성된 '2012 서울교육감 시민선택'이 5일 서울교육감 후보 5명의 공약 평가 결과를 내놨다. 그 결과 문용린 후보는 '책임교육 및 진로교육' '교육부패방지' 등 분야에서 충실한 공약을 세웠다는 평가를 받았다.
시민선택은 문 후보에 대해 "교육학자답게 전체적인 교육에 대한 안목과 일관성 있는 교육철학이 돋보였으며 교육청 차원에서 실현 가능한 대안을 실질적으로 제시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학생과 학부모가 느끼는 교육고통과 학교가 안은 구조적 모순에 대한 체감적 파악 부분에서 약간 미흡했다"고 지적했다.
이수호 후보는 '고교체제 및 고교입시' '수업혁신' '교육행정체제 혁신' 등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시민선택은 이 후보에 대해 "교사, 교육위원, 교원단체 대표 등의 경험을 토대로 학교현장에 바탕을 둔 정책 대안을 제시했고 정치적인 차원에서 풀어야 할 영역까지 비전과 대안을 제시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정책들이 교사 입장에 치우친 면이 아쉽다"고 지적했다.
남승희 후보에 대해서는 "학자, 부모, 교육행정 담당자 경험을 바탕으로 실현 가능한 정책을 많이 제시했으나 현실 장벽을 뛰어넘는 비전 제시가 약간 약했다"고 평가했다.
이상면 후보에 대해서는 "교육적 열정과 참신한 아이디어가 돋보였으나 학교 현장이나 교육행정 경험이 없는 관계로 현실 교육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그에 적합한 구체적인 정책 대안이 부족했다"고 평가했다.
최명복 후보에 대해서는 "현장 교사, 학원강사, 서울시 교육의원 등 다양한 교육현장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교육통계와 예산을 잘 파악하고 있는 장점을 지녔지만 서울교육에 대한 포괄적인 비전 제시와 대안의 탁월성 면이 부족했다"고 평가했다. 시민선택은 문제의식의 신뢰성, 대안의 타당성, 대안의 실현 가능성 기준에 따라 교육 정책 전반을 10개 항목으로 나눠 평가했다.
이번 평가작업은 각 후보 캠프에서 제출받은 질의 답변서와 개별 후보초청 토론회 결과를 토대로 이루어졌다.
좋은교사운동 문경민 정책위원장은 "교육정책 평가에서 기득권층 입장보다는 비기득권층의 입장을 더 깊이 생각했다"며 "선거가 끝난 이후에도 당선된 교육감이 후보시절 내세웠던 공약을 어떤 식으로 구현해 나가는지 지켜보는 감시자의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민선택에는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교육걱정없는세상, 교육을바꾸는사람들, 아름다운배움, 인간교육실현학부모연대, 좋은교사운동 등 이 참여했다.
이형재 기자 hjlee@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