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자치부의 화재겸용 ‘국민방독면’ 보급사업이 업체와의 유착으로 졸속 처리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하순봉(한나라당) 의원은 7일 행정자치부 국정감사에서 “행자부는 방독면 규격을 주도했던 K모 박사가 퇴
직 후 고위간부로 재직하고 있는 업체에서 생산한 국민방독면을, 반대의견이 있었음에도 조달청에 발주 의
뢰를 강행했다”며 특정업체와의 유착의혹을 강하게 제기했다.
하 의원이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방독면을 생산하는 S업체는 올 3월 국방과학연구소와 위탁계약을 체결, 방
독면에 대한 성능 실험을 했다. 하지만 국방과학연구소에서는 단 2가지 항목만 시험했고, 나머지 20여개 항
목은 모 업체의 공장에서 단순성능 확인 시험만 한 후 국민방독면 규격을 제정했다. 결국 업체에서 국민방독
면 규격을 제정한 셈이 됐다.
하 의원은 “방독면의 성능 또한 군 방독면에 비해 1/3 수준인데도 가격은 훨씬 비싸다”고 주장했다. 화생
방(정화통)은 군용의 15% 수준이고, 화재용은 일본의 C급에 불과한데도 가격은 현재(1만4200원)보다 2
배가 넘는 3만원대로 추정되고 있다는 것이다.
겸용방독면의 비효율성 문제는 지난 9월 26일 행자부 민방위국이 전문기관을 초청, 의견을 청취하는 자리
에서도 제기됐던 사안이다. 이 자리에서 행자부 소방국도 공문으로 겸용방독면의 위험성을 지적했다.
그러나 민방위 재난관리국은 10월 23일 조달청에 발주 의뢰를 강행했다.
이에 대해 하순봉 의원은 “한달 반만에 새규격의 방독면 22만개를 납품하라는 조건은 특정업체 밀어주기
아니냐”고 거듭 추궁했다.
행자부는 자료를 통해 “국내 15개 관련 기관 23명의 검토를 거쳐 의견을 수렴·반영해 확정했다”고 해명
했다. 시제품 성능시험 결과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는 강변이다.
/김형수 기자 hskim@naeil.com
하순봉(한나라당) 의원은 7일 행정자치부 국정감사에서 “행자부는 방독면 규격을 주도했던 K모 박사가 퇴
직 후 고위간부로 재직하고 있는 업체에서 생산한 국민방독면을, 반대의견이 있었음에도 조달청에 발주 의
뢰를 강행했다”며 특정업체와의 유착의혹을 강하게 제기했다.
하 의원이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방독면을 생산하는 S업체는 올 3월 국방과학연구소와 위탁계약을 체결, 방
독면에 대한 성능 실험을 했다. 하지만 국방과학연구소에서는 단 2가지 항목만 시험했고, 나머지 20여개 항
목은 모 업체의 공장에서 단순성능 확인 시험만 한 후 국민방독면 규격을 제정했다. 결국 업체에서 국민방독
면 규격을 제정한 셈이 됐다.
하 의원은 “방독면의 성능 또한 군 방독면에 비해 1/3 수준인데도 가격은 훨씬 비싸다”고 주장했다. 화생
방(정화통)은 군용의 15% 수준이고, 화재용은 일본의 C급에 불과한데도 가격은 현재(1만4200원)보다 2
배가 넘는 3만원대로 추정되고 있다는 것이다.
겸용방독면의 비효율성 문제는 지난 9월 26일 행자부 민방위국이 전문기관을 초청, 의견을 청취하는 자리
에서도 제기됐던 사안이다. 이 자리에서 행자부 소방국도 공문으로 겸용방독면의 위험성을 지적했다.
그러나 민방위 재난관리국은 10월 23일 조달청에 발주 의뢰를 강행했다.
이에 대해 하순봉 의원은 “한달 반만에 새규격의 방독면 22만개를 납품하라는 조건은 특정업체 밀어주기
아니냐”고 거듭 추궁했다.
행자부는 자료를 통해 “국내 15개 관련 기관 23명의 검토를 거쳐 의견을 수렴·반영해 확정했다”고 해명
했다. 시제품 성능시험 결과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는 강변이다.
/김형수 기자 hskim@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