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일로 용산참사가 4주기를 맞는다. 용산4구역은 주민들을 죽음으로, 감옥으로 내몰 만큼 철거가 신속히 진행됐지만 4년이 지난 지금까지 '폐허' 그대로다. 대형 빌딩이 들어서기로 했던 남일당 자리는 주차장으로 전락했다. "이럴 거면 뭣하러 그렇게 개발을 서둘렀느냐"는 원성이 높다.
용산만이 아니다. 가구단지로 유명했던 서울 내곡동 헌인마을은 2006년부터 개발이 시작된 지 2년만인 2008년 1500명의 용역이 투입돼 입주 업체들을 무더기로 쫓아냈지만 자금난으로 첫삽조차 뜨지 못하고 있다.
경기도 부천시 중3동은 2008년 개발이 본격 추진되면서 2011년 철거로 마을이 폐허가 됐지만 지난해 3월로 예정돼 있던 착공일을 훌쩍 넘긴 상태다.
김포 신곡마을 역시 2006년부터 개발이 추진돼 2008년 대부분 철거가 완료됐지만 시행사는 부도가 나고 조합도 해체됐다.
이 지역에 남아 있는 주민들은 용산4구역처럼 대부분 빚을 지고 들어온 세입자들이다. 철거로 인한 피해에 이어 개발지연으로 인한 2차 피해까지 겪으며 힘겹게 살고 있다.
부동산 경기를 고려하면 철거만 속전속결로 이뤄진 채 본격적인 개발은 착수조차 못한 지역이 상당수일 것으로 추정된다.
유영우 주거권실현을위한국민연합 상임이사는 "건설사들을 위해 각종 규제를 완화하고 유동성을 지원한 이명박정부의 정책실패"라며 "새 정부는 이익 극대화를 중심에 둔 민간 주도의 재개발을 공공의 역할이 강화되는 공공사업으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재걸 기자 claritas@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