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교육청, 도시 과밀학교-소학교 연계
전북 전주시 덕진구 원동 원동초등학교. 도심 인근 농촌학교지만 198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전교생 400명을 넘어서는 학교였다. 1990년대 이후 도심으로 빠져나가는 주민들 때문에 덩달아 학생수도 줄어 명맥만 유지해 왔다. 지난해엔 3학년 학생 3명만 남아 학교 문을 닫아야 할 형편에 내몰렸다.
폐교 위기에 몰렸던 원동초등학교는 '농촌 작은학교 살리기' 정책을 펴던 전북도교육청이 '공동통학구역' 제도를 시행하면서 되살아났다. 전북도교육청이 지난해말 처음 시행한 이 제도는 인근 도심의 과밀학급과 농촌 소규모 학교를 공동통학구역으로 묶어 주소이전 없이도 전학 할 수 있는 제도다.
원동초등학교와 자동차로 20분 거리에 있는 전주의 최대 과밀학급 중의 하나인 문학초등학교를 공동통학구역으로 묶어 문학초 아이들의 전학을 가능하게 했다. 문학초등학교에 다니던 15명이 올해 원동초로 옮겼고, 덕분에 전교생이 18명으로 불어 폐교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됐다. 과밀 수업과 획일적인 교육에 싫증 났던 학부모들이 자연친화적 프로그램을 운영중인 원동초로 발길을 돌린 것이다. 원동초는 '자연친화적 학교 희망플랜'을 모토로 학교텃밭가꾸기, 아침 명상, 1대1 맞춤수업, 신나는 동아리활동 등 다양하고 차별화한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문학초 인근에서 전학 온 학생들은 교육청에서 제공하는 셔틀버스를 이용한다. 김기홍 교장은 "대규모 학교에서는 불가능한 맞춤형 학습과 학생 개인별 눈높이교육이 가능한 곳"이라면서 "올해 전학 온 학생과 학부모 만족도가 높기 때문에 내년에는 더욱 많은 학생들이 전학을 올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전북 전주시 덕진구 원동 원동초등학교. 도심 인근 농촌학교지만 198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전교생 400명을 넘어서는 학교였다. 1990년대 이후 도심으로 빠져나가는 주민들 때문에 덩달아 학생수도 줄어 명맥만 유지해 왔다. 지난해엔 3학년 학생 3명만 남아 학교 문을 닫아야 할 형편에 내몰렸다.
폐교 위기에 몰렸던 원동초등학교는 '농촌 작은학교 살리기' 정책을 펴던 전북도교육청이 '공동통학구역' 제도를 시행하면서 되살아났다. 전북도교육청이 지난해말 처음 시행한 이 제도는 인근 도심의 과밀학급과 농촌 소규모 학교를 공동통학구역으로 묶어 주소이전 없이도 전학 할 수 있는 제도다.
원동초등학교와 자동차로 20분 거리에 있는 전주의 최대 과밀학급 중의 하나인 문학초등학교를 공동통학구역으로 묶어 문학초 아이들의 전학을 가능하게 했다. 문학초등학교에 다니던 15명이 올해 원동초로 옮겼고, 덕분에 전교생이 18명으로 불어 폐교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됐다. 과밀 수업과 획일적인 교육에 싫증 났던 학부모들이 자연친화적 프로그램을 운영중인 원동초로 발길을 돌린 것이다. 원동초는 '자연친화적 학교 희망플랜'을 모토로 학교텃밭가꾸기, 아침 명상, 1대1 맞춤수업, 신나는 동아리활동 등 다양하고 차별화한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문학초 인근에서 전학 온 학생들은 교육청에서 제공하는 셔틀버스를 이용한다. 김기홍 교장은 "대규모 학교에서는 불가능한 맞춤형 학습과 학생 개인별 눈높이교육이 가능한 곳"이라면서 "올해 전학 온 학생과 학부모 만족도가 높기 때문에 내년에는 더욱 많은 학생들이 전학을 올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