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129명 채용 … 올해 300곳까지 확대
서울 시내에서 6명 이상 다니는 장애아 보육 어린이집에 보육도우미가 지원된다.
서울시는 보육도우미 129명을 채용해 6명 이상의 장애아가 다니는 어린이집 110곳에 지원할 계획이라고 30일 밝혔다.
장애아가 6명 이상인 어린이집 94곳에는 각 1명, 15명 이상인 어린이집 16곳에는 각 2명의 보육도우미를 지원한다. 이럴 경우 교사 1명당 장애 아동 담당인원이 기존 3명에서 2명으로 개선된다. 아동의 안전에 대한 교사의 부담감이 줄고 야외 현장학습 등도 수월해질 수 있다고 시는 설명했다.
보육도우미 채용은 어린이집에서 직접 한 후 구청에 확인서를 제출해 인건비를 지원받는 형식으로 이뤄진다. 하루 6시간 주 5일 근무 기준으로 월 80만원의 급여를 지원한다. 4대보험은 해당 시설에서 부담해야 한다.
시는 또 올해 안에 장애아 어린이집을 자치구별로 1곳 이상 총 300곳까지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목표가 충족되면 어린이집이 수용하는 장애아 수는 현재 2132명에서 약 70명 늘어나게 된다.
올해 장애아 어린이집으로 새로 지정된 곳에는 경사로와 화장실 안전바 설치비 등으로 1곳당 최소 500만원에서 최대 1000만원 지원될 예정이다.
아울러 장애아 1인당 지급되는 월 2만1000원의 교재교구비 지원 대상을 1500명에서 1630명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장애아 9명당 1명을 채용할 수 있는 치료사의 인건비도 175만원 전액을 시·구비로 지원해 물리치료, 언어, 미술, 놀이, 음악 등 다양한 치료 프로그램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장애아가 있지만 기준 인원에 미달해 치료사와 특수교사 등을 채용하지 못한 어린이집과 집에서 장애아를 양육하는 가정을 위한 순회지원프로그램도 시행한다.
조현옥 서울시 여성가족실장은 "현재 장애아가 어린이집 입소 우선순위에 포함되지 않아 시의 정책만으로는 장애아 어린이집 확대가 어렵다"며 "국회에 계류 중인 영유아보육법 개정안이 속히 통과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선일 기자 si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서울 시내에서 6명 이상 다니는 장애아 보육 어린이집에 보육도우미가 지원된다.
서울시는 보육도우미 129명을 채용해 6명 이상의 장애아가 다니는 어린이집 110곳에 지원할 계획이라고 30일 밝혔다.
장애아가 6명 이상인 어린이집 94곳에는 각 1명, 15명 이상인 어린이집 16곳에는 각 2명의 보육도우미를 지원한다. 이럴 경우 교사 1명당 장애 아동 담당인원이 기존 3명에서 2명으로 개선된다. 아동의 안전에 대한 교사의 부담감이 줄고 야외 현장학습 등도 수월해질 수 있다고 시는 설명했다.
보육도우미 채용은 어린이집에서 직접 한 후 구청에 확인서를 제출해 인건비를 지원받는 형식으로 이뤄진다. 하루 6시간 주 5일 근무 기준으로 월 80만원의 급여를 지원한다. 4대보험은 해당 시설에서 부담해야 한다.
시는 또 올해 안에 장애아 어린이집을 자치구별로 1곳 이상 총 300곳까지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목표가 충족되면 어린이집이 수용하는 장애아 수는 현재 2132명에서 약 70명 늘어나게 된다.
올해 장애아 어린이집으로 새로 지정된 곳에는 경사로와 화장실 안전바 설치비 등으로 1곳당 최소 500만원에서 최대 1000만원 지원될 예정이다.
아울러 장애아 1인당 지급되는 월 2만1000원의 교재교구비 지원 대상을 1500명에서 1630명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장애아 9명당 1명을 채용할 수 있는 치료사의 인건비도 175만원 전액을 시·구비로 지원해 물리치료, 언어, 미술, 놀이, 음악 등 다양한 치료 프로그램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장애아가 있지만 기준 인원에 미달해 치료사와 특수교사 등을 채용하지 못한 어린이집과 집에서 장애아를 양육하는 가정을 위한 순회지원프로그램도 시행한다.
조현옥 서울시 여성가족실장은 "현재 장애아가 어린이집 입소 우선순위에 포함되지 않아 시의 정책만으로는 장애아 어린이집 확대가 어렵다"며 "국회에 계류 중인 영유아보육법 개정안이 속히 통과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선일 기자 si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