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서 1조원 긴급수혈 … 사업구조 변화까지 상당시간 필요
유동성 위기에 빠진 두산건설이 그룹으로부터 1조원의 지원을 받았다. 두산건설은 악재를 모두 피했다고 반색했다. 사업 구조를 바꾸겠다고 했지만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두산건설은 최대주주인 두산중공업과 두산그룹 사주 일가로부터 1조원이 넘는 지원을 받는다고 4일 밝혔다.
우선 최대 주주인 두산중공업은 5716억원 상당의 배열회수보일러 사업을 두산건설에 넘긴다. 건설업종이 어려운 점을 고려해 플랜트 핵심 서비스 사업을 넘겨 자력 회생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또 두산중공업은 두산건설 유상증자에 참여해 주당 2700원에 신주를 인수한다.
두산중공업과 사주 일가는 두산건설에 주주배정방식으로 4500억원 의 유상증자에도 참여한다. 두산건설은 추가로 1500억원 규모의 자산을 매각해 모두 1조원의 유동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두산건설이 자금난에 빠진것은 무리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 때문이다. 연간 매출액 2조8000억원 수준의 회사가 단일사업으로만 2조원에 달하는 일산 제니스 PF사업을 추진했다. 대규모 주상복합아파트를 세우는 이 사업은 대량 미분양을 낳으면서 두산건설은 물론 그룹까지 흔들리게 했다.
이로 인해 두산건설은 지난해 4491억원의 영업손실과 6541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2년 연속 적자다. 순차입금은 1조7280억원, 부채비율은 546%에 달한다. 이번 자본확충으로 순차입금은 8000억원 수준으로 낮추고 부채비율은 148%까지 낮출 수 있다고 두산건설은 설명했다.
두산건설은 "부실 사업에 대한 대손을 정리해 더 이상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빚잔치는 끝냈지만 앞으로 먹고살 일이 더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시장이 침체된 상황에서 국내에 주력하고 있는 건설사들은 수익모델을 갖추기 어렵다"고 말했다. 두산건설은 국내 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두산건설 관계자는 "신분당선과 강남순환도시고속도로 사업 등 대형 민자사업으로 토목사업의 지속적 성장이 예상된다"며 "메카텍BG를 통해 세계시장을 공략하고 주택사업은 내실화를 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오승완 기자 osw@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유동성 위기에 빠진 두산건설이 그룹으로부터 1조원의 지원을 받았다. 두산건설은 악재를 모두 피했다고 반색했다. 사업 구조를 바꾸겠다고 했지만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두산건설은 최대주주인 두산중공업과 두산그룹 사주 일가로부터 1조원이 넘는 지원을 받는다고 4일 밝혔다.
우선 최대 주주인 두산중공업은 5716억원 상당의 배열회수보일러 사업을 두산건설에 넘긴다. 건설업종이 어려운 점을 고려해 플랜트 핵심 서비스 사업을 넘겨 자력 회생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또 두산중공업은 두산건설 유상증자에 참여해 주당 2700원에 신주를 인수한다.
두산중공업과 사주 일가는 두산건설에 주주배정방식으로 4500억원 의 유상증자에도 참여한다. 두산건설은 추가로 1500억원 규모의 자산을 매각해 모두 1조원의 유동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두산건설이 자금난에 빠진것은 무리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 때문이다. 연간 매출액 2조8000억원 수준의 회사가 단일사업으로만 2조원에 달하는 일산 제니스 PF사업을 추진했다. 대규모 주상복합아파트를 세우는 이 사업은 대량 미분양을 낳으면서 두산건설은 물론 그룹까지 흔들리게 했다.
이로 인해 두산건설은 지난해 4491억원의 영업손실과 6541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2년 연속 적자다. 순차입금은 1조7280억원, 부채비율은 546%에 달한다. 이번 자본확충으로 순차입금은 8000억원 수준으로 낮추고 부채비율은 148%까지 낮출 수 있다고 두산건설은 설명했다.
두산건설은 "부실 사업에 대한 대손을 정리해 더 이상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빚잔치는 끝냈지만 앞으로 먹고살 일이 더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시장이 침체된 상황에서 국내에 주력하고 있는 건설사들은 수익모델을 갖추기 어렵다"고 말했다. 두산건설은 국내 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두산건설 관계자는 "신분당선과 강남순환도시고속도로 사업 등 대형 민자사업으로 토목사업의 지속적 성장이 예상된다"며 "메카텍BG를 통해 세계시장을 공략하고 주택사업은 내실화를 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오승완 기자 osw@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