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8월 극비방북 러셀 미국 NSC 보좌관, 오늘 박 당선인 접견
미국 정부 대표단에 국방부 차관보까지 이례적 포함 … 북핵논의 관심
서울과 평양의 메신저는 워싱턴이다? 지난해 4월과 8월 극비방북을 통해 북한과 미국 사이의 의견을 조율했던 다니엘 러셀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선임보좌관이 16일 오후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을 접견한다. 박 당선인의 당선을 축하하기 위한 미국 정부 대표단의 일원 자격이다. 대표단 단장은 커트 켐벨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지만 그는 이미 2기 오바마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퇴임이 확정된 만큼 무게감이 떨어진다는 분석이다.
16일 박 당선인을 만나는 러셀 선임보좌관은 지난해 4월과 8월 두 차례 평양을 극비방문한 전력이 있는 인물이다. 4월은 하루, 8월은 3박4일 일정이었다. 두 차례 모두 통상적인 방북경로인 중국 베이징이 아니라 미국 공군기를 이용해 괌을 출발, 서해항로를 거쳐 평양 순안공항으로 들어가는 경로를 선택했다. 최대한 비밀을 유지하겠다는 의미다. 다만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우리 정부와 사전 협의는 이뤄졌던 것으로 알려졌다.
극비방북은 여러 경로를 통해 팩트(사실)로 확인되고 있지만 당시 러셀 선임보좌관이 무엇을 논의했는지는 지금까지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 입장에서는 대선(11월 6일)을 앞두고 있었던 만큼 북핵 혹은 장거리로켓발사 같은 무력도발 억제와 상응하는 보상에 대한 논의가 있었을 것이라는 추측만 무성했다. 실제 북한은 11월 미국 대선이 끝나자마자 로켓발사 준비에 들어가 지난해 12월 12일 발사를 강행했다. 미국 대선은 피하는 대신 한국 대선의 목전에서 도발을 감행한 셈이다.
북미 사이에서 '모종의 거래'가 있었다면 박 당선인과 러셀 선임보좌관의 만남은 단순한 축하와 원론적인 입장확인에서 그치지 않을 가능성도 높다. 평양과 워싱턴 사이의 논의와 서울에 대한 평양의 기대를 전할 수 있어서다. 일종의 '메신저' 역할이다. '모종의 거래'가 사실이라면 미국 측의 '약속이행'에 대한 우리 정부의 양해를 요청할 수도 있다. 미국 입장에서 한미동맹의 근간을 훼손하면서까지 북미관계를 무리하게 끌고 갈 명분은 부족하기 때문이다.
북한이 핵실험 준비를 마친 것도 변수다. 한 정보당국자는 16일 내일신문과의 통화에서 "이미 북한은 핵실험 스탠바이 상태"라며 "결심만 하면 2~3일 이내에 실행할 수 있을 정도"라고 말했다. 언제든 북한이 핵실험 카드를 꺼내들고 미국과 우리 정부를 압박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이런 측면에서 미국 정부 대표단에 마크 리퍼트 국방부 아태 차관보가 포함된 것도 주목된다. 2003년 1월과 2008년 1월 미국 정부가 당시 노무현, 이명박 당선자에게 대표단을 보낼 때는 국무부와 백악관 인사만 있었을 뿐 국방부 인사가 포함되지 않았다. 국방과 관련해 논의할 의제가 있다는 이야기다.
여권 관계자는 "동북아 전역에 걸친 권력교체와 맞물려 2013년 한반도 정세도 급변이 예상된다"며 "박 당선인이 집권초기 내놓을 대북정책이 향후 수년간 한반도 정세를 좌우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허신열 기자 syhe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미국 정부 대표단에 국방부 차관보까지 이례적 포함 … 북핵논의 관심
서울과 평양의 메신저는 워싱턴이다? 지난해 4월과 8월 극비방북을 통해 북한과 미국 사이의 의견을 조율했던 다니엘 러셀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선임보좌관이 16일 오후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을 접견한다. 박 당선인의 당선을 축하하기 위한 미국 정부 대표단의 일원 자격이다. 대표단 단장은 커트 켐벨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지만 그는 이미 2기 오바마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퇴임이 확정된 만큼 무게감이 떨어진다는 분석이다.
16일 박 당선인을 만나는 러셀 선임보좌관은 지난해 4월과 8월 두 차례 평양을 극비방문한 전력이 있는 인물이다. 4월은 하루, 8월은 3박4일 일정이었다. 두 차례 모두 통상적인 방북경로인 중국 베이징이 아니라 미국 공군기를 이용해 괌을 출발, 서해항로를 거쳐 평양 순안공항으로 들어가는 경로를 선택했다. 최대한 비밀을 유지하겠다는 의미다. 다만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우리 정부와 사전 협의는 이뤄졌던 것으로 알려졌다.
극비방북은 여러 경로를 통해 팩트(사실)로 확인되고 있지만 당시 러셀 선임보좌관이 무엇을 논의했는지는 지금까지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 입장에서는 대선(11월 6일)을 앞두고 있었던 만큼 북핵 혹은 장거리로켓발사 같은 무력도발 억제와 상응하는 보상에 대한 논의가 있었을 것이라는 추측만 무성했다. 실제 북한은 11월 미국 대선이 끝나자마자 로켓발사 준비에 들어가 지난해 12월 12일 발사를 강행했다. 미국 대선은 피하는 대신 한국 대선의 목전에서 도발을 감행한 셈이다.
북미 사이에서 '모종의 거래'가 있었다면 박 당선인과 러셀 선임보좌관의 만남은 단순한 축하와 원론적인 입장확인에서 그치지 않을 가능성도 높다. 평양과 워싱턴 사이의 논의와 서울에 대한 평양의 기대를 전할 수 있어서다. 일종의 '메신저' 역할이다. '모종의 거래'가 사실이라면 미국 측의 '약속이행'에 대한 우리 정부의 양해를 요청할 수도 있다. 미국 입장에서 한미동맹의 근간을 훼손하면서까지 북미관계를 무리하게 끌고 갈 명분은 부족하기 때문이다.
북한이 핵실험 준비를 마친 것도 변수다. 한 정보당국자는 16일 내일신문과의 통화에서 "이미 북한은 핵실험 스탠바이 상태"라며 "결심만 하면 2~3일 이내에 실행할 수 있을 정도"라고 말했다. 언제든 북한이 핵실험 카드를 꺼내들고 미국과 우리 정부를 압박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이런 측면에서 미국 정부 대표단에 마크 리퍼트 국방부 아태 차관보가 포함된 것도 주목된다. 2003년 1월과 2008년 1월 미국 정부가 당시 노무현, 이명박 당선자에게 대표단을 보낼 때는 국무부와 백악관 인사만 있었을 뿐 국방부 인사가 포함되지 않았다. 국방과 관련해 논의할 의제가 있다는 이야기다.
여권 관계자는 "동북아 전역에 걸친 권력교체와 맞물려 2013년 한반도 정세도 급변이 예상된다"며 "박 당선인이 집권초기 내놓을 대북정책이 향후 수년간 한반도 정세를 좌우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허신열 기자 syhe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