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미국정부 대표단 접견 … '핵폐기물 문제' 언급 주목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16일 미국 정부 대표단을 접견한 자리에서 '북핵 불용' 입장을 천명하면서 동시에 대화를 강조했다. 이와 함께 핵폐기물 처리 문제도 언급했다.
박 당선인은 이날 오후 서울 통의동 인수위원회 집무실에서 커트 캠벨 미국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가 이끄는 미국 정부 대표단을 접견했다.
박 당선인은 이 자리에서 "오바마 2기 행정부와 우리 새 정부가 긴밀히 협조해서 첫 단추를 잘 끼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한미 동맹 60주년을 계기로 해서 신뢰를 바탕으로 한미 동맹이 21세기형 포괄적 전략 동맹관계로 발전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북핵문제와 관련해 "북한의 핵개발은 용납할 수 없으며, 단호하게 대응해 나갈 것"이라면서도 "북한 주민의 삶의 질을 깊이 생각해봐야할 문제인 만큼 인도적인 지원을 포함한 대화의 창은 계속 열어두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이행해 나가겠다"며 "그 과정에서 미국과 긴밀하게 협의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박 당선인의 이같은 발언은 북핵문제 해결과 대화를 병행해 나가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남북간 신뢰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대화가 필요하다는 공약과도 일맥상통한다. 다만 박 당선인은 '인도적 지원' 이외에 구체적인 관계회복 방안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배석한 조윤선 대변인은 북한 장거리 로켓발사와 관련한 대북 추가 제재, 최근 북한의 움직임에 대해서도 "언급이 없었다"고 전했다.
이날 접견에서 박 당선인은 북핵문제에 앞서 '핵 폐기물'을 언급해 주목을 끌었다.
그는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과 핵폐기물 처리 문제는 대선 공약"이라며 "미국은 국제 사회가 신뢰할 수 있는 좋은 대안을 제안하고 논의해 주기를 바란다"고 제안했다. 사실상 한미원자력협정 개정을 제안한 셈이다. 이와 관련 박 당선인은 "비핵화 방침은 확실하게 천명하고 IAEA의 검증 등을 받더라도 핵폐기물 처리 문제는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지난해 11월 26일 조선일보 인터뷰)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이날 접견은 35분 동안 진행됐다. 대통령 당선인이 미국 대표단을 만난 시간으로는 2003년 노무현 당선인의 1시간 보다는 짧고, 2008년 이명박 당선인의 40여분과 비슷하다.
지난해 4월과 8월 극비방북으로 주목을 끌었던 다니엘 러셀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선임보좌관은 박 당선인에게 "오마바 대통령은 한미 동맹에 굉장히 강력 의지 갖고 있고 차기 정부와 긴밀하게 협력, 소통하기를 바라고 있다"고 짤막하게 인사했다.
김기수 허신열 기자 syhe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16일 미국 정부 대표단을 접견한 자리에서 '북핵 불용' 입장을 천명하면서 동시에 대화를 강조했다. 이와 함께 핵폐기물 처리 문제도 언급했다.
박 당선인은 이날 오후 서울 통의동 인수위원회 집무실에서 커트 캠벨 미국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가 이끄는 미국 정부 대표단을 접견했다.
박 당선인은 이 자리에서 "오바마 2기 행정부와 우리 새 정부가 긴밀히 협조해서 첫 단추를 잘 끼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한미 동맹 60주년을 계기로 해서 신뢰를 바탕으로 한미 동맹이 21세기형 포괄적 전략 동맹관계로 발전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북핵문제와 관련해 "북한의 핵개발은 용납할 수 없으며, 단호하게 대응해 나갈 것"이라면서도 "북한 주민의 삶의 질을 깊이 생각해봐야할 문제인 만큼 인도적인 지원을 포함한 대화의 창은 계속 열어두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이행해 나가겠다"며 "그 과정에서 미국과 긴밀하게 협의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박 당선인의 이같은 발언은 북핵문제 해결과 대화를 병행해 나가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남북간 신뢰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대화가 필요하다는 공약과도 일맥상통한다. 다만 박 당선인은 '인도적 지원' 이외에 구체적인 관계회복 방안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배석한 조윤선 대변인은 북한 장거리 로켓발사와 관련한 대북 추가 제재, 최근 북한의 움직임에 대해서도 "언급이 없었다"고 전했다.
이날 접견에서 박 당선인은 북핵문제에 앞서 '핵 폐기물'을 언급해 주목을 끌었다.
그는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과 핵폐기물 처리 문제는 대선 공약"이라며 "미국은 국제 사회가 신뢰할 수 있는 좋은 대안을 제안하고 논의해 주기를 바란다"고 제안했다. 사실상 한미원자력협정 개정을 제안한 셈이다. 이와 관련 박 당선인은 "비핵화 방침은 확실하게 천명하고 IAEA의 검증 등을 받더라도 핵폐기물 처리 문제는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지난해 11월 26일 조선일보 인터뷰)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이날 접견은 35분 동안 진행됐다. 대통령 당선인이 미국 대표단을 만난 시간으로는 2003년 노무현 당선인의 1시간 보다는 짧고, 2008년 이명박 당선인의 40여분과 비슷하다.
지난해 4월과 8월 극비방북으로 주목을 끌었던 다니엘 러셀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선임보좌관은 박 당선인에게 "오마바 대통령은 한미 동맹에 굉장히 강력 의지 갖고 있고 차기 정부와 긴밀하게 협력, 소통하기를 바라고 있다"고 짤막하게 인사했다.
김기수 허신열 기자 syhe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