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아파트 등 담보대출도 빌리는 사람의 신용등급을 반영해 차등화하도록 할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27일 "향후 부동산가격 하락에 따른 담보대출 부실화에 대비해 은행의 담보대출도 신용대출처럼 차주의 개인신용등급을 반영해 금리를 차등화하도록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부동산가격의 급락으로 담보가치가 하락, 담보물인 주택 또는 아파트의 처리만으로 대출금이 모두 회수되지 않으면 결국 차주의 신용능력에 의존할 수밖에 없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은행들이 담보대출에서 과열경쟁을 벌이는 탓에 담보물만 믿고 무턱대고 대출을 해주고 있다”며 “특히 대출금액 한도를 아파트시세의 70∼80% 수준까지 적용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담보대출이라 해도 차주의 신용능력이 반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출한도와 대출금리에서 개인의 신용능력이 고려돼야 한다는 설명이다.
관계자는 “현재 모 시중은행이 담보대출에 대해 개인 신용도별로 금리를 차등 운영하고 있으나 앞으로 다른 은행들에도 이러한 금리결정 체계를 도입하도록 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금감원 관계자는 27일 "향후 부동산가격 하락에 따른 담보대출 부실화에 대비해 은행의 담보대출도 신용대출처럼 차주의 개인신용등급을 반영해 금리를 차등화하도록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부동산가격의 급락으로 담보가치가 하락, 담보물인 주택 또는 아파트의 처리만으로 대출금이 모두 회수되지 않으면 결국 차주의 신용능력에 의존할 수밖에 없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은행들이 담보대출에서 과열경쟁을 벌이는 탓에 담보물만 믿고 무턱대고 대출을 해주고 있다”며 “특히 대출금액 한도를 아파트시세의 70∼80% 수준까지 적용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담보대출이라 해도 차주의 신용능력이 반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출한도와 대출금리에서 개인의 신용능력이 고려돼야 한다는 설명이다.
관계자는 “현재 모 시중은행이 담보대출에 대해 개인 신용도별로 금리를 차등 운영하고 있으나 앞으로 다른 은행들에도 이러한 금리결정 체계를 도입하도록 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