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 김포시 공무원 징계요구
전입신고 업무를 담당하는 지자체 공무원이 개인 정보를 본인 관심사를 위해 사적으로 활용하다 감사원에 적발됐다.
6일 감사원이 발표한 '공공기관 정보보호와 사이버 안전관리 실태'에 따르면 김포시의 한 동주민센터에 근무하는 공무원 ㄱ씨는 지난해 2월부터 5월까지 총 57회에 걸쳐 36명 주민등록정보를 사적인 목적으로 열람했다. 옛날 여자친구, 개인적으로 관심 있는 여직원, 공무원 교육 동기, 학교 동창 등 연락처를 알아낼 목적이었다.
성남시 수정구의 한 동주민센터에서 근무하는 ㄴ씨는 같은 주민센터에서 민원안내와 단순업무를 하는 '장애인 행정도우미'에게 주민등록관리시스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임의로 알려줘 비슷한 사고를 초래했다.
개인정보 유출과 오·남용 우려가 있는 지자체는 이들 두곳뿐 아니다. 감사원이 서울시 등 4개 시·도 69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지난해 상반기 주민등록 신청용도와 열람용도를 확인한 결과10건 중 3건 가량은 열람용도가 분명하지 않았다. 568만1498건 가운데 27.4%에 달하는 155만7919건이 '·' 'ㅁ' '111' ']' 등 열람용도를 알 수 없게 기재돼 있었다. 한편 조사대상인 서울 대구 광주 경기 4곳 가운데 열람용도가 분명치 않은 비율은 서울시가 가장 높았다. 부실기재 비율이 31.4%나 됐다.
김진명 기자 jm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전입신고 업무를 담당하는 지자체 공무원이 개인 정보를 본인 관심사를 위해 사적으로 활용하다 감사원에 적발됐다.
6일 감사원이 발표한 '공공기관 정보보호와 사이버 안전관리 실태'에 따르면 김포시의 한 동주민센터에 근무하는 공무원 ㄱ씨는 지난해 2월부터 5월까지 총 57회에 걸쳐 36명 주민등록정보를 사적인 목적으로 열람했다. 옛날 여자친구, 개인적으로 관심 있는 여직원, 공무원 교육 동기, 학교 동창 등 연락처를 알아낼 목적이었다.
성남시 수정구의 한 동주민센터에서 근무하는 ㄴ씨는 같은 주민센터에서 민원안내와 단순업무를 하는 '장애인 행정도우미'에게 주민등록관리시스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임의로 알려줘 비슷한 사고를 초래했다.
개인정보 유출과 오·남용 우려가 있는 지자체는 이들 두곳뿐 아니다. 감사원이 서울시 등 4개 시·도 69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지난해 상반기 주민등록 신청용도와 열람용도를 확인한 결과10건 중 3건 가량은 열람용도가 분명하지 않았다. 568만1498건 가운데 27.4%에 달하는 155만7919건이 '·' 'ㅁ' '111' ']' 등 열람용도를 알 수 없게 기재돼 있었다. 한편 조사대상인 서울 대구 광주 경기 4곳 가운데 열람용도가 분명치 않은 비율은 서울시가 가장 높았다. 부실기재 비율이 31.4%나 됐다.
김진명 기자 jm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