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위, 지도부 임기 논란 속 '주류측 원안' 선택 … 비주류 불만
새 지도부에 내년 지방선거 공천권 … 주류-비주류 격돌 불가피
민주통합당 비상대책위원회가 18일 긴급회의를 열어 오는 5월 4일 정기전당대회를 치르기로 했다. 내년 6월 지방선거 공천권 등 막강한 권한을 갖는 임기 2년의 새 지도부가 선출된다. 당 지역위원장과 시도당위원장은 전원 사퇴키로 했다. 이에 따라 전국단위의 시도당 개편대회가 시작되면서 주류와 비주류간 당권 격돌이 벌어질 전망이다.
비대위의 이같은 결정은 "전대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던 문희상 비대위원장의 1월 9일 취임 일성과는 거리가 있다. 당시 친노·주류의 대선패배 책임론이 비등한 가운데 비주류는 3월 말~4월 초 전대를 주장했고, 주류는 5월 개최로 맞섰다. 비주류는 주류측에 대선패배의 책임을 묻기 위해 전대를 서둘러야 한다는 점에서, 주류는 대선패배의 충격과 분노가 희석되고 전열을 정비할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이해관계가 달랐다.
양측의 서로 다른 셈법은 전대 시기와 방법을 둘러싼 계파갈등으로 이어진 끝에 '돌고 돌아' 주류측에게 상대적으로 유리한 5월 전대로 결론이 났다.
전대 개최 시기와 지도부 임기를 놓고 벌어진 주류-비주류간 알력의 밑바탕에는 대선패배 책임 소재와 내년 6월 지방선거 공천권 문제가 깔려 있었다. 문희상 비대위 출범 초기 3월이냐 5월이냐의 논란은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대준비위)와 정치혁신위원회 간 새 지도부 임기 논쟁으로 바뀌었다. 양측 모두 임시 전당대회 개최에는 의견이 같았지만 전대준비위는 '3월 24일께 임시 전대를 치르고 새 지도부가 내년 9월까지 1년 6개월의 임기를 보장받아야 한다'는 안을 마련했다. 반면, 정치혁신위는 새 지도부가 한명숙 전 대표의 잔여 임기인 내년 1월까지만 당을 이끌고 이후 정기전당대회를 새로 치를 것을 주장하며 정면충돌했다. 대체로 비주류측은 전대준비위의 구상을, 주류측은 정치혁신위의 주장을 지지했다.
비대위의 18일 결정에 대해 주류측은 긍정적 반응이지만 비주류측은 '당내 다수 의견이 무시됐다'는 반발기류가 상당하다. 문 비대위원장의 지시로 당이 17일 저녁 소속 의원과 원외지역위원장, 당무위원들을 상대로 한 여론조사 결과 전당대회는 임시전대여야 한다는 의견(65.3%)이 정기전대 의견(31.6%)의 두배를 넘었다. 새 지도부 임기도 내년 9월까지를 주장하는 비주류측 주장이 57.0%의 지지를 얻었고 내년 1월까지여야 한다는 주류측 주장은 39.4%에 그쳤다. '임시전당대회를 치러 내년 9월까지 임기를 보장 받는 지도부를 선출해야 한다'는 당내 다수 여론을 비대위 스스로가 무시한 셈이다.
민주당의 이번 전당대회는 진행 과정에서 국민 신뢰를 회복할 혁신을 보여줘야 하지만 실제로는 당권 장악을 위한 주류-비주류간 계파 싸움이 더 치열하게 벌어질 것이란 우려가 적지 않다.
김상범 기자 clay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새 지도부에 내년 지방선거 공천권 … 주류-비주류 격돌 불가피
민주통합당 비상대책위원회가 18일 긴급회의를 열어 오는 5월 4일 정기전당대회를 치르기로 했다. 내년 6월 지방선거 공천권 등 막강한 권한을 갖는 임기 2년의 새 지도부가 선출된다. 당 지역위원장과 시도당위원장은 전원 사퇴키로 했다. 이에 따라 전국단위의 시도당 개편대회가 시작되면서 주류와 비주류간 당권 격돌이 벌어질 전망이다.
비대위의 이같은 결정은 "전대는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던 문희상 비대위원장의 1월 9일 취임 일성과는 거리가 있다. 당시 친노·주류의 대선패배 책임론이 비등한 가운데 비주류는 3월 말~4월 초 전대를 주장했고, 주류는 5월 개최로 맞섰다. 비주류는 주류측에 대선패배의 책임을 묻기 위해 전대를 서둘러야 한다는 점에서, 주류는 대선패배의 충격과 분노가 희석되고 전열을 정비할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이해관계가 달랐다.
양측의 서로 다른 셈법은 전대 시기와 방법을 둘러싼 계파갈등으로 이어진 끝에 '돌고 돌아' 주류측에게 상대적으로 유리한 5월 전대로 결론이 났다.
전대 개최 시기와 지도부 임기를 놓고 벌어진 주류-비주류간 알력의 밑바탕에는 대선패배 책임 소재와 내년 6월 지방선거 공천권 문제가 깔려 있었다. 문희상 비대위 출범 초기 3월이냐 5월이냐의 논란은 전당대회준비위원회(전대준비위)와 정치혁신위원회 간 새 지도부 임기 논쟁으로 바뀌었다. 양측 모두 임시 전당대회 개최에는 의견이 같았지만 전대준비위는 '3월 24일께 임시 전대를 치르고 새 지도부가 내년 9월까지 1년 6개월의 임기를 보장받아야 한다'는 안을 마련했다. 반면, 정치혁신위는 새 지도부가 한명숙 전 대표의 잔여 임기인 내년 1월까지만 당을 이끌고 이후 정기전당대회를 새로 치를 것을 주장하며 정면충돌했다. 대체로 비주류측은 전대준비위의 구상을, 주류측은 정치혁신위의 주장을 지지했다.
비대위의 18일 결정에 대해 주류측은 긍정적 반응이지만 비주류측은 '당내 다수 의견이 무시됐다'는 반발기류가 상당하다. 문 비대위원장의 지시로 당이 17일 저녁 소속 의원과 원외지역위원장, 당무위원들을 상대로 한 여론조사 결과 전당대회는 임시전대여야 한다는 의견(65.3%)이 정기전대 의견(31.6%)의 두배를 넘었다. 새 지도부 임기도 내년 9월까지를 주장하는 비주류측 주장이 57.0%의 지지를 얻었고 내년 1월까지여야 한다는 주류측 주장은 39.4%에 그쳤다. '임시전당대회를 치러 내년 9월까지 임기를 보장 받는 지도부를 선출해야 한다'는 당내 다수 여론을 비대위 스스로가 무시한 셈이다.
민주당의 이번 전당대회는 진행 과정에서 국민 신뢰를 회복할 혁신을 보여줘야 하지만 실제로는 당권 장악을 위한 주류-비주류간 계파 싸움이 더 치열하게 벌어질 것이란 우려가 적지 않다.
김상범 기자 clay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