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을 공영개발에 민영개발을 더한 혼용방식으로 개발하기로 한 데 대해 강남구가 반기를 들고 나섰다. 신연희 강남구청장은 20일 긴급기자회견을 열고 "공영개발 구역 내 해방구는 반대한다"고 밝혔다.
강남구 주장은 서울시가 당초 계획한대로 전면 공영개발을 통해 무허가 판자촌 정비와 영세 거주민 재정착을 유도해야 한다는 것. 신 구청장은 "2008년 민영개발을 요구했는데 시에서 거주민 주거대책 마련과 투기세력 차단을 이유로 공공주도 개발을 제시했다"며 "민선 5기 들어 시 입장을 수용, SH공사 주도로 주변 입지여건과 연계한 체계적·계획적 개발이 가능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구룡마을은 1980년대 말부터 도심개발에 밀려 형성된 판자촌. 환경정비가 시급한 지역이지만 개발 방식을 두고 서울시와 강남구 토지주가 이견을 보여 개발이 미뤄져왔다. 시는 최근 공영개발을 원칙으로 하되 일부는 토지 소유주에게 현금 대신 개발 후 땅으로 보상하는 환지방식을 적용하기로 결정했다. 신연희 구청장은 "SH공사에서 환지계획을 수립해 구에 제출할 경우 인가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김진명 기자 jm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강남구 주장은 서울시가 당초 계획한대로 전면 공영개발을 통해 무허가 판자촌 정비와 영세 거주민 재정착을 유도해야 한다는 것. 신 구청장은 "2008년 민영개발을 요구했는데 시에서 거주민 주거대책 마련과 투기세력 차단을 이유로 공공주도 개발을 제시했다"며 "민선 5기 들어 시 입장을 수용, SH공사 주도로 주변 입지여건과 연계한 체계적·계획적 개발이 가능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구룡마을은 1980년대 말부터 도심개발에 밀려 형성된 판자촌. 환경정비가 시급한 지역이지만 개발 방식을 두고 서울시와 강남구 토지주가 이견을 보여 개발이 미뤄져왔다. 시는 최근 공영개발을 원칙으로 하되 일부는 토지 소유주에게 현금 대신 개발 후 땅으로 보상하는 환지방식을 적용하기로 결정했다. 신연희 구청장은 "SH공사에서 환지계획을 수립해 구에 제출할 경우 인가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김진명 기자 jm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