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 탓 5개월만에 반짝 증가세
대형마트의 2월 매출 실적이 설 연휴 덕택에 5개월만에 증가세를 기록했다. 백화점도 다소 늘었다. 하지만 증가세가 이어질지는 의문이다. 내수부진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지식경제부는 홈플러스, 이마트, 롯데마트 등 대형마트의 지난달 매출 합계가 지난해 동월 대비 8.9% 늘었다고 21일 밝혔다.
대형마트 매출은 지난해 9월에 전년 대비 0.2% 늘었지만 10월부터 올 1월까지 내리 감소였다. 지난 1월에는 무려 24.6%나 줄었다.
지난해의 경우 설 연휴가 1월이었는데 올해는 2월로 바뀌면서 선물 용품 판매가 늘어난 게 지난달 매출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인된다.
청과와 정육을 포함한 식품 매출이 14.5% 늘어 가장 큰 판매 신장세를 보였고 가정생활(6.2%), 의류(5.0%), 잡화(5.1%)도 매출이 늘었다.
스포츠용품은 폭설로 야외활동에 줄어 실적이 10.1% 줄었다.
백화점 매출도 소폭 늘었다.
롯데, 현대, 신세계백화점의 지난달 매출 합계는 작년 동월 대비 1.7% 증가했다.
식품 매출이 55.1%나 늘었고 아동스포츠(2.3%) 가정용품(3.0%)도 판매가 신장했다.
반면 잡화(-3.2%), 여성정장(-19.8%), 여성캐주얼(-5.5%), 남성의류(-7.6%) , 해외 유명브랜드(-6.3%) 등 고가 상품은 영업일수 감소와 경기 영향으로 매출이 줄었다.
지경부 관계자는 "2월에 설 연휴가 끼면서 매출이 지난해보다 늘었지만 경기 침체로 인해 3월에도 증가세가 이어지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경기 영향과 소비자들의 작아진 씀씀이로 1~2월 합산 매출 증가율은 대형마트 -10.3%, 백화점 -3.7%로 전년대비 감소세가 이어졌다.
고병수 기자 byng8@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대형마트의 2월 매출 실적이 설 연휴 덕택에 5개월만에 증가세를 기록했다. 백화점도 다소 늘었다. 하지만 증가세가 이어질지는 의문이다. 내수부진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지식경제부는 홈플러스, 이마트, 롯데마트 등 대형마트의 지난달 매출 합계가 지난해 동월 대비 8.9% 늘었다고 21일 밝혔다.
대형마트 매출은 지난해 9월에 전년 대비 0.2% 늘었지만 10월부터 올 1월까지 내리 감소였다. 지난 1월에는 무려 24.6%나 줄었다.
지난해의 경우 설 연휴가 1월이었는데 올해는 2월로 바뀌면서 선물 용품 판매가 늘어난 게 지난달 매출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인된다.
청과와 정육을 포함한 식품 매출이 14.5% 늘어 가장 큰 판매 신장세를 보였고 가정생활(6.2%), 의류(5.0%), 잡화(5.1%)도 매출이 늘었다.
스포츠용품은 폭설로 야외활동에 줄어 실적이 10.1% 줄었다.
백화점 매출도 소폭 늘었다.
롯데, 현대, 신세계백화점의 지난달 매출 합계는 작년 동월 대비 1.7% 증가했다.
식품 매출이 55.1%나 늘었고 아동스포츠(2.3%) 가정용품(3.0%)도 판매가 신장했다.
반면 잡화(-3.2%), 여성정장(-19.8%), 여성캐주얼(-5.5%), 남성의류(-7.6%) , 해외 유명브랜드(-6.3%) 등 고가 상품은 영업일수 감소와 경기 영향으로 매출이 줄었다.
지경부 관계자는 "2월에 설 연휴가 끼면서 매출이 지난해보다 늘었지만 경기 침체로 인해 3월에도 증가세가 이어지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경기 영향과 소비자들의 작아진 씀씀이로 1~2월 합산 매출 증가율은 대형마트 -10.3%, 백화점 -3.7%로 전년대비 감소세가 이어졌다.
고병수 기자 byng8@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