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동아리 86%가 공공도서관 소속
전국 1850개 활동, 선호도서는 소설·수필·시 … 문화부 실태조사
지역내일
2013-03-27
(수정 2013-03-27 오후 1:50:45)
책을 읽고 토론하는 독서동아리가 전국 1850개 정도 되며 이들 모임 10개 중 8개 이상은 공공도서관에서 주로 활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주된 활동층은 30~40대였으며 소설이나 수필, 시 등의 도서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내용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 전국의 문화시설과 직장, 독서단체 2716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이며 2010년 기 조사된 학교와 온라인 독서동아리는 제외된 수치다.
◆공공도서관이 동아리 활동 토대 = 이번 조사에서 눈에 띄는 부분은 독서동아리가 주로 문화시설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 중 공공도서관에 소속된 동아리가 전체 86.4%에 달한다는 점이다.
문화부 도서관정책과 관계자는 "공공도서관의 각종 독서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시민들이 이미 결성된 독서동아리에 참여하거나 아니면 새로 동아리를 결성하는 데 수월한 점이 있다는 사실이 반영된 것 같다"고 분석했다.
'독서동아리가 있다'고 응답한 기관의 평균 동아리 수는 2.8개였으며 평균 회원 수는 14.8명으로 나타났다. 또 기반 지역은 경기 22.9%, 서울 20.5% 등 수도권이 절반이었다. 이는 공공도서관이 주로 서울과 경기 지역에 분포된 것과 무관치 않다는 게 문화부의 분석이다.
◆동아리 평균 1년에 22.7권 읽어 = 독서동아리의 가장 일반적인 활동은 읽기(66.6%)였으며 주로 읽는 도서는 문학(60.3%)이었다. 그중 소설·수필이 38.1%, 시·희곡이 22.2%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또 지난 1년간 동아리에서 함께 읽은 도서는 평균 22.7권이었으며 독서관련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동아리는 절반에 조금 못 미친 41.8%였다.
한편 동아리의 주된 연령층은 30~40대로, 모임의 주기는 월 1회가 38%로 가장 많았다.
◆강사 연계 등 멘토링 서비스 절실 = 독서동아리의 운영상 고충으로는 '동아리를 이끌 강사 부재'(29.0%), '운영 재정 부족'(27.5%), '독서 프로그램 미흡'(25.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이들 동아리가 희망하는 지원은 '강사 연계 등 멘토링 서비스'(51.4%), '독서 관련 프로그램 지원'(37.9%), '운영비 지원'(37.9%) 순이었다.
문화부 관계자는 "현재 수립중인 '독서문화진흥 기본계획'에 이번 조사결과를 반영하는 동시에 주요 독서단체, 인문학단체, 공공도서관과의 협력을 통해 독서동아리 결성과 운영을 도울 구체적 방법을 찾겠다"고 밝혔다.
김은광 기자 powerttp@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이같은 내용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 전국의 문화시설과 직장, 독서단체 2716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이며 2010년 기 조사된 학교와 온라인 독서동아리는 제외된 수치다.

문화부 도서관정책과 관계자는 "공공도서관의 각종 독서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시민들이 이미 결성된 독서동아리에 참여하거나 아니면 새로 동아리를 결성하는 데 수월한 점이 있다는 사실이 반영된 것 같다"고 분석했다.
'독서동아리가 있다'고 응답한 기관의 평균 동아리 수는 2.8개였으며 평균 회원 수는 14.8명으로 나타났다. 또 기반 지역은 경기 22.9%, 서울 20.5% 등 수도권이 절반이었다. 이는 공공도서관이 주로 서울과 경기 지역에 분포된 것과 무관치 않다는 게 문화부의 분석이다.
◆동아리 평균 1년에 22.7권 읽어 = 독서동아리의 가장 일반적인 활동은 읽기(66.6%)였으며 주로 읽는 도서는 문학(60.3%)이었다. 그중 소설·수필이 38.1%, 시·희곡이 22.2%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또 지난 1년간 동아리에서 함께 읽은 도서는 평균 22.7권이었으며 독서관련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동아리는 절반에 조금 못 미친 41.8%였다.
한편 동아리의 주된 연령층은 30~40대로, 모임의 주기는 월 1회가 38%로 가장 많았다.
◆강사 연계 등 멘토링 서비스 절실 = 독서동아리의 운영상 고충으로는 '동아리를 이끌 강사 부재'(29.0%), '운영 재정 부족'(27.5%), '독서 프로그램 미흡'(25.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이들 동아리가 희망하는 지원은 '강사 연계 등 멘토링 서비스'(51.4%), '독서 관련 프로그램 지원'(37.9%), '운영비 지원'(37.9%) 순이었다.
문화부 관계자는 "현재 수립중인 '독서문화진흥 기본계획'에 이번 조사결과를 반영하는 동시에 주요 독서단체, 인문학단체, 공공도서관과의 협력을 통해 독서동아리 결성과 운영을 도울 구체적 방법을 찾겠다"고 밝혔다.
김은광 기자 powerttp@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