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구끼리 서로 눈치보기 … 처리업체마다 사정 달라 난항
서울 자치구와 음식물쓰레기처리업체가 벌이고 있는 처리단가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다. 업체들과 자치구가 제시한 가격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다. 다른 곳보다 협상을 늦게 끝내 비판여론을 피하려하는 자치구들의 눈치싸움도 한몫 하고 있다.
10일 서울시와 자치구에 따르면 자치구들은 지난 3월 14일 서울시가 내놓은 음식물쓰레기 처리단가 가이드라인인 톤당 11만~12만원을 놓고 한달 가까이 처리업체와 협상을 하고 있지만 계약을 못하고 있다.
서남권의 한 자치구 관계자는 "재정형편이 어려워 가능한 낮은 가격(11만원)에 계약하기 위해 처리업체들과 협상중"이라면서도 "다른 자치구들보다 먼저 협상을 마무리하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높은 가격에 계약을 하면 다른 자치구들로부터 비난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다른 자치구들도 눈치보기는 마찬가지다. 강북의 한 자치구 관계자는 "같은 업체가 다른 자치구와도 협상을 하고 있는데 우리가 먼저 협상을 끝내면서 높은 가격으로 계약을 하면 욕먹을 수밖에 없다"며 "가능한 낮은 가격에 계약하려다보니 협상이 길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자치구들이 지난달 15일부터 4월 9일까지 업체들과 3~5차례 협상을 벌였지만 계약을 성사시키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또 있다. 자치구마다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이 다른데다 업체의 음식물쓰레기 처리능력, 위탁량의 규모, 음폐수 처리시설 유무 등 사정이 다르기 때문이다.
또 다른 자치구는 "어떤 업체는 위탁량이 소규모여서 톤당 처리단가 인상요인이 거의 없는 경우도 있다"며 "업체별로 사정이 달라 처리비용을 동일한 금액으로 정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자치구마다 적게는 2개 업체, 많게는 6개 업체와 음식물쓰레기 처리계약을 맺고 있다. 개별 업체별로 사정이 달라 일정액으로 계약을 맺기 어려운 점이 있다.
또 한개 업체가 2~3개의 자치구와 계약을 체결하고 있는 경우도 있어 자치구마다 다른 금액으로 계약을 하면 형평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서울시는 자치구들이 4월 말까지 협상을 마무리하도록 독려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내년 예산편성을 올 9월에 시작하는데 그 전에 자치구별로 올해 추경예산편성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음식물쓰레기 민간위탁처리 자치구는 15곳이다. 15개 자치구 가운데 9개 자치구는 지난해 말 계약이 종료돼 새롭게 계약을 체결하기 위해, 6개 자치구는 변경계약을 체결하기 위해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김선일 기자 si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서울 자치구와 음식물쓰레기처리업체가 벌이고 있는 처리단가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다. 업체들과 자치구가 제시한 가격이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다. 다른 곳보다 협상을 늦게 끝내 비판여론을 피하려하는 자치구들의 눈치싸움도 한몫 하고 있다.
10일 서울시와 자치구에 따르면 자치구들은 지난 3월 14일 서울시가 내놓은 음식물쓰레기 처리단가 가이드라인인 톤당 11만~12만원을 놓고 한달 가까이 처리업체와 협상을 하고 있지만 계약을 못하고 있다.
서남권의 한 자치구 관계자는 "재정형편이 어려워 가능한 낮은 가격(11만원)에 계약하기 위해 처리업체들과 협상중"이라면서도 "다른 자치구들보다 먼저 협상을 마무리하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높은 가격에 계약을 하면 다른 자치구들로부터 비난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다른 자치구들도 눈치보기는 마찬가지다. 강북의 한 자치구 관계자는 "같은 업체가 다른 자치구와도 협상을 하고 있는데 우리가 먼저 협상을 끝내면서 높은 가격으로 계약을 하면 욕먹을 수밖에 없다"며 "가능한 낮은 가격에 계약하려다보니 협상이 길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자치구들이 지난달 15일부터 4월 9일까지 업체들과 3~5차례 협상을 벌였지만 계약을 성사시키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또 있다. 자치구마다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이 다른데다 업체의 음식물쓰레기 처리능력, 위탁량의 규모, 음폐수 처리시설 유무 등 사정이 다르기 때문이다.
또 다른 자치구는 "어떤 업체는 위탁량이 소규모여서 톤당 처리단가 인상요인이 거의 없는 경우도 있다"며 "업체별로 사정이 달라 처리비용을 동일한 금액으로 정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자치구마다 적게는 2개 업체, 많게는 6개 업체와 음식물쓰레기 처리계약을 맺고 있다. 개별 업체별로 사정이 달라 일정액으로 계약을 맺기 어려운 점이 있다.
또 한개 업체가 2~3개의 자치구와 계약을 체결하고 있는 경우도 있어 자치구마다 다른 금액으로 계약을 하면 형평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서울시는 자치구들이 4월 말까지 협상을 마무리하도록 독려하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내년 예산편성을 올 9월에 시작하는데 그 전에 자치구별로 올해 추경예산편성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음식물쓰레기 민간위탁처리 자치구는 15곳이다. 15개 자치구 가운데 9개 자치구는 지난해 말 계약이 종료돼 새롭게 계약을 체결하기 위해, 6개 자치구는 변경계약을 체결하기 위해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김선일 기자 si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