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34명서 41명으로 늘어
박 대통령 친정체제 구축
박근혜 청와대가 비서관 30여 명을 내정해놓고도 공식 발표를 하지 않아 논란이 일고 있다. 정부 각 부처에서 청와대로 파견된 비서관들은 이미 25일부터 업무를 보고 있다. 청와대는 "행정부도 1~2급 인사를 언론에 발표하지 않는 게 관례고, 청와대 비서관은 그 수가 너무 많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행정부는 1~2급은 물론 과장급(3~4급)까지 인선 사실을 공개하고 있다. 더구나 청와대 비서관들은 국민세금으로 생활하는 고위직 공무원들이다. 국민의 알 권리 차원에서라도 해명내용이 군색하다는 평가다.
이 때문에 청와대가 '친정체제'가 들어선 비서관 인선내용을 숨기려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또 인선이 늦어진데다, 당초 인수위 발표보다 비서관 숫자가 늘어난 것을 감추기 위한 고육지책이란 얘기도 들린다.
지난 1월21일 인수위는 청와대 조직개편안을 발표하면서 '작은 청와대'를 지향한다고 밝혔다. 인수위는 장관급을 한 명에서 세 명(비서실장·국가안보실장·경호실장)으로 늘렸지만 비서관을 45명에서 34명으로 줄였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인선 과정에서 당초 34명이던 비서관이 41명으로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인수위가 청와대 실상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조직개편안을 확정했기 때문이란 후문이다. 당초 비서관에 포함되지 않았던 대변인이 2자리 늘었고 1·2부속비서관도 비서관급이다. 또 인사비서관도 뒤늦게 포함된 직제다.
일부 청와대 관계자는 "정부조직법이 국회에서 통과되지 않아 공개하기 곤란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정부조직법이 처리되지 않아 법적 근거가 확보되지 않은 미래창조과학부,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 등의 명단은 이미 발표한 바 있다.
비서관 인사 비공개는 역대 정부에서도 전례가 없던 일이다.
한편 박 대통령의 측근 보좌관들이 대부분 청와대 비서관으로 입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보좌관 출신인 이재만(총무비서관), 정호성(제1부속비서관), 안봉근(제2부속비서관) 등은 지근거리에서 대통령을 보좌한다. 연설문 작성을 도맡았던 조인근 전 대선캠프 메시지 팀장은 연설기록비서관에 이름을 올렸다. 또 인사비서관에는 김동극 행정안전부 인사정책관, 의전비서관에 우경하 외교통상부 지역통상국장이 임명됐다.
김장수 국가안보실장 산하의 국제협력비서관은 김홍균 전 외교부 평화외교기획단장으로 결정됐다. 외교안보수석실의 경우 김형진 외교비서관, 연제욱 국방비서관, 홍용표 통일비서관이 각각 내정됐다.
정무수석실에서는 이정현 수석과 김선동 정무비서관, 박동훈 행정자치비서관, 강신명 사회안전비서관이 청와대와 정부·국회와의 소통을 책임진다. 곽상도 민정수석과는 조응천 공직기강비서관, 변철환 법무비서관이 함께 한다. 홍보수석실은 이종원 홍보기획비서관, 윤창중·김행 대변인, 백기승 국정홍보비서관, 최상화 춘추관장으로 구성됐다.
조원동 수석의 경제수석실에는 주형환 경제금융비서관, 문재도 산업통상자원비서관, 최수규 중소기업비서관, 김경식 국토교통해양비서관이 내정됐다. 미래전략수석실은 장진규 과학기술비서관, 김용수 정보방송통신비서관, 최흥진 기후환경비서관으로 진용을 꾸렸다.
국정기획수석실은 유민봉 수석과 홍남기 기획비서관, 오균 국정과제비서관이 담당한다. 교육문화수석실은 모철민 수석과 김재춘 교육비서관만 일단 내정됐다. 고용복지수석실은 김원종 보건복지비서관과 한창후 고용노사비서관이 최성재 수석과 호흡을 맞춘다.
성홍식 엄경용 기자 ki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박 대통령 친정체제 구축
박근혜 청와대가 비서관 30여 명을 내정해놓고도 공식 발표를 하지 않아 논란이 일고 있다. 정부 각 부처에서 청와대로 파견된 비서관들은 이미 25일부터 업무를 보고 있다. 청와대는 "행정부도 1~2급 인사를 언론에 발표하지 않는 게 관례고, 청와대 비서관은 그 수가 너무 많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행정부는 1~2급은 물론 과장급(3~4급)까지 인선 사실을 공개하고 있다. 더구나 청와대 비서관들은 국민세금으로 생활하는 고위직 공무원들이다. 국민의 알 권리 차원에서라도 해명내용이 군색하다는 평가다.
이 때문에 청와대가 '친정체제'가 들어선 비서관 인선내용을 숨기려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또 인선이 늦어진데다, 당초 인수위 발표보다 비서관 숫자가 늘어난 것을 감추기 위한 고육지책이란 얘기도 들린다.
지난 1월21일 인수위는 청와대 조직개편안을 발표하면서 '작은 청와대'를 지향한다고 밝혔다. 인수위는 장관급을 한 명에서 세 명(비서실장·국가안보실장·경호실장)으로 늘렸지만 비서관을 45명에서 34명으로 줄였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인선 과정에서 당초 34명이던 비서관이 41명으로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인수위가 청와대 실상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조직개편안을 확정했기 때문이란 후문이다. 당초 비서관에 포함되지 않았던 대변인이 2자리 늘었고 1·2부속비서관도 비서관급이다. 또 인사비서관도 뒤늦게 포함된 직제다.
일부 청와대 관계자는 "정부조직법이 국회에서 통과되지 않아 공개하기 곤란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정부조직법이 처리되지 않아 법적 근거가 확보되지 않은 미래창조과학부,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 등의 명단은 이미 발표한 바 있다.
비서관 인사 비공개는 역대 정부에서도 전례가 없던 일이다.
한편 박 대통령의 측근 보좌관들이 대부분 청와대 비서관으로 입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보좌관 출신인 이재만(총무비서관), 정호성(제1부속비서관), 안봉근(제2부속비서관) 등은 지근거리에서 대통령을 보좌한다. 연설문 작성을 도맡았던 조인근 전 대선캠프 메시지 팀장은 연설기록비서관에 이름을 올렸다. 또 인사비서관에는 김동극 행정안전부 인사정책관, 의전비서관에 우경하 외교통상부 지역통상국장이 임명됐다.
김장수 국가안보실장 산하의 국제협력비서관은 김홍균 전 외교부 평화외교기획단장으로 결정됐다. 외교안보수석실의 경우 김형진 외교비서관, 연제욱 국방비서관, 홍용표 통일비서관이 각각 내정됐다.
정무수석실에서는 이정현 수석과 김선동 정무비서관, 박동훈 행정자치비서관, 강신명 사회안전비서관이 청와대와 정부·국회와의 소통을 책임진다. 곽상도 민정수석과는 조응천 공직기강비서관, 변철환 법무비서관이 함께 한다. 홍보수석실은 이종원 홍보기획비서관, 윤창중·김행 대변인, 백기승 국정홍보비서관, 최상화 춘추관장으로 구성됐다.
조원동 수석의 경제수석실에는 주형환 경제금융비서관, 문재도 산업통상자원비서관, 최수규 중소기업비서관, 김경식 국토교통해양비서관이 내정됐다. 미래전략수석실은 장진규 과학기술비서관, 김용수 정보방송통신비서관, 최흥진 기후환경비서관으로 진용을 꾸렸다.
국정기획수석실은 유민봉 수석과 홍남기 기획비서관, 오균 국정과제비서관이 담당한다. 교육문화수석실은 모철민 수석과 김재춘 교육비서관만 일단 내정됐다. 고용복지수석실은 김원종 보건복지비서관과 한창후 고용노사비서관이 최성재 수석과 호흡을 맞춘다.
성홍식 엄경용 기자 ki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