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 커지자 하락세 저지 … 대화 제의에 지지율 반등
장기화되면 경제에 악영향 … '천안함정국' 재연 우려
북 변수 톤다운 … 경제 다걸기하면 반등세 유지 가능
박근혜정부에게 안보위기는 '양날의 칼'일 수 있다. 안보위기는 정권 초 지지율 하락세에 빠진 박근혜정부에겐 구원의 동앗줄이 됐지만 자칫 장기화될 경우에는 거꾸로 정권에 부담이 될 수 있다. 안보위기를 톤다운 시키는 동시에 경제활성화 대책을 중심으로 한 정책행보로 무게중심을 더 옮기는 전략이 안정적인 국정운영에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지율 2주 연속 반등세 = 안보위기는 박 대통령에겐 뜻하지 않은 호재였던 게 분명하다. 당선 직후 '인사참사'와 '불통' 논란으로 박 대통령 지지율은 급락세였다. 1월 중순 56%였던 지지율은 하락세를 타더니 3월 말엔 41%까지 추락(한국갤럽 조사)했다. 역대 대통령에 비해 최저수준이었다.
하지만 안보위기가 커지면서 하락세는 멈췄다. 안보위기 앞에선 정권에 힘을 실어주는 여론의 속성이 발휘된 것이다. 여기에 박 대통령이 지난 11일 북에게 대화를 제의하자, 지지율은 반등조짐까지 보이고 있다. 한국갤럽 조사에서 2주 연속 상승하면서 48%를 기록했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윤희웅 조사분석실장은 "안보위기를 맞아 안정희구 정서가 형성되면서 (지지율) 1차상승의 원인이 됐고, (박 대통령이) 대화제의를 하면서 중도층 일부까지 지지층에 편입돼 2차상승의 동력이 됐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악재로 작용했던 인사마무리 △박 대통령의 여야 '식사정치' △부동산대책 등 민생정책도 지지율 반등에 힘을 보탠 것으로 분석했다.
◆'천안함정국' 지방선거 패인 = 안보위기가 박 대통령에겐 동앗줄이 되었지만, 동시에 다시 위기로 몰아넣을 악재로 전환될 수 있다는 우려다. '양날의 칼'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박 대통령은 북에게 대화제의를 했지만 북은 도발위협으로 답했다. 안보위기가 탈출구를 찾지 못한 채 장기화조짐을 보이고 있다. 디오피니언 엄경영 부소장은 "안보문제가 7월 이후까지 장기화될 수 있다"며 "(안보위기가) 커질수록 정책이슈가 가려질 수밖에 없고 이러면 안보가 (박 대통령에게) 마이너스 요인으로 전환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윤 조사분석실장도 "안보문제가 장기화되면서 대외신인도와 주가, 환율 등 경제에 악영향을 미치면 대중의 평가는 냉정해질 수 있다"며 2010년 천안함 정국을 환기시켰다. 당시 천안함 정국을 장기전으로 끌고 갔던 여권은 경제불안정이란 후폭풍에 부딪히면서 6월 지방선거에서 패배의 쓴잔을 들어야 했다.
◆안보와 국정 분리 필요 = 결국 박 대통령으로선 안보위기가 장기화국면으로 접어들면서 악재로 전환되기 전에 출구를 찾아야 한다는 숙제를 안게 됐다. 안보위기를 어떤 식으로든 연착륙시킬 묘책을 찾거나 최소한 안보위기를 불필요하게 부각시키지 말아야 한다는 조언이다. 전쟁위기감을 조장할만한 메시지를 절제하는 등 안보위기를 톤다운시킬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안보와 국정을 철저히 분리대응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안보는 안보대로 철저히 대응하지만, 박 대통령은 경제활성화를 중심으로 한 국정에 전념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게 지지율 추가반등의 원동력이 될 것이란 분석이다. 엄 부소장은 "추경을 비롯해 정책관련 옵션들을 적극 활용하고 경제현장을 자주 찾는 모습을 보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안정적인 지지율은 국정주도력 유지의 필수요건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엄경용 기자 rabbit@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장기화되면 경제에 악영향 … '천안함정국' 재연 우려
북 변수 톤다운 … 경제 다걸기하면 반등세 유지 가능
박근혜정부에게 안보위기는 '양날의 칼'일 수 있다. 안보위기는 정권 초 지지율 하락세에 빠진 박근혜정부에겐 구원의 동앗줄이 됐지만 자칫 장기화될 경우에는 거꾸로 정권에 부담이 될 수 있다. 안보위기를 톤다운 시키는 동시에 경제활성화 대책을 중심으로 한 정책행보로 무게중심을 더 옮기는 전략이 안정적인 국정운영에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지율 2주 연속 반등세 = 안보위기는 박 대통령에겐 뜻하지 않은 호재였던 게 분명하다. 당선 직후 '인사참사'와 '불통' 논란으로 박 대통령 지지율은 급락세였다. 1월 중순 56%였던 지지율은 하락세를 타더니 3월 말엔 41%까지 추락(한국갤럽 조사)했다. 역대 대통령에 비해 최저수준이었다.
하지만 안보위기가 커지면서 하락세는 멈췄다. 안보위기 앞에선 정권에 힘을 실어주는 여론의 속성이 발휘된 것이다. 여기에 박 대통령이 지난 11일 북에게 대화를 제의하자, 지지율은 반등조짐까지 보이고 있다. 한국갤럽 조사에서 2주 연속 상승하면서 48%를 기록했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윤희웅 조사분석실장은 "안보위기를 맞아 안정희구 정서가 형성되면서 (지지율) 1차상승의 원인이 됐고, (박 대통령이) 대화제의를 하면서 중도층 일부까지 지지층에 편입돼 2차상승의 동력이 됐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악재로 작용했던 인사마무리 △박 대통령의 여야 '식사정치' △부동산대책 등 민생정책도 지지율 반등에 힘을 보탠 것으로 분석했다.
◆'천안함정국' 지방선거 패인 = 안보위기가 박 대통령에겐 동앗줄이 되었지만, 동시에 다시 위기로 몰아넣을 악재로 전환될 수 있다는 우려다. '양날의 칼'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박 대통령은 북에게 대화제의를 했지만 북은 도발위협으로 답했다. 안보위기가 탈출구를 찾지 못한 채 장기화조짐을 보이고 있다. 디오피니언 엄경영 부소장은 "안보문제가 7월 이후까지 장기화될 수 있다"며 "(안보위기가) 커질수록 정책이슈가 가려질 수밖에 없고 이러면 안보가 (박 대통령에게) 마이너스 요인으로 전환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윤 조사분석실장도 "안보문제가 장기화되면서 대외신인도와 주가, 환율 등 경제에 악영향을 미치면 대중의 평가는 냉정해질 수 있다"며 2010년 천안함 정국을 환기시켰다. 당시 천안함 정국을 장기전으로 끌고 갔던 여권은 경제불안정이란 후폭풍에 부딪히면서 6월 지방선거에서 패배의 쓴잔을 들어야 했다.
◆안보와 국정 분리 필요 = 결국 박 대통령으로선 안보위기가 장기화국면으로 접어들면서 악재로 전환되기 전에 출구를 찾아야 한다는 숙제를 안게 됐다. 안보위기를 어떤 식으로든 연착륙시킬 묘책을 찾거나 최소한 안보위기를 불필요하게 부각시키지 말아야 한다는 조언이다. 전쟁위기감을 조장할만한 메시지를 절제하는 등 안보위기를 톤다운시킬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안보와 국정을 철저히 분리대응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안보는 안보대로 철저히 대응하지만, 박 대통령은 경제활성화를 중심으로 한 국정에 전념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게 지지율 추가반등의 원동력이 될 것이란 분석이다. 엄 부소장은 "추경을 비롯해 정책관련 옵션들을 적극 활용하고 경제현장을 자주 찾는 모습을 보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안정적인 지지율은 국정주도력 유지의 필수요건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엄경용 기자 rabbit@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