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부는 12일 실업자 직업훈련과 취업간의 연계를 강화하는 내용의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구인·구직 수요에 따른 훈련과정 개설 △기업 관계자와 전문가 위주로 훈련심사위원회 운영 △취업률 고려해 훈련과정 선정기준 개편 △인력수요 많은 중·고급과정 위주로 운영 등을 구현해 나가겠다는 것.
노동부는 이를 위해 전국 168개 고용안정센터를 통해 구인·구직 현황을 분석하고 지역별 인력수요를 수시로 조사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종전엔 지역 대표자 위주로 운영되던 훈련과정심사위를 산업현장 실무자(기업체 인력개발 업무 실무경력 3년 이상인 자)와 전문가(직업훈련 관련 종사경력이 3년 이상인 자) 위주로 구성해 심사과정에서의 잡음을 줄이겠다는 계산이다.
노동부 인적자원개발과 관계자는 “올해 직업훈련의 목표는 취업률과 자격취득률이 각각 40% 정도에 도달하는 것”이라며 “이번 개선조치에 따라 직업훈련을 거친 실업자들이 보다 쉽게 취업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구인·구직 수요에 따른 훈련과정 개설 △기업 관계자와 전문가 위주로 훈련심사위원회 운영 △취업률 고려해 훈련과정 선정기준 개편 △인력수요 많은 중·고급과정 위주로 운영 등을 구현해 나가겠다는 것.
노동부는 이를 위해 전국 168개 고용안정센터를 통해 구인·구직 현황을 분석하고 지역별 인력수요를 수시로 조사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종전엔 지역 대표자 위주로 운영되던 훈련과정심사위를 산업현장 실무자(기업체 인력개발 업무 실무경력 3년 이상인 자)와 전문가(직업훈련 관련 종사경력이 3년 이상인 자) 위주로 구성해 심사과정에서의 잡음을 줄이겠다는 계산이다.
노동부 인적자원개발과 관계자는 “올해 직업훈련의 목표는 취업률과 자격취득률이 각각 40% 정도에 도달하는 것”이라며 “이번 개선조치에 따라 직업훈련을 거친 실업자들이 보다 쉽게 취업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