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근 8개 지자체와 공동 조성
안산 "사업 현실화되면 참여"
화성 "추후 참여 보장 못해"
경기도 서남부권 8개 지자체들이 공동으로 화장장을 건립키로 하면서 단독으로 화장장 건립을 추진해온 안산시의 입장이 난처해졌다. 안산시는 일단 계획대로 자족형 화장장 건립을 추진하되 추후 공동형 화장장이 현실화될 경우 그 때 가서 동참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공동화장장이 현실화될 경우에는 타 지자체와 유치지역 주민들이 안산시를 받아들이지 않을 가능성도 배재할 수 없다.
화성시는 현재 화장장이 없는 부천 시흥 안양 군포 의왕 과천 평택 등 8개 시장이 모여 10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화성시 공동형 종합장사시설' 건립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다고 9일 밝혔다.
협약에 따라 화성시는 30만㎡ 규모의 부지 공모 및 타당성 조사용역을 거쳐 9월 입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화성시는 오는 2018년까지 1200억원을 들여 화장로 10기, 장례식장, 봉안당, 자연장지 등 장사시설을 설치하고 나머지 7개 시는 비용을 분담한다.
시는 장사시설 유치지역에 대해 50억원 이내의 마을발전기금과 한시적으로 화장시설 수익금의 5∼10%를 기금으로 적립해줄 방침이다.
또 인근 1㎞ 이내 지역은 주민협의체를 통해 100억원 이내의 사업비를 지원하는 등 모두 300억원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이다. 화성시 관계자는 "유치지역의 경우 수익시설 판매와 운영권, 시설인력 우선채용 기회를 제공하고 인근 지역에는 주민협의체를 통해 100억원 이내의 마을숙원사업비를 지원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공동형 화장장 추진을 위해 화성시는 지난 1월 인근 지자체들에게 사업참여의향서를 보냈다. 그러나 안산시는 지난 2010년 말 양상동 일대에 자족형 화장장을 짓기로 하고 행정절차를 밟고 있다는 이유로 불참의사를 통보했다. 안산시 관계자는 "추모공원 건립을 위한 개발제한구역 변경계획이 경기도 승인을 거쳐 국토부에 올라가 있고, 화성시의 공동화장장 사업의 성사여부는 아직 불투명한 상황"이라며 "일단 기존 계획대로 추진하되 화성시 사업이 현실화되면 그 때 포기하고 참여하겠다는 입장을 전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화성시 관계자는 "안산시의 의견은 전달 받았지만 추후 (참여 지자체를) 더 받고 못받고는 말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인근 타 지자체 관계자도 "안산시 입장은 이해하지만 입지 선정을 위한 주민 설득과 실무협의 등을 통해 가시화된 뒤 참여하겠다면 이런 내용을 모두 변경해야 하고, 노력 없이 과실만 챙기겠다는 것으로 비칠 수도 있다"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화성시 공동형 화장장 건립이 추진되면서 안산시의 화장장 건립은 명분을 상실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강희구 안산화장장반대투쟁위원회 위원장은 "안산시가 화장장 건립 초기에 광역 화장장이 타당하지만 부지 제공자가 없어 자족형으로 지을 수밖에 없다고 해놓고 이제 와서 화성시 사업에 동참하지 않겠다고 하는 것은 이해하기 힘들다"며 "기존 계획을 포기하고 건립비용이나 시설운영 등 모든 면에서 효율적인 공동화장장 사업에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안산 "사업 현실화되면 참여"
화성 "추후 참여 보장 못해"
경기도 서남부권 8개 지자체들이 공동으로 화장장을 건립키로 하면서 단독으로 화장장 건립을 추진해온 안산시의 입장이 난처해졌다. 안산시는 일단 계획대로 자족형 화장장 건립을 추진하되 추후 공동형 화장장이 현실화될 경우 그 때 가서 동참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공동화장장이 현실화될 경우에는 타 지자체와 유치지역 주민들이 안산시를 받아들이지 않을 가능성도 배재할 수 없다.
화성시는 현재 화장장이 없는 부천 시흥 안양 군포 의왕 과천 평택 등 8개 시장이 모여 10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화성시 공동형 종합장사시설' 건립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다고 9일 밝혔다.
협약에 따라 화성시는 30만㎡ 규모의 부지 공모 및 타당성 조사용역을 거쳐 9월 입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화성시는 오는 2018년까지 1200억원을 들여 화장로 10기, 장례식장, 봉안당, 자연장지 등 장사시설을 설치하고 나머지 7개 시는 비용을 분담한다.
시는 장사시설 유치지역에 대해 50억원 이내의 마을발전기금과 한시적으로 화장시설 수익금의 5∼10%를 기금으로 적립해줄 방침이다.
또 인근 1㎞ 이내 지역은 주민협의체를 통해 100억원 이내의 사업비를 지원하는 등 모두 300억원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이다. 화성시 관계자는 "유치지역의 경우 수익시설 판매와 운영권, 시설인력 우선채용 기회를 제공하고 인근 지역에는 주민협의체를 통해 100억원 이내의 마을숙원사업비를 지원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공동형 화장장 추진을 위해 화성시는 지난 1월 인근 지자체들에게 사업참여의향서를 보냈다. 그러나 안산시는 지난 2010년 말 양상동 일대에 자족형 화장장을 짓기로 하고 행정절차를 밟고 있다는 이유로 불참의사를 통보했다. 안산시 관계자는 "추모공원 건립을 위한 개발제한구역 변경계획이 경기도 승인을 거쳐 국토부에 올라가 있고, 화성시의 공동화장장 사업의 성사여부는 아직 불투명한 상황"이라며 "일단 기존 계획대로 추진하되 화성시 사업이 현실화되면 그 때 포기하고 참여하겠다는 입장을 전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화성시 관계자는 "안산시의 의견은 전달 받았지만 추후 (참여 지자체를) 더 받고 못받고는 말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인근 타 지자체 관계자도 "안산시 입장은 이해하지만 입지 선정을 위한 주민 설득과 실무협의 등을 통해 가시화된 뒤 참여하겠다면 이런 내용을 모두 변경해야 하고, 노력 없이 과실만 챙기겠다는 것으로 비칠 수도 있다"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화성시 공동형 화장장 건립이 추진되면서 안산시의 화장장 건립은 명분을 상실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강희구 안산화장장반대투쟁위원회 위원장은 "안산시가 화장장 건립 초기에 광역 화장장이 타당하지만 부지 제공자가 없어 자족형으로 지을 수밖에 없다고 해놓고 이제 와서 화성시 사업에 동참하지 않겠다고 하는 것은 이해하기 힘들다"며 "기존 계획을 포기하고 건립비용이나 시설운영 등 모든 면에서 효율적인 공동화장장 사업에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