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합격자, 대거 상위대학 연쇄 이동
정시모집 합격자 등록마감 … 중하위권대 미등록 사태 예상
4, 5일 이틀 간 실시된 2002학년도 대입 정시모집 합격자 등록마감 결과, 서울시내 주요 사립대학의 최종 등록률이 60.7∼86.5%로 미등록자가 속출해, 일부 대학은 지난해보다 등록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복수합격자들이 대거 상위권 대학으로 연쇄 이동함에 따라 나타난 현상으로 중하위권 대학의 대규모 미등록 사태가 예상되며 이에 따라 미충원 사태를 막기 위한 대학별 추가등록과 추가모집 사태가 빚어질 것으로 보인다.
◇ 사립대 등록률 저조 = 5일 고려대의 경우 등록 마감 결과 합격자 4345명 중 3479명이 등록, 80.07%의 등록률을 보였다. 지난해 1차 최종 등록률은 77.9%였다.
성균관대는 합격자 3518명 중 3007명이 등록, 85.5%의 등록률을 기록해 92.6%였던 지난해 1차 최종 등록률을 밑돌았고 이화여대도 86.5%로 지난해 93.0%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한양대와 경희대도 마감 결과 등록률이 각각 71.69%, 77.96%로 80%에 미치지 못했으며 한국외대도 서강대도 각각 62.47%와 61.2%의 낮은 등록률을 보이는 등 서울시내 대부분 주요 사립대학이 저조한 등록현황을 보였다.
건국대는 등록마감 결과 절반에 못미치는 45.4%에 머물렀다.
1차 등록 마감 결과 예년에 비해 저조한 등록률이 현실로 드러남에 따라 복수합격자의 연쇄도미노로 각 대학마다 학생확보에 비상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또 서울대 일부 모집단위를 비롯, 어려운 수능으로 저조한 경쟁률을 보였던 상위권 대학의 경우 복수합격자들의 대거 이탈로 일부 모집단위의 미충원 사태도 우려된다.
대학들은 1차 등록기간 동안 등록인원이 모집정원을 채우지 못하면 추가합격자발표를 거쳐 오는 22일까지 등록을 마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미충원이 우려되는 대학은 수시 추가모집을 실시할 수 있다.
◇지방대도 이탈 현상 = 광주지역 대학들도 등록률이 70-80%대에 그쳐 올해도 합격자 이탈 현상이 여전했다.
5일 지역 대학들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를 기해 정시모집 합격자 등록을 마감한 결과 전남대의 경우 합격자 4449명 가운데 3793명이 등록을 마쳐 85.3%의 등록률을 보였다.
또 이날 등록을 마감한 조선대와 광주대, 동신대도 각각 80.12%, 69.1%, 60%의 등록률을 보여 지난해 보다 1-3%포인트 정도 낮은 등록률을 기록했다.
이처럼 지역 대학들의 등록률이 저조한 것은 복수합격자들이 서울과 수도권 중·상위권 대학 내지 지방 상위권 대학으로 연쇄 이동했기 때문으로 풀이된.
각 대학은 일단 미등록자로 인한 결원은 예비합격자로 충원할 예정이지만 합격자들의 대이동은 추가 모집이 마감되는 오는 21일까지 계속될 전망이다.
조선대 관계자는 “합격자를 상대로 홍보 전단을 배포하는 등 학생들 붙들기에 안간힘을 썼지만 다른 대학에 복수합격한 학생들이 대거 등록을 포기한 것 같다”며 “예비 합격자를 발표하면 정원 확보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시모집 합격자 등록마감 … 중하위권대 미등록 사태 예상
4, 5일 이틀 간 실시된 2002학년도 대입 정시모집 합격자 등록마감 결과, 서울시내 주요 사립대학의 최종 등록률이 60.7∼86.5%로 미등록자가 속출해, 일부 대학은 지난해보다 등록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복수합격자들이 대거 상위권 대학으로 연쇄 이동함에 따라 나타난 현상으로 중하위권 대학의 대규모 미등록 사태가 예상되며 이에 따라 미충원 사태를 막기 위한 대학별 추가등록과 추가모집 사태가 빚어질 것으로 보인다.
◇ 사립대 등록률 저조 = 5일 고려대의 경우 등록 마감 결과 합격자 4345명 중 3479명이 등록, 80.07%의 등록률을 보였다. 지난해 1차 최종 등록률은 77.9%였다.
성균관대는 합격자 3518명 중 3007명이 등록, 85.5%의 등록률을 기록해 92.6%였던 지난해 1차 최종 등록률을 밑돌았고 이화여대도 86.5%로 지난해 93.0%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한양대와 경희대도 마감 결과 등록률이 각각 71.69%, 77.96%로 80%에 미치지 못했으며 한국외대도 서강대도 각각 62.47%와 61.2%의 낮은 등록률을 보이는 등 서울시내 대부분 주요 사립대학이 저조한 등록현황을 보였다.
건국대는 등록마감 결과 절반에 못미치는 45.4%에 머물렀다.
1차 등록 마감 결과 예년에 비해 저조한 등록률이 현실로 드러남에 따라 복수합격자의 연쇄도미노로 각 대학마다 학생확보에 비상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또 서울대 일부 모집단위를 비롯, 어려운 수능으로 저조한 경쟁률을 보였던 상위권 대학의 경우 복수합격자들의 대거 이탈로 일부 모집단위의 미충원 사태도 우려된다.
대학들은 1차 등록기간 동안 등록인원이 모집정원을 채우지 못하면 추가합격자발표를 거쳐 오는 22일까지 등록을 마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미충원이 우려되는 대학은 수시 추가모집을 실시할 수 있다.
◇지방대도 이탈 현상 = 광주지역 대학들도 등록률이 70-80%대에 그쳐 올해도 합격자 이탈 현상이 여전했다.
5일 지역 대학들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를 기해 정시모집 합격자 등록을 마감한 결과 전남대의 경우 합격자 4449명 가운데 3793명이 등록을 마쳐 85.3%의 등록률을 보였다.
또 이날 등록을 마감한 조선대와 광주대, 동신대도 각각 80.12%, 69.1%, 60%의 등록률을 보여 지난해 보다 1-3%포인트 정도 낮은 등록률을 기록했다.
이처럼 지역 대학들의 등록률이 저조한 것은 복수합격자들이 서울과 수도권 중·상위권 대학 내지 지방 상위권 대학으로 연쇄 이동했기 때문으로 풀이된.
각 대학은 일단 미등록자로 인한 결원은 예비합격자로 충원할 예정이지만 합격자들의 대이동은 추가 모집이 마감되는 오는 21일까지 계속될 전망이다.
조선대 관계자는 “합격자를 상대로 홍보 전단을 배포하는 등 학생들 붙들기에 안간힘을 썼지만 다른 대학에 복수합격한 학생들이 대거 등록을 포기한 것 같다”며 “예비 합격자를 발표하면 정원 확보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