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96개 단지 663개 아파트 조사결과
아파트 층간소음의 절반은 사람의 움직임 소리인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 용인시가 관내 아파트 96개단지, 663개동을 대상으로 표본조사를 시행한 결과로 전체 민원발생건수 1798건 가운데 34.4%인 619건이 '아이들 뛰는 소리'였다.
또 개 등 동물소리 15.2%(274건), 발걸음소리 15.1%(272건), 피아노 등 악기소리 10.7%(193건), 가구 끄는 소리 5.1%(91건) 등 순으로 나타났다. 이어 문 여닫는 소리(3.1%), 대화·싸움 등 떠드는 소리(3%), 운동기구 소음(2.9%), 세탁기·TV 등 가전제품 소리(2.8%), 화장실 등 급배수 소리(1.8%) 등 순이었다.
층간소음 피해 시간으로는 평일의 경우 전체 1321건 가운데 오후 6∼10시가 45.7%인 604건, 오후 10시∼오전 6시도 34.9%인 462건이었다.
또 주말·공휴일은 전체 477건 중 오후 10시∼오전 6시가 37.1%인 177건, 오후 6∼10시가 33.9%인 162건이었다.
층간소음 주된 피해자는 '위층소음으로 인한 아래층 피해'가 전체의 51.6%(927건)를 차지했으나 '아래층의 항의로 인한 위층 피해'도 20%(360건)에 달했다.
이에 따라 시는 공동주택 층간소음 분쟁을 사전 예방하기 위해 아파트 관리소장, 입주자대표, 어린이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예방교육프로그램을 시행할 계획이다.
또 층간소음 저감 우수공동주택 인증제를 도입, 모범단지에 대해 가점을 주기로 했다.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아파트 층간소음의 절반은 사람의 움직임 소리인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 용인시가 관내 아파트 96개단지, 663개동을 대상으로 표본조사를 시행한 결과로 전체 민원발생건수 1798건 가운데 34.4%인 619건이 '아이들 뛰는 소리'였다.
또 개 등 동물소리 15.2%(274건), 발걸음소리 15.1%(272건), 피아노 등 악기소리 10.7%(193건), 가구 끄는 소리 5.1%(91건) 등 순으로 나타났다. 이어 문 여닫는 소리(3.1%), 대화·싸움 등 떠드는 소리(3%), 운동기구 소음(2.9%), 세탁기·TV 등 가전제품 소리(2.8%), 화장실 등 급배수 소리(1.8%) 등 순이었다.
층간소음 피해 시간으로는 평일의 경우 전체 1321건 가운데 오후 6∼10시가 45.7%인 604건, 오후 10시∼오전 6시도 34.9%인 462건이었다.
또 주말·공휴일은 전체 477건 중 오후 10시∼오전 6시가 37.1%인 177건, 오후 6∼10시가 33.9%인 162건이었다.
층간소음 주된 피해자는 '위층소음으로 인한 아래층 피해'가 전체의 51.6%(927건)를 차지했으나 '아래층의 항의로 인한 위층 피해'도 20%(360건)에 달했다.
이에 따라 시는 공동주택 층간소음 분쟁을 사전 예방하기 위해 아파트 관리소장, 입주자대표, 어린이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예방교육프로그램을 시행할 계획이다.
또 층간소음 저감 우수공동주택 인증제를 도입, 모범단지에 대해 가점을 주기로 했다.
곽태영 기자 tykwak@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