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경영연구소, 10년전보다 27만 가구 줄어
국내 전세가구가 확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15일 발표한 '국내 전세시장의 구조적 변화가능성 진단' 에 따르면 국내 전세 거주가구수는 2010년 현재 약 377만가구(비중 21.7%)다. 이는 10년 전에 비해 비중으로는 8.0%p, 가구수로는 약 27만 가구가 줄어든 것이다. 집주인들의 월세 전환요구가 많아지면서 전세가구수가 대폭 줄어들고 있는 추세를 보여준 것이다.
이 밖에도 2010년 인구·가구센서스와 전세가격 상승률을 감안해 추정한 전세보증금은 2013년 3월 현재 약 340조원으로 2010년 11월에 비해 약 50조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집주인의 월세 전환 요구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저금리가 지속되면서 금리와 월세이율간의 차이가 큰데다 전세 선호가 높은 아파트의 공급이 줄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수도권에 거주하는 무주택 전세가구의 경우 이후에도 주택을 구입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신규 주택구입의 주수요층인 무주택 전세가구의 경제여력을 분석한 결과, 보유 순자산이 약 1억5000만원밖에 되지 않기 때문이다. 수도권 평균주택가격이 약 3억4000만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50% 이상 대출을 활용하거나 외부로부터 자금 조달을 해야한다는 뜻이다.
또 현재 전세 가구의 경우 다른 임차가구에 비해 소득은 높지만 상대적으로 생활비 등의 지출이 많은데다 소득 증가보다 빠르게 상승하는 전세보증금 때문에 부채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형선 기자 egoh@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국내 전세가구가 확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15일 발표한 '국내 전세시장의 구조적 변화가능성 진단' 에 따르면 국내 전세 거주가구수는 2010년 현재 약 377만가구(비중 21.7%)다. 이는 10년 전에 비해 비중으로는 8.0%p, 가구수로는 약 27만 가구가 줄어든 것이다. 집주인들의 월세 전환요구가 많아지면서 전세가구수가 대폭 줄어들고 있는 추세를 보여준 것이다.
이 밖에도 2010년 인구·가구센서스와 전세가격 상승률을 감안해 추정한 전세보증금은 2013년 3월 현재 약 340조원으로 2010년 11월에 비해 약 50조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집주인의 월세 전환 요구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저금리가 지속되면서 금리와 월세이율간의 차이가 큰데다 전세 선호가 높은 아파트의 공급이 줄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수도권에 거주하는 무주택 전세가구의 경우 이후에도 주택을 구입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신규 주택구입의 주수요층인 무주택 전세가구의 경제여력을 분석한 결과, 보유 순자산이 약 1억5000만원밖에 되지 않기 때문이다. 수도권 평균주택가격이 약 3억4000만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50% 이상 대출을 활용하거나 외부로부터 자금 조달을 해야한다는 뜻이다.
또 현재 전세 가구의 경우 다른 임차가구에 비해 소득은 높지만 상대적으로 생활비 등의 지출이 많은데다 소득 증가보다 빠르게 상승하는 전세보증금 때문에 부채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형선 기자 egoh@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