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취업자중 자영업자 비중 역대 최저
경기침체 장기화로 폐업이 속출하면서 전체 취업자 중 자영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사상 최저로 떨어졌다.
19일 통계청에 따르면 4월 취업자 중 자영업자는 571만6000명으로 전체 취업자 2510만3000명의 22.8%를 차지했다. 4월 기준으로는 관련 통계가 나오기 시작한 지난 1983년 4월 이후 30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1983년 4월 자영업자 수는 509만7000명으로 전체 취업자 1489만6000명 중 34.2%였다.
4월 기준으로 보면 1988년에 29.9%로 30%대가 처음으로 붕괴된 이후 20% 후반대를 오르내리다가 2008년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곤두박질하기 시작해 2009년 24.5%, 2010년 23.7%, 2011년 23.2%, 2012년 23.4%에 이어 지난달 22%대까지 떨어졌다.
전체 취업자 중 자영업자 수가 1983년 3명중 1명이었으나 올해 5명중 1명꼴로 줄어들었다.
4월 중 취업자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4만5000명 늘어나 반짝 증가세를 기록했지만 자영업자 수는 9만명이나 줄었다.
전년 동월 대비 자영업자 수가 이처럼 급감한 것은 2011년 2월(-13만명) 이후 2년여 만에 가장 큰 규모다.
전년 동월 대비 증감을 보면 1월 -2만1000명, 2월 -1만5000명, 3월 -4만8000명 등으로 감소폭이 점차 확대되는 추세다.
특히 4월중 감소한 자영업자 9만명 중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가 5만명으로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감소폭(4만명)보다 많았다. 이는 상대적으로 형편이 좋은 자영업자들이 폐업한 사례가 많았다는 의미다.
산업별로는 자영업자들이 가장 많이 종사하는 도소매업이 큰 타격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도소매업종 취업자 수는 4월 기준 358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만5000명 감소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도소매, 음식숙박업 등 영세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자영업자 감소세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라며 "경기 회복이 지연되면 자영업 부문이 취약계층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사회안전망을 확충하고 이들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구본홍 기자 bhko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경기침체 장기화로 폐업이 속출하면서 전체 취업자 중 자영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사상 최저로 떨어졌다.
19일 통계청에 따르면 4월 취업자 중 자영업자는 571만6000명으로 전체 취업자 2510만3000명의 22.8%를 차지했다. 4월 기준으로는 관련 통계가 나오기 시작한 지난 1983년 4월 이후 30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1983년 4월 자영업자 수는 509만7000명으로 전체 취업자 1489만6000명 중 34.2%였다.
4월 기준으로 보면 1988년에 29.9%로 30%대가 처음으로 붕괴된 이후 20% 후반대를 오르내리다가 2008년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곤두박질하기 시작해 2009년 24.5%, 2010년 23.7%, 2011년 23.2%, 2012년 23.4%에 이어 지난달 22%대까지 떨어졌다.
전체 취업자 중 자영업자 수가 1983년 3명중 1명이었으나 올해 5명중 1명꼴로 줄어들었다.
4월 중 취업자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4만5000명 늘어나 반짝 증가세를 기록했지만 자영업자 수는 9만명이나 줄었다.
전년 동월 대비 자영업자 수가 이처럼 급감한 것은 2011년 2월(-13만명) 이후 2년여 만에 가장 큰 규모다.
전년 동월 대비 증감을 보면 1월 -2만1000명, 2월 -1만5000명, 3월 -4만8000명 등으로 감소폭이 점차 확대되는 추세다.
특히 4월중 감소한 자영업자 9만명 중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가 5만명으로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감소폭(4만명)보다 많았다. 이는 상대적으로 형편이 좋은 자영업자들이 폐업한 사례가 많았다는 의미다.
산업별로는 자영업자들이 가장 많이 종사하는 도소매업이 큰 타격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도소매업종 취업자 수는 4월 기준 358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만5000명 감소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도소매, 음식숙박업 등 영세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자영업자 감소세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라며 "경기 회복이 지연되면 자영업 부문이 취약계층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사회안전망을 확충하고 이들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구본홍 기자 bhko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