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자 오늘 3차 소환 예정 … "관련자 대질"
경찰이 '사회지도층 성접대 의혹' 사건 수사 마무리를 앞두고 속도를 내고 있다.
내사사실 공개 등으로 인권침해 논란을 낳았던 경찰이 과연 이를 만회할 만한 결과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21일 경찰청에 따르면 특수수사과는 이달 말 또는 6월 초 사건종결을 염두에 두고 성접대 및 불법로비 의혹의 핵심 피의자인 건설업자 윤 모(52)씨를 21일중으로 3차 소환, 다른 사건 관련자들과 대질신문을 할 계획이다.
경찰청 수사 관계자는 이날 "윤씨의 여러 의혹에 대한 직접 조사를 두 번에 나눠 한 만큼 실질적으로는 두 번째 조사가 되는 셈"이라며 "이번에 윤씨를 부르면 관련자들과 대질도 준비하라고 수사팀에 지시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오늘 (윤씨가) 왔다가면 사법처리 절차가 가능한 부분과 좀 더 필요한 부분에 대한 교통정리가 될 것"고 말했다.
경찰은 지난 9일 윤씨를 첫 소환, 입찰비리 등 사업 관련 의혹을 집중 추궁한 데 이어 지난 14일 2차 소환을 통해 유력인사 성접대 의혹에 관해 강도높은 조사를 벌였다. 윤씨는 사건 초기 실명이 거론되면서 사퇴한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과의 관계를 비롯해 혐의를 대부분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필요하면 이번 주 후에도 윤씨를 한 차례 더 소환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또 경찰은 그간 관련자에 대한 압수수색 등 수사 과정에서 특정 유력인사의 이름이 여러차례 명시된 윤씨의 수첩을 확보, 성접대 등 불법로비와 해당 인사의 연관성을 추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윤씨의 금융권 불법대출 혐의에 대해서도 수사가 마무리단계인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3월 성접대 의혹이 불거지자 경찰은 내사착수 사실을 이례적으로 언론에 공개했다. 이후 김 전 차관이 의혹단계에서 사퇴하는 사태가 벌어지면서 '수사의 기본을 안 지켰다' '인권침해'라는 비판을 받았다.
성접대를 주장하는 참고인들을 소환하고 사건 관련자들의 자택과 별장 등을 압수수색해 성접대 의심 동영상 사본을 확보했지만 등장인물을 특정하는 데는 실패했다. 핵심인물인 윤씨 소환도 지연되면서 알맹이가 없는 게 아니냐는 목소리가 적지 않았다.
그러나 지난달 말 경찰은 김 전 차관을 출국금지하고 이달 초 윤씨를 2차례 소환하더니 성접대 의심동영상 원본 일부를 입수, 확인하면서 수사에 속도가 붙었다. 윤씨에 대한 조사가 마무리되면 김 전 차관에 대한 조사로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경찰은 이번 수사의 성패를 대가성 입증에 두고 있다. 성접대의 대가로 사업상 또는 개인적 이익을 봤다는 사실을 증명하지 못하면 성추문만 키웠다는 비판을 피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관련자 대부분이 대가성을 부인하는 상황에서 어떤 증거를 제시하느냐가 이후 사법처리 과정을 좌우할 전망이다.
경찰은 수사가 계획대로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며 자신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경찰청 관계자는 "팀원들의 사기가 높고 실체를 반드시 밝히겠다는 의욕도 매우 강한 상태"라며 "수사 결과를 지켜봐 달라"고 말했다.
이재걸 기자 claritas@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경찰이 '사회지도층 성접대 의혹' 사건 수사 마무리를 앞두고 속도를 내고 있다.
내사사실 공개 등으로 인권침해 논란을 낳았던 경찰이 과연 이를 만회할 만한 결과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21일 경찰청에 따르면 특수수사과는 이달 말 또는 6월 초 사건종결을 염두에 두고 성접대 및 불법로비 의혹의 핵심 피의자인 건설업자 윤 모(52)씨를 21일중으로 3차 소환, 다른 사건 관련자들과 대질신문을 할 계획이다.
경찰청 수사 관계자는 이날 "윤씨의 여러 의혹에 대한 직접 조사를 두 번에 나눠 한 만큼 실질적으로는 두 번째 조사가 되는 셈"이라며 "이번에 윤씨를 부르면 관련자들과 대질도 준비하라고 수사팀에 지시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오늘 (윤씨가) 왔다가면 사법처리 절차가 가능한 부분과 좀 더 필요한 부분에 대한 교통정리가 될 것"고 말했다.
경찰은 지난 9일 윤씨를 첫 소환, 입찰비리 등 사업 관련 의혹을 집중 추궁한 데 이어 지난 14일 2차 소환을 통해 유력인사 성접대 의혹에 관해 강도높은 조사를 벌였다. 윤씨는 사건 초기 실명이 거론되면서 사퇴한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과의 관계를 비롯해 혐의를 대부분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필요하면 이번 주 후에도 윤씨를 한 차례 더 소환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또 경찰은 그간 관련자에 대한 압수수색 등 수사 과정에서 특정 유력인사의 이름이 여러차례 명시된 윤씨의 수첩을 확보, 성접대 등 불법로비와 해당 인사의 연관성을 추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윤씨의 금융권 불법대출 혐의에 대해서도 수사가 마무리단계인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3월 성접대 의혹이 불거지자 경찰은 내사착수 사실을 이례적으로 언론에 공개했다. 이후 김 전 차관이 의혹단계에서 사퇴하는 사태가 벌어지면서 '수사의 기본을 안 지켰다' '인권침해'라는 비판을 받았다.
성접대를 주장하는 참고인들을 소환하고 사건 관련자들의 자택과 별장 등을 압수수색해 성접대 의심 동영상 사본을 확보했지만 등장인물을 특정하는 데는 실패했다. 핵심인물인 윤씨 소환도 지연되면서 알맹이가 없는 게 아니냐는 목소리가 적지 않았다.
그러나 지난달 말 경찰은 김 전 차관을 출국금지하고 이달 초 윤씨를 2차례 소환하더니 성접대 의심동영상 원본 일부를 입수, 확인하면서 수사에 속도가 붙었다. 윤씨에 대한 조사가 마무리되면 김 전 차관에 대한 조사로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경찰은 이번 수사의 성패를 대가성 입증에 두고 있다. 성접대의 대가로 사업상 또는 개인적 이익을 봤다는 사실을 증명하지 못하면 성추문만 키웠다는 비판을 피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관련자 대부분이 대가성을 부인하는 상황에서 어떤 증거를 제시하느냐가 이후 사법처리 과정을 좌우할 전망이다.
경찰은 수사가 계획대로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며 자신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경찰청 관계자는 "팀원들의 사기가 높고 실체를 반드시 밝히겠다는 의욕도 매우 강한 상태"라며 "수사 결과를 지켜봐 달라"고 말했다.
이재걸 기자 claritas@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