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도 1.9% 감소 … 해외명품은 4.1% 증가
지난 4월 대형마트 매출이 주력인 식품을 비롯해 의류, 스포츠, 가전 등의 동반 하락으로 뚝 떨어졌다.
백화점도 감소세로 돌아서는 등 대형유통업체 실적이 부진했다.
23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4월 유통업체 매출동향에 따르면 대형마트 매출은 전년 동월 대비 9.8% 감소했고 3월에 비해선 13.9%나 줄었다.
식품(-9.3%), 의류(-17.7%), 스포츠(-12.2%), 가전·문화(-6.8%) 등 전 부문의 매출이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지난 2월 반짝 증가(8.9%)했던 대형마트 매출은 3월(-4.4%)에 이어 두 달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꽃샘 추위에 따른 시즌 의류 매출 부진과 의무휴업에 따른 특정브랜드 퇴점, 수입과일 물량 부족에다 새 학기 특수효과도 사라져 매출 하락세의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산업부는 분석했다.
백화점도 정기세일 매출 부진으로 전년 동월 대비 매출이 1.9% 감소했다.
그러나 일부 매장에서 명품 행사전을 열고 신규 명품이 보강되면서 해외명품 매출은 4.1% 증가했다.
편의점의 경우 3월 매출 집계 결과 전년 동월 대비 매출이 8.3% 증가했다. 하지만 점포 증가율(13.4%)에는 미치지 못했다.
편의점에서는 스마트폰 보급 확대에 따라 서적·잡지류 매출이 줄었지만 생활용품, 즉석식품, 가공식품, 담배 등의 매출이 7∼15% 늘었다. 소주 가격 인상 등으로 구매단가가 오른 영향도 있었다.
한편 유통업체별 1인당 구매단가는 대형마트가 4만2394원, 백화점 7만6236원, 편의점 3870원인 것으로 분석됐다.
고병수 기자 byng8@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지난 4월 대형마트 매출이 주력인 식품을 비롯해 의류, 스포츠, 가전 등의 동반 하락으로 뚝 떨어졌다.
백화점도 감소세로 돌아서는 등 대형유통업체 실적이 부진했다.
23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4월 유통업체 매출동향에 따르면 대형마트 매출은 전년 동월 대비 9.8% 감소했고 3월에 비해선 13.9%나 줄었다.
식품(-9.3%), 의류(-17.7%), 스포츠(-12.2%), 가전·문화(-6.8%) 등 전 부문의 매출이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지난 2월 반짝 증가(8.9%)했던 대형마트 매출은 3월(-4.4%)에 이어 두 달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꽃샘 추위에 따른 시즌 의류 매출 부진과 의무휴업에 따른 특정브랜드 퇴점, 수입과일 물량 부족에다 새 학기 특수효과도 사라져 매출 하락세의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산업부는 분석했다.
백화점도 정기세일 매출 부진으로 전년 동월 대비 매출이 1.9% 감소했다.
그러나 일부 매장에서 명품 행사전을 열고 신규 명품이 보강되면서 해외명품 매출은 4.1% 증가했다.
편의점의 경우 3월 매출 집계 결과 전년 동월 대비 매출이 8.3% 증가했다. 하지만 점포 증가율(13.4%)에는 미치지 못했다.
편의점에서는 스마트폰 보급 확대에 따라 서적·잡지류 매출이 줄었지만 생활용품, 즉석식품, 가공식품, 담배 등의 매출이 7∼15% 늘었다. 소주 가격 인상 등으로 구매단가가 오른 영향도 있었다.
한편 유통업체별 1인당 구매단가는 대형마트가 4만2394원, 백화점 7만6236원, 편의점 3870원인 것으로 분석됐다.
고병수 기자 byng8@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