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저소득가구 등 취약계층 대상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연구원은 '실내환경 진단·개선사업'을 실시한다고 18일 밝혔다.
열악한 생활환경으로 쉽게 환경오염에 노출되는 사회적 약자와 소외계층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다.
저소득가구 장애인가구 독거노인 다문화가구 등 취약가구와 노인복지시설이 사업 대상이다.
환경부는 "사회 취약계층은 노후된 주택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다"며 "노후주택은 실내 공기가 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폼알데하이드 등에 오염되고, 세균이나 곰팡이, 집먼지 진드기 등 병원성 미생물이 서식할 확률이 높다. 이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생활환경개선 지원대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수도권, 전국 5대 광역시 및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와 구미 불산 사고지역에 거주하는 사회취약계층 중 사회복지법인이나 지방자치단체의 추천을 받은 2200가구를 선정해 무료로 실내환경 진단 을 해준다.
김아영 기자 ay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연구원은 '실내환경 진단·개선사업'을 실시한다고 18일 밝혔다.
열악한 생활환경으로 쉽게 환경오염에 노출되는 사회적 약자와 소외계층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다.
저소득가구 장애인가구 독거노인 다문화가구 등 취약가구와 노인복지시설이 사업 대상이다.
환경부는 "사회 취약계층은 노후된 주택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다"며 "노후주택은 실내 공기가 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폼알데하이드 등에 오염되고, 세균이나 곰팡이, 집먼지 진드기 등 병원성 미생물이 서식할 확률이 높다. 이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생활환경개선 지원대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수도권, 전국 5대 광역시 및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와 구미 불산 사고지역에 거주하는 사회취약계층 중 사회복지법인이나 지방자치단체의 추천을 받은 2200가구를 선정해 무료로 실내환경 진단 을 해준다.
김아영 기자 ay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