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개사 영업손실만 4800억원
주요 대형건설사들이 1분기에만 수천억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20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현대건설 삼성물산 대우건설 GS건설 대림산업 현대산업개발 두산건설 삼성엔지니어링 등 8개 상장 대형 건설사는 올해 1분기에 연결 기준으로 2371억원의 영업손실과 2169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냈다.
이들 8개 대형건설사의 지난해 1분기 영업이익은 8835억원, 당기순이익은 6563억원이었다. 1년새 흑자가 적자로 전환된 것이다.
비상장사인 SK건설(시공능력 9위) 실적까지 합치면 9개사의 올 1분기 영업손실과 순손실은 각각 4809억원, 3936억원에 달한다. SK건설은 해외플랜트 프로젝트 손실 여파로 2438억원의 영업손실과 1067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GS건설의 영업손실과 순손실 규모는 각각 5443억원과 4122억원으로 가장 컸다. 삼성엔지니어링은 2198억원의 영업손실과 1805억원 순손실을 내 흑자에서 적자로 전환했다.
1분기 흑자를 낸 대형 건설사들의 실적도 급감했다.
현대산업개발과 두산건설의 1분기 영업익은 각각 292억원, 127억원이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의 반토막 수준에 불과하다. 삼성물산 영업이익은 675억원으로 28% 감소했다.
1분기 영업이익이 작년 동기와 비교해 감소했거나 적자로 전환한 곳은 9개 대형사중 6개에 이른다.
한국건설경영협회가 올해 초 28개 대형 건설사의 국내 건설 수주 목표치를 조사한 결과 총 70조3365억원으로 지난해보다 5.3% 늘어나는 데 그쳤다.
대형 건설사들은 올해 주택건설 수주목표를 지난해보다 10.9% 낮게 잡았고 사회간접자본(SOC) 투자가 줄어 공공건설 수주도 예년에 못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이들 건설사는 해외 건설수주 목표액을 작년보다 46% 많은 74조7990억원으로 잡았으나 저가 수주와 경쟁심화로 이익개선에 도움이 될지 불투명한 상황이다.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국내와 해외 부문이 동시에 나빠지면 자금난을 겪는 건설사들이 늘어날 것"이라며 "대형사들까지 어려움에 빠지면 업계가 회복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우려했다.
시장에선 1분기 적자를 낸 건설사에 대한 우려도 깊다.
건설업계 안팎에선 건설경기 침체가 지속되면 올해 구조조정 대상이 추가로 나올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 올해 들어 3개 건설사가 워크아웃(기업재무구조개선)이나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현재 시공능력순위 100대 건설사들 가운데 21곳이 워크아웃 또는 법정관리를 진행 중이다.
시공능력순위 13위 쌍용건설은 졸업 8년 만에 워크아웃을 재추진하고 있다. 채권단은 지난 16일 워크아웃 동의 여부를 결정하지 못했다. 채권단이 이번 주 경영정상화 지원 방안을 결의하면 워크아웃에 들어가게 된다.
쌍용건설이 워크아웃에 들어가면 상위 20위권 내 건설사 중에선 금호산업(16위)에 이어 두번째다.
한일건설(49위)은 올2월, STX건설(37위)은 지난 8일 각각 법정관리를 개시했다. 두산건설(12위)과 한라건설(17위)은 그룹에서 각각 1조원 안팎의 유동성을 수혈받아 위기를 넘겼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부동산대책만으로 건설경기가 살아나기 힘들다"면서 "국내 공공시장은 물론 해외시장도 어려워 건설경기 침체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현재 상황이 지속되면 중소형 건설사는 물론 대형건설사까지 워크아웃행이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오승완 기자 연합뉴스 osw@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주요 대형건설사들이 1분기에만 수천억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20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현대건설 삼성물산 대우건설 GS건설 대림산업 현대산업개발 두산건설 삼성엔지니어링 등 8개 상장 대형 건설사는 올해 1분기에 연결 기준으로 2371억원의 영업손실과 2169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냈다.
이들 8개 대형건설사의 지난해 1분기 영업이익은 8835억원, 당기순이익은 6563억원이었다. 1년새 흑자가 적자로 전환된 것이다.
비상장사인 SK건설(시공능력 9위) 실적까지 합치면 9개사의 올 1분기 영업손실과 순손실은 각각 4809억원, 3936억원에 달한다. SK건설은 해외플랜트 프로젝트 손실 여파로 2438억원의 영업손실과 1067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GS건설의 영업손실과 순손실 규모는 각각 5443억원과 4122억원으로 가장 컸다. 삼성엔지니어링은 2198억원의 영업손실과 1805억원 순손실을 내 흑자에서 적자로 전환했다.
1분기 흑자를 낸 대형 건설사들의 실적도 급감했다.
현대산업개발과 두산건설의 1분기 영업익은 각각 292억원, 127억원이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의 반토막 수준에 불과하다. 삼성물산 영업이익은 675억원으로 28% 감소했다.
1분기 영업이익이 작년 동기와 비교해 감소했거나 적자로 전환한 곳은 9개 대형사중 6개에 이른다.
한국건설경영협회가 올해 초 28개 대형 건설사의 국내 건설 수주 목표치를 조사한 결과 총 70조3365억원으로 지난해보다 5.3% 늘어나는 데 그쳤다.
대형 건설사들은 올해 주택건설 수주목표를 지난해보다 10.9% 낮게 잡았고 사회간접자본(SOC) 투자가 줄어 공공건설 수주도 예년에 못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이들 건설사는 해외 건설수주 목표액을 작년보다 46% 많은 74조7990억원으로 잡았으나 저가 수주와 경쟁심화로 이익개선에 도움이 될지 불투명한 상황이다.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국내와 해외 부문이 동시에 나빠지면 자금난을 겪는 건설사들이 늘어날 것"이라며 "대형사들까지 어려움에 빠지면 업계가 회복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우려했다.
시장에선 1분기 적자를 낸 건설사에 대한 우려도 깊다.
건설업계 안팎에선 건설경기 침체가 지속되면 올해 구조조정 대상이 추가로 나올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 올해 들어 3개 건설사가 워크아웃(기업재무구조개선)이나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현재 시공능력순위 100대 건설사들 가운데 21곳이 워크아웃 또는 법정관리를 진행 중이다.
시공능력순위 13위 쌍용건설은 졸업 8년 만에 워크아웃을 재추진하고 있다. 채권단은 지난 16일 워크아웃 동의 여부를 결정하지 못했다. 채권단이 이번 주 경영정상화 지원 방안을 결의하면 워크아웃에 들어가게 된다.
쌍용건설이 워크아웃에 들어가면 상위 20위권 내 건설사 중에선 금호산업(16위)에 이어 두번째다.
한일건설(49위)은 올2월, STX건설(37위)은 지난 8일 각각 법정관리를 개시했다. 두산건설(12위)과 한라건설(17위)은 그룹에서 각각 1조원 안팎의 유동성을 수혈받아 위기를 넘겼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부동산대책만으로 건설경기가 살아나기 힘들다"면서 "국내 공공시장은 물론 해외시장도 어려워 건설경기 침체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현재 상황이 지속되면 중소형 건설사는 물론 대형건설사까지 워크아웃행이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오승완 기자 연합뉴스 osw@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