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증가로 전년보다 0.3%증가 … 동아제약·한미약품·대웅제약 상위권
지난해 경기침체와 보험약가 일괄인하에도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이 소폭 증가했다. 업계의 해외시장 진출 노력 결과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12년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을 분석한 결과, 전년도보다 0.3% 증가한 19조 2266억원이라고 3일 밝혔다.
이 분석 결과를 보면, 원료의약품 생산은 1조9640억원으로 2011년(1조4874억원)에 비해 32.0%나 상승했다. 이는 약가인하 정책 등 내수시장 불안에 따라 제약사가 일본, 베트남, 중국 등 해외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한 결과로 분석된다. 지난해 의약품생산실적이 증가한 주요 원인이다.
반면, 완제의약품은 13조7500억원으로 전년도보다 2.5% 감소했다. 완제의약품 중 전문의약품은 11조 4526억원으로 총 생산금액의 83.3%, 일반의약품은 2조 2974억원으로 16.7%를 차지했다.
수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무역수지는 적자였다. 완제의약품과 원료의약품은 2011년 보다 수출실적이 각각 약 17% 이상 증가했다. 수출금액이 약 20.7억달러였다. 원료의약품은 10.8억달러, 완제의약품은 9.9억달러 수출했다. 하지만 '고가의 항암제', '간염치료제', '백신류' 등 수입실적(51.9억달러)은 감소하지 않아 무역수지는 31.2억달러 적자로 조사됐다. '항악성종양제'가 총 수입액의 12.1%에 달했다.
생산실적 상위 30개사가 전체 57%를 점유했다. 생산실적(원료·완제) 상위 3개 업체는 동아제약(6709억원), 한미약품(5752억원), 대웅제약(5711억원) 순으로, 한미약품이 3위에서 2위로 상승했다.
특히 개량신약(17개 품목)의 생산실적은 1282억원으로 전년보다 26.7%나 증가했다. 한미약품 '아모잘탄정5/50mg(370억원)', '아모잘탄정5/100mg(317억원)은 전체 생산금액의 54%로 1위를 차지했다.
김규철 기자 gckim1026@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지난해 경기침체와 보험약가 일괄인하에도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이 소폭 증가했다. 업계의 해외시장 진출 노력 결과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12년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을 분석한 결과, 전년도보다 0.3% 증가한 19조 2266억원이라고 3일 밝혔다.
이 분석 결과를 보면, 원료의약품 생산은 1조9640억원으로 2011년(1조4874억원)에 비해 32.0%나 상승했다. 이는 약가인하 정책 등 내수시장 불안에 따라 제약사가 일본, 베트남, 중국 등 해외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한 결과로 분석된다. 지난해 의약품생산실적이 증가한 주요 원인이다.
반면, 완제의약품은 13조7500억원으로 전년도보다 2.5% 감소했다. 완제의약품 중 전문의약품은 11조 4526억원으로 총 생산금액의 83.3%, 일반의약품은 2조 2974억원으로 16.7%를 차지했다.
수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무역수지는 적자였다. 완제의약품과 원료의약품은 2011년 보다 수출실적이 각각 약 17% 이상 증가했다. 수출금액이 약 20.7억달러였다. 원료의약품은 10.8억달러, 완제의약품은 9.9억달러 수출했다. 하지만 '고가의 항암제', '간염치료제', '백신류' 등 수입실적(51.9억달러)은 감소하지 않아 무역수지는 31.2억달러 적자로 조사됐다. '항악성종양제'가 총 수입액의 12.1%에 달했다.
생산실적 상위 30개사가 전체 57%를 점유했다. 생산실적(원료·완제) 상위 3개 업체는 동아제약(6709억원), 한미약품(5752억원), 대웅제약(5711억원) 순으로, 한미약품이 3위에서 2위로 상승했다.
특히 개량신약(17개 품목)의 생산실적은 1282억원으로 전년보다 26.7%나 증가했다. 한미약품 '아모잘탄정5/50mg(370억원)', '아모잘탄정5/100mg(317억원)은 전체 생산금액의 54%로 1위를 차지했다.
김규철 기자 gckim1026@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