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사 제작 엔진 … 2월부터 유사사고
국토교통부는 대한항공 여객기의 비상착륙 원인은 '엔진 제작결함'이라고 3일 밝혔다.
문제 항공기는 지난 2일 비행중 한쪽 엔진이 정지해 러시아 극동지역에 긴급착륙했다.
엔진이 정지할 당시 문제 항공기의 오일 압력이 내려갔고, 현지에서 항공기를 점검한 대한항공 정비사들이 오일에 쇳가루가 섞인 것은 확인했다. 국토부는 이를 토대로 엔진 기어박스의 불량 때문에 엔진이 정지한 것으로 보고 있다.
비상착륙한 대한항공의 B777-300ER 기종에는 제너럴일렉트릭(GE)사의 엔진(GE 90-115B 모델)이 장착돼 있다. 대형 항공기에는 GE 외에 롤스로이스(RR), 프랫앤휘트니(PW)등의 엔진이 쓰이고 있다. 항공사는 보잉이나 에어버스 등 항공사의 기종을 선택한 후 엔진제작업체도 별도로 정한다.
미국 연방항공청(FAA)은 GE사의 엔진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동일한 모델의 엔진을 쓰는 러시아와 중국 항공사들도 지난 2월과 5월에 유사한 엔진 고장을 일으킨 바 있다. FAA는 지난해 9월부터 올 3월 제작된 '90-115B'와 '90-110B' 등 2개 제품의 기어박스에 결함이 있다면서 자국항공사에 이를 교체하라고 지시했다. 또 각국 항공당국에도 이 같은 사실을 통보했다. 이에 따라 대한항공은 지난 5월 2대의 항공기 부품을 교체했다.
이번에 고장난 항공기는 문제가 된 부품을 교체한 뒤 지난달 12일 도입됐다. 비행시간이 250시간밖에 되지 않았다.
아시아나항공도 B777-200 기종 12대를 보유하고 있으나 GE가 아닌 PW사 엔진을 쓰고 있다.
국토부는 대한항공에 엔진 고장 사실을 미국 항공당국에 통보하고 고장 엔진을 GE에 보내라고 지시했다. 정확한 원인은 GE의 조사결과 확인될 전망이다.
GE 관계자는 "대한항공은 물론 정부와도 긴밀히 협조하고 있다"며 "원인규명을 위해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오승완 기자 osw@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국토교통부는 대한항공 여객기의 비상착륙 원인은 '엔진 제작결함'이라고 3일 밝혔다.
문제 항공기는 지난 2일 비행중 한쪽 엔진이 정지해 러시아 극동지역에 긴급착륙했다.
엔진이 정지할 당시 문제 항공기의 오일 압력이 내려갔고, 현지에서 항공기를 점검한 대한항공 정비사들이 오일에 쇳가루가 섞인 것은 확인했다. 국토부는 이를 토대로 엔진 기어박스의 불량 때문에 엔진이 정지한 것으로 보고 있다.
비상착륙한 대한항공의 B777-300ER 기종에는 제너럴일렉트릭(GE)사의 엔진(GE 90-115B 모델)이 장착돼 있다. 대형 항공기에는 GE 외에 롤스로이스(RR), 프랫앤휘트니(PW)등의 엔진이 쓰이고 있다. 항공사는 보잉이나 에어버스 등 항공사의 기종을 선택한 후 엔진제작업체도 별도로 정한다.
미국 연방항공청(FAA)은 GE사의 엔진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동일한 모델의 엔진을 쓰는 러시아와 중국 항공사들도 지난 2월과 5월에 유사한 엔진 고장을 일으킨 바 있다. FAA는 지난해 9월부터 올 3월 제작된 '90-115B'와 '90-110B' 등 2개 제품의 기어박스에 결함이 있다면서 자국항공사에 이를 교체하라고 지시했다. 또 각국 항공당국에도 이 같은 사실을 통보했다. 이에 따라 대한항공은 지난 5월 2대의 항공기 부품을 교체했다.
이번에 고장난 항공기는 문제가 된 부품을 교체한 뒤 지난달 12일 도입됐다. 비행시간이 250시간밖에 되지 않았다.
아시아나항공도 B777-200 기종 12대를 보유하고 있으나 GE가 아닌 PW사 엔진을 쓰고 있다.
국토부는 대한항공에 엔진 고장 사실을 미국 항공당국에 통보하고 고장 엔진을 GE에 보내라고 지시했다. 정확한 원인은 GE의 조사결과 확인될 전망이다.
GE 관계자는 "대한항공은 물론 정부와도 긴밀히 협조하고 있다"며 "원인규명을 위해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오승완 기자 osw@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