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저소득층, 전세·월세시장으로 몰려
고소득층은 물론 중산층도 주택구입에 대한 관심이 크게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는 '온라나 홈페이지'에 게재된 지역별 소득계층별 주택점유형태를 분석한 결과 수도권 중·고소득층의 자가점유비율(자기 소유의 주택에 살고 있는 비율)이 2006년 이후 크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고소득층의 자가점유율은 2006년 64.71%에서 2012년 58.67%로, 중소득층은 같은 기간 49.52%에서 43.15%로 줄었다. 다만 저소득층은 보합세를 보였다.
이에 반해 고소득층 전세점유율은 27.67%에서 33.91%로, 중소득층은 32.73%에서 34.17%로 각각 증가했다. 반면, 저소득층 전세 비중은 28.16%에서 18.59%로 9.57%나 감소했다.
소득이 적을수록 주거비 부담이 높은 월세 비율이 늘고 있다. 보증부 월세의 경우는 고소득층은 큰 차이가 없었지만 중소득층은 14.78%에서 19.39%로, 저소득층도 26.5%에서 2012년 35.33%로 8.83%나 증가했다.
중소득층과 저소득층은 치솟는 전세로 인해 '전세 난민'으로 전락했고, 집주인들이 전세 대신 월세를 선호하면서 월세시장으로 내몰리는 상황이다.
부동산써브 관계자는 "저소득층의 자가점유율이 늘어난 것은 전세와 월세 상승에 따라 차라리 빚을 내서 집을 사자며 매매로 돌아선 경우"라고 말했다.
오승완 기자 osw@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고소득층은 물론 중산층도 주택구입에 대한 관심이 크게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는 '온라나 홈페이지'에 게재된 지역별 소득계층별 주택점유형태를 분석한 결과 수도권 중·고소득층의 자가점유비율(자기 소유의 주택에 살고 있는 비율)이 2006년 이후 크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고소득층의 자가점유율은 2006년 64.71%에서 2012년 58.67%로, 중소득층은 같은 기간 49.52%에서 43.15%로 줄었다. 다만 저소득층은 보합세를 보였다.
이에 반해 고소득층 전세점유율은 27.67%에서 33.91%로, 중소득층은 32.73%에서 34.17%로 각각 증가했다. 반면, 저소득층 전세 비중은 28.16%에서 18.59%로 9.57%나 감소했다.
소득이 적을수록 주거비 부담이 높은 월세 비율이 늘고 있다. 보증부 월세의 경우는 고소득층은 큰 차이가 없었지만 중소득층은 14.78%에서 19.39%로, 저소득층도 26.5%에서 2012년 35.33%로 8.83%나 증가했다.
중소득층과 저소득층은 치솟는 전세로 인해 '전세 난민'으로 전락했고, 집주인들이 전세 대신 월세를 선호하면서 월세시장으로 내몰리는 상황이다.
부동산써브 관계자는 "저소득층의 자가점유율이 늘어난 것은 전세와 월세 상승에 따라 차라리 빚을 내서 집을 사자며 매매로 돌아선 경우"라고 말했다.
오승완 기자 osw@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