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보증금 52주 연속 상승 …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9개월째 1%대
통계청, 전월세 가중치 오히려 낮춰 … 엉터리 지표에 국민 '짜증'
치솟는 전셋값에 전세 세입자들이 밤잠을 못 이루고 있다. 그러나 지표상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9개월째 1%대다. 서민과 중산층의 체감물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통계청 물가지표는 폭염보다 더 국민들을 짜증스럽게 만든다.
16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전국 및 서울지역 아파트 전세보증금은 지난주까지 52주째 상승했다. 1년 동안 단 한 주도 쉬지 않고 전세보증금이 올랐다는 뜻이다. 특히 비수기인 여름철에도 서울지역 아파트 전세보증금 상승률은 전주 대비 2년여 만의 최고 수준인 0.13%를 기록했다. 서울의 아파트 전세가격은 1년 전에 비해 6.73%나 올랐다.

전세보증금이 치솟는 이유는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줄면서 실거주 주택구입수요마저 전세수요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반면 금리하락 등으로 전세를 월세로 돌리는 집주인들이 늘면서 전세공급은 오히려 줄고 있다.
상황이 이렇게 된 데에는 정부 정책이 큰 작용을 했다. 정부가 내놓은 전세자금대출은 전세보증금 가격 상승을 부추겼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전세인상분을 쉽게 대출받을 수 있으니 당장은 편하지만 가격상승에 무뎌지고 많은 세입자들의 가계부채만 더 늘리는 결과를 낳고 있다.
치솟는 전세보증금은 지표물가와 체감물가의 괴리를 크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전세보증금이 지속적으로 상승한 것과 달리 소비자물가상승률은 9개월째 1%대를 유지하며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세보증금뿐 아니라 농축수산물과 공업제품 등 다양한 품목에 가중치를 더해 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표물가와 체감물가의 괴리가 크다보니 품목선정이나 가중치 부여가 적절한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통계청은 지난 2011년말 2010년 기준으로 지수를 개편하면서 전월세 가중치를 97.5에서 91.8로 낮췄다. 당시에도 전월세는 상승하고 있었지만 가계동향조사결과 전체 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줄었다는 이유에서였다.
이에 따라 지표물가와 체감물가의 간극을 좁히기 위해 소득분위별 물가지수 등 좀 더 세분화된 지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대경제연구원 이준협 연구위원은 "소득분위별 물가지수를 구하면 각 소득계층별로 어떤 품목이 물가상승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지, 또 물가상승으로 인한 소득계층별 충격이 얼마나 되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본홍 오승완 기자 bhkoo@naeil.com
[관련기사]
-정부 정책실패 전셋값 급등 불렀다
- [물가 심상치않다│(3)치솟는 아파트 전세보증금] 전세세입자 밤잠 못자는데 … 정부는 ‘저물가 타령’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통계청, 전월세 가중치 오히려 낮춰 … 엉터리 지표에 국민 '짜증'
치솟는 전셋값에 전세 세입자들이 밤잠을 못 이루고 있다. 그러나 지표상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9개월째 1%대다. 서민과 중산층의 체감물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통계청 물가지표는 폭염보다 더 국민들을 짜증스럽게 만든다.
16일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전국 및 서울지역 아파트 전세보증금은 지난주까지 52주째 상승했다. 1년 동안 단 한 주도 쉬지 않고 전세보증금이 올랐다는 뜻이다. 특히 비수기인 여름철에도 서울지역 아파트 전세보증금 상승률은 전주 대비 2년여 만의 최고 수준인 0.13%를 기록했다. 서울의 아파트 전세가격은 1년 전에 비해 6.73%나 올랐다.

전세보증금이 치솟는 이유는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줄면서 실거주 주택구입수요마저 전세수요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반면 금리하락 등으로 전세를 월세로 돌리는 집주인들이 늘면서 전세공급은 오히려 줄고 있다.
상황이 이렇게 된 데에는 정부 정책이 큰 작용을 했다. 정부가 내놓은 전세자금대출은 전세보증금 가격 상승을 부추겼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전세인상분을 쉽게 대출받을 수 있으니 당장은 편하지만 가격상승에 무뎌지고 많은 세입자들의 가계부채만 더 늘리는 결과를 낳고 있다.
치솟는 전세보증금은 지표물가와 체감물가의 괴리를 크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전세보증금이 지속적으로 상승한 것과 달리 소비자물가상승률은 9개월째 1%대를 유지하며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세보증금뿐 아니라 농축수산물과 공업제품 등 다양한 품목에 가중치를 더해 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표물가와 체감물가의 괴리가 크다보니 품목선정이나 가중치 부여가 적절한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통계청은 지난 2011년말 2010년 기준으로 지수를 개편하면서 전월세 가중치를 97.5에서 91.8로 낮췄다. 당시에도 전월세는 상승하고 있었지만 가계동향조사결과 전체 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줄었다는 이유에서였다.
이에 따라 지표물가와 체감물가의 간극을 좁히기 위해 소득분위별 물가지수 등 좀 더 세분화된 지표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대경제연구원 이준협 연구위원은 "소득분위별 물가지수를 구하면 각 소득계층별로 어떤 품목이 물가상승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지, 또 물가상승으로 인한 소득계층별 충격이 얼마나 되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본홍 오승완 기자 bhkoo@naeil.com
[관련기사]
-정부 정책실패 전셋값 급등 불렀다
- [물가 심상치않다│(3)치솟는 아파트 전세보증금] 전세세입자 밤잠 못자는데 … 정부는 ‘저물가 타령’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