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정원 66.4% 선발, 8385명 증가
수시1차, 9월 4일부터 원서접수 … 국·영·수 수준별 수능 변수
2014학년도 대학 신입생 모집인원의 66.4%를 선발하는 수시모집 원서접수가 오는 9월 4일 시작된다. 올해 수시모집에서 대학들은 대입전형 간소화 정책에 따라 전형 유형을 크게 4가지, 세부적으로 6가지로 구분해 부제를 표기한다. 상당수 대학은 공통지원서 양식을 활용하며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수시모집 지원횟수는 6회로 제한된다.
◆특성화고 출신 재직자 선발 = 198개 4년제 대학 중 수시모집을 하는 194개 대학이다. 모집인원은 25만1608명으로 올해 전체 모집인원 37만8971명의 66.4%다.
일반전형 선발인원이 155개 대학 13만2419명(52.6%), 특별전형 선발인원이 192개 대학 11만9189명(47.4%)이다. 입학사정관제로는 126개 대학이 4만7273명을 선발한다.
학교생활기록부를 100% 반영하는 대학이 79개교로 작년보다 9개교 줄었다. 논술실시대학은 26개교로 작년보다 1개교 감소했다.
면접·구술고사를 보는 대학과 반영비율은 약간 감소했다. 20% 이상 반영하는 대학은 77개교, 10% 이상 반영하는 대학은 9개교다.
특성화고 출신의 산업체 재직자를 뽑는 대학은 57개교(3490명)로 작년 39개 대학(2635명)보다 증가했다.
수시 1차는 9월4일부터 13일까지 원서를 받고, 수능 뒤에 시행하는 수시 2차는 11월11~15일 원서를 접수한다. 지난해 입학사정관 전형이 8월 중순부터 원서를 받은 것과 비교하면 보름가량 늦춰졌다. 전형기간은 9월4일~12월2일, 합격자 발표는 12월7일부터다.
◆공통 지원서 양식 활용 = 올해는 대입전형 간소화 정책에 따라 대학들이 수시모집의 각종 유형을 △학생부 △입학사정관(학생부 중심) △논술 △실기·적성(특기)·면접 등으로 구분해 부제를 하나 달아야 한다.
대학들은 모집요강에 부제를 기재하고, 대교협은 부제 설정기준으로 분류한 자료집을 제작해 안내한다.
대교협은 대학마다 다른 지원서 양식을 통일한 대입공통지원서 양식을 개발, 대학들이 적극 활용하도록 권장했다. 공통 양식은 대입지원서, 자기소개서, 교사추천서 등이다.
◆지원 횟수 6회 제한 유지 = 지난해 도입한 수시모집 지원횟수 6회 제한은 올해도 그대로 유지된다. 재외국민전형 등 정원외 전형도 6회에 포함된다. 단, KAIST, 광주과학기술원(GIST), 경찰대, 사관학교 등 특별법에 따라 설립된 대학과 청운대 호원대 등 산업대, 그리고 전문대는 지원횟수 제한 대상에서 제외된다.
수시모집 지원 6회 제한 이후 수험생 1명당 평균 지원횟수는 2012학년도 5.11회에서 2013학년도에 4.02회로 줄었다.
수험생은 본인이 지원한 횟수(대학과 전형유형)와 지원방법 위반 여부를 대교협 대입지원정보서비스(apply.kcue.or.kr)를 통해 조회할 수 있다.
◆수시 합격자 정시 지원 불가 = 수시모집에서 여러 곳에 합격한 지원자(최초 합격자 및 충원 합격자 포함)는 수시 등록 기간에 한 곳에만 등록해야 한다. 수시 모집 합격자는 등록하지 않더라도 정시모집 및 추가모집에 지원할 수 없다. 대학별 입학전형이 끝난 뒤 전산자료를 검색해 복수지원이나 이중등록이 발견되면 입학이 무효가 된다.
대교협은 대학마다 다른 지원서 양식을 통일한 대입공통지원서 양식을 개발, 대학들이 적극 활용하도록 권장했다. 공통 양식은 대입지원서, 자기소개서, 교사추천서 등 세 가지다.
◆수능 A·B형 도입이 변수 = 올해 대입의 가장 큰 변화는 수능 국어·수학·영어가 수준별 A·B형으로 바뀌고 탐구영역 과목 선택이 3과목에서 2과목으로 줄어든다는 점이다. 수능 성적이 수시 최저학력기준으로 활용되기 때문에 수능의 변화는 수시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올해는 많은 대학이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낮췄다. 수능 최저학력기준 완화에 따라 수시에서 많이 활용되는 요소인 논술의 중요성이 커질 가능성이 높다.
논술전형에는 일반적으로 논술성적이 80~50%, 학생부가 20~50% 반영된다. 그러나 학생부의 실질 반영비율이 낮아 논술 성적이 당락을 좌우하는 경우가 많다.
인문계 논술은 인문·사회통합형이 보편적이지만 인문·사회 통합형 문제에 수리논술이 추가하거나 영어 제시문을 포함하는 대학이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자연계는 수리논술만 보는 유형과 수리논술과 과학논술을 병행하는 유형으로 나뉜다. 자신의 원하는 대학의 논술의 유형을 미리 확인하고 준비하는 것이 합격의 지름길이다.
우리 대학, 인재 이렇게 뽑는다(1)
▶ 가천대학교
적성고사 100% 우선선발 신설
가천대는 수시1차에서 전체 모집인원의 38%인 1699명을 모집한다. 글로벌캠퍼스(성남)의 수시1차 모집인원은 1,507명이며 메디컬캠퍼스(인천)는 192명이다. 전형별로는 △일반(적성)전형 807명 △실기 우수자전형 53명 △특기자전형 71명 △입학사정관제전형 454명 △농·어촌전형(적성) 79명 △특성화고교 출신자전형 78명 △재외국민전형 78명 △특성화 고졸재직자전형 79명이다.
적성고사가 반영되는 전형은 일반(적성)전형과 농·어촌학생전형, 특성화고교 출신자전형이다. 올해에는 우선선발제도가 도입되어 일반(적성) 전형의 약 30% 인원을 적성고사 100%로 먼저 선발하고, 일반선발에서 적성고사 70%와 학생부 30%를 반영해 선발한다.
입학사정관제전형에는 가천프런티어전형과 사회기여자전형, 농어촌전형, 교육기회균형전형이 있다. 모두 1단계에서 서류 100%로 4배수를 선발한 뒤 2단계에서 1단계 성적 50%와 면접 50%를 반영해 선발한다. 입학사정관제전형은 다른 전형과 달리 수시 1·2차를 동시에 접수한다. 특히 가천프런티어전형은 고교별 10명 지원제한이 폐지됐으며 학생 부담 최소화를 위해 증빙서류 제출이 금지되었다. 또 농어촌전형의 경우 적성고사와 함께 입학사정관제전형이 신설되어 선택의 폭이 크게 늘어났다.
특기자전형은 수시1차에서 어학분야와 연기분야에서 선발한다. 어학분야에서는 경영학트랙 등 15개 학과에서 총 69명을 선발하며 연기분야는 연기예술학과에서 2명을 선발한다. 어학분야는 각 지원언어별로 기준 점수 이상을 필요로 한다.
특기자전형은 서류 100%로 5배수를 선발한 뒤 1단계 성적 70%와 면접 30%로 최종합격자를 결정한다. 실기우수자전형은 태권도학과와 연기예술학과에 한해 시행된다.
▶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수능우선학생부전형 새로 도입
건국대 GLOCAL(글로컬)캠퍼스는 수시모집으로 전체 모집인원의 60%인 1156명을 선발한다.
수시 1차 모집에서는 9월에 총 484명을 모집한다. 일반(면접)전형으로 258명을 선발하고 입학사정관전형인 KU자기추천전형으로 119명을 선발하며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지 않는다. 수시 2차 모집에서는 637명을 모집한다. 수능우선학생부전형으로 525명을 선발하고 입학사정관전형인 농어촌학생전형으로 58명을 선발하게 되며 농어촌학생전형을 제외한 모든 전형에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한다. 새로 도입하는 수능우선학생부전형은 국내 고등학교 2010년 2월 이후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하며 우선선발과 일반선발로 구분해 신입생을 선발한다.
올해 입학사정관제는 3개 전형으로 단순화했다. 수시 1차에서 일반계고교 출신자는 KU자기추천전형으로 지원 가능하며 모집인원은 119명이다. 특성화고교 출신자는 특성화고교출신자전형으로 지원 가능하며 모집인원은 33명이다. 수시 2차에서는 농어촌·도서벽지 지역 소재 고교 출신자를 대상으로 농어촌학생전형이 시행되며 58명을 모집한다.
글로컬캠퍼스는 학교법인에서 최근 10년간 연평균 174억을 지원해 우수교원을 충원하고, 교육시설을 확충했다.
글로컬캠퍼스는 또 2012년에 이어 2013년에도 교육역량강화사업 지원 대학으로 선정되어 총 27억1000만원의 국고지원금을 받는다. 대학은 이 지원금을 이용해 학생들을 위한 교육, 취업, 영어 분야의 역량향상을 위하여 노력할 뿐만 아니라 대학시설·강의환경 개선에도 집중할 것이다.
특히 글로컬캠퍼스는 2014학년도 신입생부터 서울캠퍼스로 소속을 변경할 수 있는 '전과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학교에서 원하는 기준만 충족되면 얼마든지 서울캠퍼스로 옮길 수 있게 되었다.
▶ 경희대학교
1차 1416명· 2차 1460명 모집
경희대는 2014학년도 수시모집으로 수시 1차 1416명(입학사정관 1170명 포함), 수시 2차 1460명 등 2876명을 모집한다.
입학사정관전형은 교과와 비교과의 반영비율, 고교 환경과 개인 환경의 반영 정도에 따라 총 5가지 종류의 세부전형으로 구분된다. △네오르네상스 △학교생활 충실자 △고교교육과정연계 △사회공헌 역경 극복자 △창의적체험활동 등이 있다.
이 가운데 네오르네상스전형은 교과활동과 비교활동을 균형 있게 평가하는 전형이다. 학교생활 충실자전형은 교과활동 위주로 평가한다. 창의적체험활동전형의 경우 교과 성적을 반영하지 않고 비교과활동만을 평가하는 전형이다.
수시모집 2차에서는 고교의 교육과정과 대학의 전공을 실질적으로 연계해 전공적합도가 높은 학생을 선발하기 위해 '글로벌·과학 인재전형'을 신설했다. 글로벌 인재전형에서는 외국어·국제관련 전문교과를 이수하거나 영어·외국어 관련 교과 35단위 이상을 이수한 학생, 외국어 능력이 우수한 학생이 지원할 수 있다. 과학인재전형에서는 수학·과학 관련 전문교과를 이수한 학생이나 수학·과학 관련 교과 65단위 이상을 이수한 학생이 지원할 수 있다.
수시 2차모집의 논술우수자전형은 고교교육과정 내에서 논제가 출제된다. 출제방향과 문제유형은 지난해와 유사하다. 이 전형은 인문·예체능계열, 사회계열, 자연계열로 구분해 치러진다. 인문·예체능계열 논술에서는 2∼3개의 논제가 출제되고 이중 하나는 비교적 길게 논술하는 것이 포함된다. 사회계열 논술은 3개의 논제가 출제되며 영어지문이 활용될 수 있고, 사회적 이슈를 수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해법을 논술하는 수리논술 문제 1개가 포함된다.
논술우수자전형은 교과 성적과 수능최저학력기준이 반영되나, 논술점수의 반영비율이 상당히 높은 전형이다.
▶ 고려대학교
일반전형 우선선발로 70% 모집
고려대는 수시모집 일반전형에서 우선선발로 모집인원의 70%를 선발한다. 우선선발은 논술 70%, 학교생활기록부 30%를 적용하며 일반선발은 논술 50%, 학교생활기록부 50%를 적용한다.
학교생활기록부 중 비교과영역은 출결상황, 봉사활동, 수상경력을 평가한다.
학교장추천전형으로는 630명을 선발한다. 서류평가와 심층면접을 진행하는데 서류평가에선 학생부와 자기소개서, 추천서 등을 종합 평가한다. 심층면접은 면접위원 2인 대 학생 1인 면접으로 진행되며 전공적합성과 논리적 사고력, 문제해결력을 평가한다. 학교장추천전형에서는 우선선발, 일반선발 구분 없이 1단계에서 서류 100%로 평가해 모집단위별 모집인원의 3배수 내외를 선발하고 2단계에서는 1단계 성적 70%와 면접 30%의 합으로 최종 선발한다.
특별전형으로는 △국제인재 △과학인재 △OKU미래인재 등을 선발한다. 국제인재전형은 1단계에서 서류 100%로 지원자 수를 추린 뒤 2단계에서 1단계 성적 70%, 면접 30%로 최종합격자를 가린다. 국제학부의 경우 면접은 영어로 진행한다.
과학인재전형은 1단계에서 서류 100%로 3배수 내외를 선발한다. 2단계에서 1단계 성적 60%, 면접 40%를 반영한다.
OKU미래인재전형은 1단계에서 학생부를 제출하지 않으며 자기소개서·추천서·미래인재우수활동요약서·증빙서류목록만으로 3~5배수 선별한다. 이렇게 선별된 지원자들 중 2단계에서 학생부를 포함, 증빙서류 평가(50%)와 창의성 평가(20%), 심층면접(30%)으로 최종 합격자를 가린다.
기회균등특별전형에서는 지원자격별 사회공헌자전형, 사회배려자전형, 농·어촌학생전형, 특성화고졸재직자전형으로 선발한다. 전형요소별로 1단계에서는 서류 100%로 선발하며 2단계에서는 1단계 성적 70%와 면접 30% 점수를 합산해 선발한다.
▶ 광운대학교
입학사정관전형 확대, 창의인재 선발
광운대는 수시 1·2차 모집에서 총 1018명을 선발한다.
수시 1차에서는 △ 입학사정관전형 244명(광운참빛인재 146명 + 광운 IT 미래인재 98명) △ 일반전형(논술우수자전형) 348명 △ 특기자 전형 28명(체육특기자 20명 : 축구 9명, 아이스하키 9명, 골프 2명, 로봇특기자 8명) △ 특성화고교졸재직자 72명 등 총 692명을 뽑는다. 수시 2차에서는 △ 독자전형 242명(교과성적우수자 228명 + 사회적 배려대상자 14명) △ 글로벌리더 전형 84명(영어 48명, 중국어 18명, 일본어 18명)등 총 326명을 모집한다.
수시 1차 모집 중 입학사정관 전형인 광운참빛인재 전형은 학생부중심의 전형으로 학생부 교과 60%, 서류 종합평가 40%를 반영해 모집인원의 50%를 우선선발(수능최저학력기준 없음)하고 나머지 50%는 서류종합평가 100%로 선발한다.(수능최저학력기준 있음) 광운IT미래인재 전형(수능최저학력기준 없음)은 서류평가 100%로 모집인원의 4배수를 선발한 후 2단계에서 1단계 성적 50%와 면접구술고사 50%를 합산해 선발한다.
논술우수자 전형에서는 학생부 30%와 논술고사 70%를 합산하여 정원의 30%를 우선 선발(수능최저학력기준 없음) 한 후 학생부 50%와 논술고사 50%를 합산하여 나머지 70%를 일반 선발한다(수능최저학력기준 있음) 로봇특기자 전형은 학생부 30%와 면접구술고사 50% 서류평가 20%를 합산하여 선발한다. 체육특기자 전형은 면접·구술고사 40%와 경기실적 60%를 합산하여 선발하며 특성화고교졸재직자 전형은 면접구술고사 100%만으로 선발한다.
수시 2차 모집 중 교과성적우수자 전형과 사회적배려대상자 전형은 학생부 100% 만으로 선발하며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있다. 글로벌리더 전형은 면접구술고사 40%와 어학성적 60%를 일괄합산해 선발한다.
▶ 국민대학교
수시1차, 최저학력기준 적용 안해
국민대는 수시에서 재외국민을 제외한 전체 모집인원(3325명)의 50.5%인 1681명을 선발한다.
수시1차는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지 않으며 입학사정관전형(455명)과 국제화 특별전형(212명), 실기우수자 특별전형(미술조형·건축·체육·기능·피아노·연기·무용)으로 구분된다.
수시1차 입학사정관전형으로는 '국민프런티어 특별전형'을 비롯해 총 6개 전형에서 455명을 선발한다. '국민프런티어 특별전형'은 123명을 모집한다. 인문계 모집단위에서는 법학부·경영학부 경영학전공·경영정보학부·파이낸스보험경영학과에서, 자연계에서는 경영정보학부 경영정보시스템전공, 신소재공학부·기계시스템공학부·건설시스템공학부·전자공학부·컴퓨터공학부·자동차공학과·자동차IT융합학과에서 선발한다. 국민프런티어전형은 1단계에서 서류평가 100%로 인문계는 4배수, 자연계는 3배수를 선발하고 2단계에서 1단계 성적 40%, 면접 60%로 최종 합격자를 가린다.
수시1차 국제화 특별전형은 영어·러시아아·일본어·중국어·한문 등 해당 외국어 어학성적이 일정 기준 이상인 자가 지원 가능하다. 영어영문학부를 제외한 영어 분야의 경우 어학성적 30%와 면접 70%를 합산해 합격자를 선발한다. 국제화 특별전형의 경우 어학성적과 모집단위에 따라 지원 자격·전형방법이 달라 반드시 지원자격을 확인해야 한다.
수시2차에서는 총 921명을 선발하며 교과성적우수자 특별전형'과 '논술우수자전형'으로 진행된다. 2개 전형 모두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나 논술우수자전형 우선선발의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수시2차 교과성적우수자 특별전형은 588명을 선발하며, 별도의 고사 없이 학생부 100%로 우선선발(모집인원의 70% 내외)과 일반선발(모집인원의 30% 내외)로 구분하여 선발한다.
장세풍 기자 spjang@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