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는 지난 96년 안산시 초지동 일대 8만여평 부지에 수용인원 3만5000천석 규모의 종합운동장을 건립키로 하고 실시설계를 마쳤다.
그러나 공사는 지난 98년 IMF사태를 맞으면서 전면 중단된 채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과정에서 시가 불필요한 실시설계비 38억원을 집행하고 이를 반대한 공무원에게 불리한 인사조치를 단행했다는 주장이 제기됐고 본지의 3차례에 걸친 연속보도(작년 6월)로 한차례 파문이 일었다.
공사과정에서 시는 공사가 장기간 방치됨에 따라 마땅히 집행하지 말았어야 하는 실시설계비 38억원을 집행, 혈세를 낭비한 것으로 드러났다.
당시 기본설계비로 집행한 18억원을 합하면 설계비는 무려 55억이 집행된 98%용역비 지출
상태에서 공사가 중단됐다.
당시 고발인 김씨는 예산낭비를 막기위해 규모의 재고와 함께 ▲표기된 자재의 단종 ▲시
공법의 변경 ▲설계금액의 보완불능 등의 이유를 들어 실시설계비의 집행을 반대했으나 간부들이 철저히 묵살했다고 주장했다.
이후에도 안산시 규모에 3만5000석의 운동장을 짓는 것은 낭비적 요소가 많은데다 매달 관리에 소요되는 경비를 계산하면 무리라는 지적이 제기되기도 했다.
당시 행자부는 운동장의 시군 공동건립이나 규모축소를 권장하는 재검토를 지시한바 있으며, 감사원도 규모의 타당성 검토를 다시 하라는 요구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본지 보도로 사태가 알려지자 시민단체가 관련자들에게 공개질의서를 보내며 진상조사에 착수했으나 관련자들의 비협조로 유야무야 됐으며, 경기도는 시에 대한 감사를 실시하며 진상조사에 나섰지만 결국 해결된 일은 없었다.
당시 최고 정책결정과정에 개입했던 송진섭 전시장과 송시장 구속당시 사업을 집행한 백성운 부시장, 실시설계비를 집행한 박성규 현시장은 서로 책임 떠넘기기에 급급 했다.
송전시장과 백부시장은 현 시장이 공사를 계속 집행하면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었으며 박시장은 일을 마친 사업자에게 예산을 집행하는 것은 순리라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시는 현재 당시 지정한 위치에 당초계획대로 운동장을 건립할 의사가 없다. 시는 수 개월전 이 자리에 국립과학관을 유치하겠다며 부지제공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현 집행부는 이곳이 운동장 부지로 적지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다. 다만 국립과학관 유치로 묻혀지길 기대했으나 이 마저도 빗나가고 말았다.
운동장을 포기하거나 장소이전을 고려하면 실시설계비 38억은 물론 기본설계비로 집행된 18억여원도 그냥 사라지게 될 위기에 놓여있는 셈이다.
결국 짓지도 못하고 있는 운동장 공사에 수 십억원의 혈세가 낭비된 꼴이지만 누구 하나 책
임지는 사람 없이 사태를 직보했던 담당공무원만 불이익을 받아온 것이다.
부패방지위원회의 조사가 진실을 가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 /안산 정흥모 기자 hmchung@naeil.com
그러나 공사는 지난 98년 IMF사태를 맞으면서 전면 중단된 채로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과정에서 시가 불필요한 실시설계비 38억원을 집행하고 이를 반대한 공무원에게 불리한 인사조치를 단행했다는 주장이 제기됐고 본지의 3차례에 걸친 연속보도(작년 6월)로 한차례 파문이 일었다.
공사과정에서 시는 공사가 장기간 방치됨에 따라 마땅히 집행하지 말았어야 하는 실시설계비 38억원을 집행, 혈세를 낭비한 것으로 드러났다.
당시 기본설계비로 집행한 18억원을 합하면 설계비는 무려 55억이 집행된 98%용역비 지출
상태에서 공사가 중단됐다.
당시 고발인 김씨는 예산낭비를 막기위해 규모의 재고와 함께 ▲표기된 자재의 단종 ▲시
공법의 변경 ▲설계금액의 보완불능 등의 이유를 들어 실시설계비의 집행을 반대했으나 간부들이 철저히 묵살했다고 주장했다.
이후에도 안산시 규모에 3만5000석의 운동장을 짓는 것은 낭비적 요소가 많은데다 매달 관리에 소요되는 경비를 계산하면 무리라는 지적이 제기되기도 했다.
당시 행자부는 운동장의 시군 공동건립이나 규모축소를 권장하는 재검토를 지시한바 있으며, 감사원도 규모의 타당성 검토를 다시 하라는 요구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본지 보도로 사태가 알려지자 시민단체가 관련자들에게 공개질의서를 보내며 진상조사에 착수했으나 관련자들의 비협조로 유야무야 됐으며, 경기도는 시에 대한 감사를 실시하며 진상조사에 나섰지만 결국 해결된 일은 없었다.
당시 최고 정책결정과정에 개입했던 송진섭 전시장과 송시장 구속당시 사업을 집행한 백성운 부시장, 실시설계비를 집행한 박성규 현시장은 서로 책임 떠넘기기에 급급 했다.
송전시장과 백부시장은 현 시장이 공사를 계속 집행하면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었으며 박시장은 일을 마친 사업자에게 예산을 집행하는 것은 순리라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시는 현재 당시 지정한 위치에 당초계획대로 운동장을 건립할 의사가 없다. 시는 수 개월전 이 자리에 국립과학관을 유치하겠다며 부지제공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현 집행부는 이곳이 운동장 부지로 적지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다. 다만 국립과학관 유치로 묻혀지길 기대했으나 이 마저도 빗나가고 말았다.
운동장을 포기하거나 장소이전을 고려하면 실시설계비 38억은 물론 기본설계비로 집행된 18억여원도 그냥 사라지게 될 위기에 놓여있는 셈이다.
결국 짓지도 못하고 있는 운동장 공사에 수 십억원의 혈세가 낭비된 꼴이지만 누구 하나 책
임지는 사람 없이 사태를 직보했던 담당공무원만 불이익을 받아온 것이다.
부패방지위원회의 조사가 진실을 가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 /안산 정흥모 기자 hmchung@naeil.com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