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물가상승률 1.3% … 신선식품지수는 2.6% 올라
농산물 가격이 급등했지만 여름철 화장품 할인공세가 이를 상쇄하면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둔화됐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8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3% 상승하는데 그쳤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들어 2월 1.4%, 3월 1.3%, 4월 1.2%, 5월과 6월 1.0% 등 1%대에서 하락해오다 7월 1.4%로 6개월만에 상승폭을 키웠다. 하지만 한달 만에 다시 상승 폭이 줄어 든 것. 이로써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1월 이후 10개월째 1%대를 유지하며 저물가 수준을 유지했다.
전월대비로는 0.3% 올랐다. 전월 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6월 0.1% 하락한 이후 7월 0.2%에 이어 2개월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1.3% 올랐고 전달과는 같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에너지제외지수도 전달과 변동이 없었지만 지난해 동월 대비로는 1.2% 올랐다. 생활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0.8%, 전달보다는 0.6% 상승했다.
신선식품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6%, 전월 대비로는 6.9%나 올랐다. 특히 신선채소는 작년 같은 달보다 12.9%, 전달보다 18.4% 급등했다.
지출목적별로 보면 전달과 비교해 기타상품·서비스(-3.8%)를 제외한 대부분 항목에서 물가지수가 상승했다. 식료품·비주류음료가 2.0%, 오락·문화가 0.6%, 의류·신발과 교통이 각각 0.5% 올랐다. 1년 전과 비교해선 주택·수도·전기·연료(3.2%) 부문의 오름폭이 가장 컸다.
품목 성질별로는 농축수산물이 작년 동월 대비 2.1%, 전월 대비 3.6% 각각 상승했다. 한 달 전보다 배추(69.6%), 양상추(59.8%), 양배추(52.2%), 시금치(47.2%), 토마토(40.7%)가 많이 뛰었다.
반면 공업제품은 화장품 가격이 10.1%, 유가가 0.5% 하락하면서 1년전보다 0.7% 오르는데 그쳤다. 전달보다는 0.2% 떨어졌다.
1년전에 비해 공공요금은 많이 올랐다. 도시가스는 5.2%, 전기로 2.0%, 지역난방비는 5.2% 각각 상승했다.
서비스 부문은 작년 같은 달보다 1.3%, 전달보다는 0.2% 올랐다. 택시비가 지난해보다 8.8% 올랐고 하수도료(6.9%)도 큰 폭의 오름세를 보였다. 전세는 3.0%, 월세는 1.6% 올라 집세 상승세(2.6%)를 이어갔다.
구본홍 기자 bhko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농산물 가격이 급등했지만 여름철 화장품 할인공세가 이를 상쇄하면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둔화됐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8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3% 상승하는데 그쳤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들어 2월 1.4%, 3월 1.3%, 4월 1.2%, 5월과 6월 1.0% 등 1%대에서 하락해오다 7월 1.4%로 6개월만에 상승폭을 키웠다. 하지만 한달 만에 다시 상승 폭이 줄어 든 것. 이로써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1월 이후 10개월째 1%대를 유지하며 저물가 수준을 유지했다.
전월대비로는 0.3% 올랐다. 전월 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6월 0.1% 하락한 이후 7월 0.2%에 이어 2개월째 상승세를 이어갔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1.3% 올랐고 전달과는 같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에너지제외지수도 전달과 변동이 없었지만 지난해 동월 대비로는 1.2% 올랐다. 생활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0.8%, 전달보다는 0.6% 상승했다.
신선식품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6%, 전월 대비로는 6.9%나 올랐다. 특히 신선채소는 작년 같은 달보다 12.9%, 전달보다 18.4% 급등했다.
지출목적별로 보면 전달과 비교해 기타상품·서비스(-3.8%)를 제외한 대부분 항목에서 물가지수가 상승했다. 식료품·비주류음료가 2.0%, 오락·문화가 0.6%, 의류·신발과 교통이 각각 0.5% 올랐다. 1년 전과 비교해선 주택·수도·전기·연료(3.2%) 부문의 오름폭이 가장 컸다.
품목 성질별로는 농축수산물이 작년 동월 대비 2.1%, 전월 대비 3.6% 각각 상승했다. 한 달 전보다 배추(69.6%), 양상추(59.8%), 양배추(52.2%), 시금치(47.2%), 토마토(40.7%)가 많이 뛰었다.
반면 공업제품은 화장품 가격이 10.1%, 유가가 0.5% 하락하면서 1년전보다 0.7% 오르는데 그쳤다. 전달보다는 0.2% 떨어졌다.
1년전에 비해 공공요금은 많이 올랐다. 도시가스는 5.2%, 전기로 2.0%, 지역난방비는 5.2% 각각 상승했다.
서비스 부문은 작년 같은 달보다 1.3%, 전달보다는 0.2% 올랐다. 택시비가 지난해보다 8.8% 올랐고 하수도료(6.9%)도 큰 폭의 오름세를 보였다. 전세는 3.0%, 월세는 1.6% 올라 집세 상승세(2.6%)를 이어갔다.
구본홍 기자 bhko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