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폐식용유 재활용 기기
전북 전주시가 환경부 시범사업으로 벌인 '폐식용유 재활용' 사업의 실효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번의 용역과 더불어 4년간 7억7000여만원을 투입해 수거한 폐식용유가 900여만원에 불과했다.
전주시는 지난 2008년부터 '폐식용유 바이오연료화 사업'을 진행했다. 이산화탄소 감축을 위한 실질적인 활동 일환으로 버려지는 폐식용유를 수거해 연료로 재활용하는 사업이다. 아파트와 단독주택 등에 수거용기를 비치해 모은 후 전문업체에 위탁해 수거하는 방식이다. 참여한 가정에는 연료로 만들어지는 폐식용유 양을 감안해 인센티브로 돌려준다. 재활용과 시민들의 인식전환을 동시에 노렸다. 환경부도 국비를 지원했고 전주시는 효율적 집행을 위해 2번의 용역을 실시했다.
하지만 4년간 진행한 사업 성적표는 초라했다. 전주시의회 선성진 의원에 따르면 2009년부터 4년간 전주시가 7억7300여만원을 들여 수거한 폐식용유는 1만5700ℓ였다.인센티브로 환산하면 920만원에 불과한 수치다. 선 의원은 "전주시내 민간업체가 1달동안 수거한 수준에 불과하다"면서 "주먹구구식 사업추진이 불러온 필연적 결과"라고 질타했다.
전주시는 255개 아파트단지를 사업대상으로 정했으나 109곳만 참여했고, 연간 20ℓ도 수거되지 않은 곳이 40곳에 달했다. 개당 30만원 넘게 들여 제작한 수거용기 40% 이상이 수거업체 창고에 방치된 것으로 알려졌다. 참여자가 적다 보니 인센티브 예산 대부분은 집행되지 못하고 남았다. 2009년 주민 인센티브로 1억원을 편성 했지만 실제 집행액은 10만원에 불과했다. 이에 대해 전주시는 "홍보 부족 등으로 적극적인 참여를 끌어내지 못해 아쉽다"면서 "폐식용유 수거보다는 자원절약의 중요성을 일깨우는데 큰 의미가 있었다"고 해명했다.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전북 전주시가 환경부 시범사업으로 벌인 '폐식용유 재활용' 사업의 실효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번의 용역과 더불어 4년간 7억7000여만원을 투입해 수거한 폐식용유가 900여만원에 불과했다.
전주시는 지난 2008년부터 '폐식용유 바이오연료화 사업'을 진행했다. 이산화탄소 감축을 위한 실질적인 활동 일환으로 버려지는 폐식용유를 수거해 연료로 재활용하는 사업이다. 아파트와 단독주택 등에 수거용기를 비치해 모은 후 전문업체에 위탁해 수거하는 방식이다. 참여한 가정에는 연료로 만들어지는 폐식용유 양을 감안해 인센티브로 돌려준다. 재활용과 시민들의 인식전환을 동시에 노렸다. 환경부도 국비를 지원했고 전주시는 효율적 집행을 위해 2번의 용역을 실시했다.
하지만 4년간 진행한 사업 성적표는 초라했다. 전주시의회 선성진 의원에 따르면 2009년부터 4년간 전주시가 7억7300여만원을 들여 수거한 폐식용유는 1만5700ℓ였다.인센티브로 환산하면 920만원에 불과한 수치다. 선 의원은 "전주시내 민간업체가 1달동안 수거한 수준에 불과하다"면서 "주먹구구식 사업추진이 불러온 필연적 결과"라고 질타했다.
전주시는 255개 아파트단지를 사업대상으로 정했으나 109곳만 참여했고, 연간 20ℓ도 수거되지 않은 곳이 40곳에 달했다. 개당 30만원 넘게 들여 제작한 수거용기 40% 이상이 수거업체 창고에 방치된 것으로 알려졌다. 참여자가 적다 보니 인센티브 예산 대부분은 집행되지 못하고 남았다. 2009년 주민 인센티브로 1억원을 편성 했지만 실제 집행액은 10만원에 불과했다. 이에 대해 전주시는 "홍보 부족 등으로 적극적인 참여를 끌어내지 못해 아쉽다"면서 "폐식용유 수거보다는 자원절약의 중요성을 일깨우는데 큰 의미가 있었다"고 해명했다.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