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주-완주 통합 부결 뒤 버스요금 단일화 '없던 일'
전북 전주시와 완주군의 행정통합이 무산된 가운데 상생협력사업이 잇따라 퇴출되고 있다. 사실상 같은 생활권에서 살고있는 주민간 심리적 거리가 더 멀어지는 형국이다.
전주시는 24일 '전주완주 통합 상생협력사업으로 시행해 온 전주완주 시내버스 요금단일화를 9월 29일부터 중단한다'고 밝혔다. 시는 지난 2009년부터 고산, 경천, 비봉, 화산면 등 완주 북부권 6개면을 제외한 완주군 지역에 대한 시내버스 요금단일화를 시행해 왔다. 통합 주민투표를 앞둔 지난 5월엔 완주군 전지역에 대하여 시내버스 요금단일화를 시행해 왔다.
지역과 관계없이 기본요금(1100원)만 내면 시내버스를 이용할 수 있었다. 연간 23억원에 이르는 환승비용은 전주시가 부담했다. 그러나 지난 6월 26일 완주군 주민투표에서 통합이 무산된 후 전주시의회 등에선 '실익없는 재정부담' 논란이 제기됐고 결국 '없던 일'이 됐다. 요금단일화가 중단되면서 완주군민은 기본요금에 200~2400원의 추가요금을 부담해야 한다.
양 지역 상생을 위한 가시적 조치로 받아들여졌던 버스요금 단일화가 취소되면서 사실상 상생사업 전체가 중단될 우려를 낳고 있다. 완주군이 전주 효자동에 설치한 로컬푸드 직매장도 내년부터는 임대료(연간 9000만원)를 내야 할 상황이다. 전주시민과 똑같은 대우를 받았던 전주승화원(화장장)의 운영방침도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 전주승화원은 전주·완주 주민에겐 5만원의 이용료를 받지만 타지 주민에겐 30만원을 받는다. 지난해 전체 화장건수의 10% 정도를 완주군민이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통합 시청사 건립 △종합스포츠타운 건설 △농산물 도매시장 신축 이전 △대규모 위락단지 조성 △주택·아파트단지 개발 분양 △공공기관 및 공용시설 이전 등 20여개 상생사업이 중단되거나 취소됐다.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전북 전주시와 완주군의 행정통합이 무산된 가운데 상생협력사업이 잇따라 퇴출되고 있다. 사실상 같은 생활권에서 살고있는 주민간 심리적 거리가 더 멀어지는 형국이다.
전주시는 24일 '전주완주 통합 상생협력사업으로 시행해 온 전주완주 시내버스 요금단일화를 9월 29일부터 중단한다'고 밝혔다. 시는 지난 2009년부터 고산, 경천, 비봉, 화산면 등 완주 북부권 6개면을 제외한 완주군 지역에 대한 시내버스 요금단일화를 시행해 왔다. 통합 주민투표를 앞둔 지난 5월엔 완주군 전지역에 대하여 시내버스 요금단일화를 시행해 왔다.
지역과 관계없이 기본요금(1100원)만 내면 시내버스를 이용할 수 있었다. 연간 23억원에 이르는 환승비용은 전주시가 부담했다. 그러나 지난 6월 26일 완주군 주민투표에서 통합이 무산된 후 전주시의회 등에선 '실익없는 재정부담' 논란이 제기됐고 결국 '없던 일'이 됐다. 요금단일화가 중단되면서 완주군민은 기본요금에 200~2400원의 추가요금을 부담해야 한다.
양 지역 상생을 위한 가시적 조치로 받아들여졌던 버스요금 단일화가 취소되면서 사실상 상생사업 전체가 중단될 우려를 낳고 있다. 완주군이 전주 효자동에 설치한 로컬푸드 직매장도 내년부터는 임대료(연간 9000만원)를 내야 할 상황이다. 전주시민과 똑같은 대우를 받았던 전주승화원(화장장)의 운영방침도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 전주승화원은 전주·완주 주민에겐 5만원의 이용료를 받지만 타지 주민에겐 30만원을 받는다. 지난해 전체 화장건수의 10% 정도를 완주군민이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통합 시청사 건립 △종합스포츠타운 건설 △농산물 도매시장 신축 이전 △대규모 위락단지 조성 △주택·아파트단지 개발 분양 △공공기관 및 공용시설 이전 등 20여개 상생사업이 중단되거나 취소됐다.
이명환 기자 mhan@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