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덕만 교수, 푸젠성행정학원 교수진에 특강
청렴윤리 교육자인 김덕만 한국교통대학교 교수(전 국민권익위원회 대변인·사진)가 3일 오후 서울 농협경제연구소 회의실에서 한국 공무원 인사정책에 대해 연수차 방한한 중국 푸젠성행정학원 교수진에 '한국 반부패청렴정책의 성과와 과제'라는 주제로 특강을 했다.
김 교수는 이날 특강을 통해 "한국은 초단기 압축성장과 민주화를 이루면서 경제선진국에 진입했지만 공적 사적 공간에 절차와 결과의 공정성을 무시하는 관행적 부패 문화가 잔존하고 있다"며 "이를 근절하기 위해 다각도로 반부패 청렴 정책을 전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잔존하는 부패관행을 근절하기 위해 공직기관의 공공성과 투명성을 평가하는 '공공기관청렴도 측정 시스템'에 대해 소개했다. 부패예방기관인 국민권익위원회(전 부패방지위원회)가 출범이래 이 시스템으로 12년째 평가를 실시하면서 국가청렴수준이 높아지고 국제적인 평가도 받고 있다. 이 시스템은 2008년 인도네시아에 무상수출(기술지원)되었고 베트남 방글라데시 태국 등 개도국에 지속적으로 전파되고 있다.
김 교수는 이와 함께 국민권익위 주관으로 대가여부에 관계없이 청탁이나 부적절한 금품향응을 수수하면 무조건 처벌하는 '청탁수수금지법' 및 '지방의원행동강령'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특강에 참가한 푸젠성행정학원 궈웨이구이 단장은 "공공기관 첨렴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사례 중심으로 설명해 많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언론인 출신으로 2005년 개방형 대변인으로 국민권익위원회에 공채된 후 지난해까지 전국일간신문과 인터넷매체에 2500여건의 기고를 하고 공공기관 교육을 100회 이상 다니며 반부패 청렴윤리교육에 열중하고 있다.
김기수 기자 ks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김 교수는 이날 특강을 통해 "한국은 초단기 압축성장과 민주화를 이루면서 경제선진국에 진입했지만 공적 사적 공간에 절차와 결과의 공정성을 무시하는 관행적 부패 문화가 잔존하고 있다"며 "이를 근절하기 위해 다각도로 반부패 청렴 정책을 전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잔존하는 부패관행을 근절하기 위해 공직기관의 공공성과 투명성을 평가하는 '공공기관청렴도 측정 시스템'에 대해 소개했다. 부패예방기관인 국민권익위원회(전 부패방지위원회)가 출범이래 이 시스템으로 12년째 평가를 실시하면서 국가청렴수준이 높아지고 국제적인 평가도 받고 있다. 이 시스템은 2008년 인도네시아에 무상수출(기술지원)되었고 베트남 방글라데시 태국 등 개도국에 지속적으로 전파되고 있다.
김 교수는 이와 함께 국민권익위 주관으로 대가여부에 관계없이 청탁이나 부적절한 금품향응을 수수하면 무조건 처벌하는 '청탁수수금지법' 및 '지방의원행동강령'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특강에 참가한 푸젠성행정학원 궈웨이구이 단장은 "공공기관 첨렴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사례 중심으로 설명해 많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언론인 출신으로 2005년 개방형 대변인으로 국민권익위원회에 공채된 후 지난해까지 전국일간신문과 인터넷매체에 2500여건의 기고를 하고 공공기관 교육을 100회 이상 다니며 반부패 청렴윤리교육에 열중하고 있다.
김기수 기자 kskim@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