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총외채 15억달러 증가 … 단기외채 비중은 13년9개월만에 최저
2분기 우리나라 총외채가 1분기보다 15억달러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단기외채가 차지하는 비중은 줄었지만 인도와 인도네시아 등 신흥국 금융시장이 불안조짐을 보이는 만큼 외환당국은 시장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나섰다.
2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6월말 국제투자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지난 6월말 현재 대외채무 잔액은 4118억 달러로 3월말에 비해 15억달러가 늘었다.
다만 만기 1년 이하 단기외채는 1196억달러로 26억달러 줄었다. 그럼에도 총외채가 증가한 것은 외국인의 채권투자를 중심으로 장기외채가 41억 달러나 증가했기 때문. 외국인의 국내채권 보유액은 3월말 95조원에서 6월말에는 101조원으로 늘었다. 2분기중 외국인 채권투자액 변동 규모는 19억달러였는데 원화가치 하락 등 비거래요인을 제외하면 46억 달러가 증가했다. 6월말 현재 장기외채 규모는 2921억달러였다.
이에 따라 총외채에서 단기외채가 차지하는 비중은 전분기 대비 0.7%p 하락한 29.1%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1999년 9월말(28.6%)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단기외채 비중은 금융위기 시점인 2008년 9월말 51.9%에 달했지만 이후 감소세를 지속해 올 3월말(29.8%)부터 20%대로 떨어졌다.
6월말 현재 외환보유고에 대한 단기외채 비율도 2006년 3월 이후 최저 수준인 36.6%를 기록했다.
지급능력도 개선됐다. 6월말 대외채권은 5521억달러로 대외채권에서 대외채무를 뺀 순대외채권은 1403억 달러였다. 이는 3월말보다 61억달러 증가한 규모다.
이처럼 건전성 지표가 개선되고 있지만 최근 인도와 인도네시아 등 신흥국 금융시장의 불안감이 확산되면서 외환 당국은 금융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나섰다. 기획재정부와 한은, 국제금융센터 등은 조기경보시스템을 운영하면서 시장 점검 내용을 실시간으로 교류하고 신흥국 시장상황이 한국시장에 미칠 영향 등을 분석하고 있다. 또 거시경제금융회의를 통해 글로벌 자금흐름과 외화유동성 등 상황인식과 대응방향을 공유하고 있다. 외환당국은 다만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방침에 따라 상대적으로 체력이 약한 신흥국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자금이탈 현상이 기존에 예상했던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는다고 보고 과도한 대응은 자제하는 모습이다.
기획재정부는 "단기외채 비중이 하락하고 외채구조가 장기화하는 등 대외건전성이 지속적으로 개선되는 추세이나 향후 미국 양적완화 축소 등 대외여건 변화에 따른 외국인 채권투자자금의 유출 가능성 등에 대비해 관련 동향을 면밀히 주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구본홍 기자 bhkoo@naeil.com
[관련기사]
-아시아 위기 확산, 한국도 ‘영향권’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2분기 우리나라 총외채가 1분기보다 15억달러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단기외채가 차지하는 비중은 줄었지만 인도와 인도네시아 등 신흥국 금융시장이 불안조짐을 보이는 만큼 외환당국은 시장상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나섰다.

다만 만기 1년 이하 단기외채는 1196억달러로 26억달러 줄었다. 그럼에도 총외채가 증가한 것은 외국인의 채권투자를 중심으로 장기외채가 41억 달러나 증가했기 때문. 외국인의 국내채권 보유액은 3월말 95조원에서 6월말에는 101조원으로 늘었다. 2분기중 외국인 채권투자액 변동 규모는 19억달러였는데 원화가치 하락 등 비거래요인을 제외하면 46억 달러가 증가했다. 6월말 현재 장기외채 규모는 2921억달러였다.
이에 따라 총외채에서 단기외채가 차지하는 비중은 전분기 대비 0.7%p 하락한 29.1%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1999년 9월말(28.6%)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단기외채 비중은 금융위기 시점인 2008년 9월말 51.9%에 달했지만 이후 감소세를 지속해 올 3월말(29.8%)부터 20%대로 떨어졌다.
6월말 현재 외환보유고에 대한 단기외채 비율도 2006년 3월 이후 최저 수준인 36.6%를 기록했다.
지급능력도 개선됐다. 6월말 대외채권은 5521억달러로 대외채권에서 대외채무를 뺀 순대외채권은 1403억 달러였다. 이는 3월말보다 61억달러 증가한 규모다.
이처럼 건전성 지표가 개선되고 있지만 최근 인도와 인도네시아 등 신흥국 금융시장의 불안감이 확산되면서 외환 당국은 금융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나섰다. 기획재정부와 한은, 국제금융센터 등은 조기경보시스템을 운영하면서 시장 점검 내용을 실시간으로 교류하고 신흥국 시장상황이 한국시장에 미칠 영향 등을 분석하고 있다. 또 거시경제금융회의를 통해 글로벌 자금흐름과 외화유동성 등 상황인식과 대응방향을 공유하고 있다. 외환당국은 다만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방침에 따라 상대적으로 체력이 약한 신흥국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자금이탈 현상이 기존에 예상했던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는다고 보고 과도한 대응은 자제하는 모습이다.
기획재정부는 "단기외채 비중이 하락하고 외채구조가 장기화하는 등 대외건전성이 지속적으로 개선되는 추세이나 향후 미국 양적완화 축소 등 대외여건 변화에 따른 외국인 채권투자자금의 유출 가능성 등에 대비해 관련 동향을 면밀히 주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구본홍 기자 bhkoo@naeil.com
[관련기사]
-아시아 위기 확산, 한국도 ‘영향권’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