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기공식 … 7500억원 재원마련 방안은 깜깜
인천로봇랜드 조성사업이 우여곡절 끝에 첫 삽을 뜬다. 사업지정 4년만이다. 인천시는 26일 인천로봇랜드를 착공한다고 23일 밝혔다.
인천로봇랜드는 청라국제도시 76만7286㎡ 부지에 로봇산업진흥시설과 테마파크, 부대시설로 나눠 조성된다. 로봇산업진흥센터와 로봇연구소로 구성된 로봇산업진흥시설은 로봇 관련 기업들의 신제품 개발 지원과 신제품에 대한 시장 반응을 살필 수 있는 복합단지로 개발된다. 테마파크는 로봇을 주제로 한 놀이기구와 로봇기술 체험시설 등으로 꾸며지고, 부대시설은 비즈니스 숙박시설 등으로 채워진다. 사업비는 국비 595억원과 시비 1475억원, 민자 5514억원 등 모두 7584억원이다.
그동안 사업추진의 큰 걸림돌이었던 이중사업자 문제는 해결됐다. 시가 2009년 이 사업을 위해 특수목적법인 인천로봇랜드를 만들 당시는 이미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판게아-해원에스티 컨소시엄이 설립한 아시아레포파크와 테마형 레저스포츠단지 조성을 위한 사업협약(2007년 12월)을 맺은 상황이었다. 결국 동일 부지에 2개 사업자가 존재하게 됐다. 이 두 개 사업은 모두 (주)한양이 주도했다. 결국 시는 한양에 30억원을 물어주고 한양과 사업을 하는 셈이 됐다.
하지만 재원 마련은 여전히 숙제다.
시는 우선 내년 국비 130억원을 확보해 로봇산업진흥시설을 짓겠다는 계획이다. 또 내년 본예산에 200억원을 세워 기반시설 공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기반시설 비용(880여억원)은 LH가 부담키로 약속해놓고 이를 지키지 않아 결국 시가 부담하게 됐다.
시는 국비를 추가로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재정압박에 시달리는 정부에 추가예산을 바라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당장 시가 부담해야 할 기반시설 조성비도 장담하기 어렵다. 시는 특히 부대시설 토지를 팔아 시가 부담해야 할 재원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이지만 실현 가능성은 미지수다.
더 큰 문제는 민자유치다. 로봇랜드의 핵심인 테마파크 조성을 위해서는 5000억원이 넘는 재정이 필요하지만 아직까지 가시화된 투자유치 계획은 없다.
김광석 인천시 경제수도추진본부장은 "어려운 상황인 것은 맞지만 토지분양과 투자유치를 통해 재원을 조달, 2016년 개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신일 기자 ddhn21@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인천로봇랜드 조성사업이 우여곡절 끝에 첫 삽을 뜬다. 사업지정 4년만이다. 인천시는 26일 인천로봇랜드를 착공한다고 23일 밝혔다.
인천로봇랜드는 청라국제도시 76만7286㎡ 부지에 로봇산업진흥시설과 테마파크, 부대시설로 나눠 조성된다. 로봇산업진흥센터와 로봇연구소로 구성된 로봇산업진흥시설은 로봇 관련 기업들의 신제품 개발 지원과 신제품에 대한 시장 반응을 살필 수 있는 복합단지로 개발된다. 테마파크는 로봇을 주제로 한 놀이기구와 로봇기술 체험시설 등으로 꾸며지고, 부대시설은 비즈니스 숙박시설 등으로 채워진다. 사업비는 국비 595억원과 시비 1475억원, 민자 5514억원 등 모두 7584억원이다.
그동안 사업추진의 큰 걸림돌이었던 이중사업자 문제는 해결됐다. 시가 2009년 이 사업을 위해 특수목적법인 인천로봇랜드를 만들 당시는 이미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판게아-해원에스티 컨소시엄이 설립한 아시아레포파크와 테마형 레저스포츠단지 조성을 위한 사업협약(2007년 12월)을 맺은 상황이었다. 결국 동일 부지에 2개 사업자가 존재하게 됐다. 이 두 개 사업은 모두 (주)한양이 주도했다. 결국 시는 한양에 30억원을 물어주고 한양과 사업을 하는 셈이 됐다.
하지만 재원 마련은 여전히 숙제다.
시는 우선 내년 국비 130억원을 확보해 로봇산업진흥시설을 짓겠다는 계획이다. 또 내년 본예산에 200억원을 세워 기반시설 공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기반시설 비용(880여억원)은 LH가 부담키로 약속해놓고 이를 지키지 않아 결국 시가 부담하게 됐다.
시는 국비를 추가로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재정압박에 시달리는 정부에 추가예산을 바라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당장 시가 부담해야 할 기반시설 조성비도 장담하기 어렵다. 시는 특히 부대시설 토지를 팔아 시가 부담해야 할 재원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이지만 실현 가능성은 미지수다.
더 큰 문제는 민자유치다. 로봇랜드의 핵심인 테마파크 조성을 위해서는 5000억원이 넘는 재정이 필요하지만 아직까지 가시화된 투자유치 계획은 없다.
김광석 인천시 경제수도추진본부장은 "어려운 상황인 것은 맞지만 토지분양과 투자유치를 통해 재원을 조달, 2016년 개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신일 기자 ddhn21@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
위 기사의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내일엘엠씨에 있습니다.
<저작권자 ©내일엘엠씨,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